•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루살렘 성전 재건 기록들 속에 나타난 ‘성전’의 이해 (The Notion of the Temple in the Accounts concerning Rebuilding the Temple in Jerusalem: with comparison of terminology in the Masoretic text of Ezra, its Greek Translation and the other parallel Text)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9.06
25P 미리보기
예루살렘 성전 재건 기록들 속에 나타난 ‘성전’의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 수록지 정보 : 구약논집 / 14권 / 107 ~ 131페이지
    · 저자명 : 박성숙

    초록

    이스라엘이 포로 생활에서 귀환한 후에 성전을 재건에 것에 대해 기록한 에스라서에는 광야에서 성막의 건립과 솔로몬의 성전의 완성 직후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영광(כְבוֹד־יְהוָה)이 가득했다’는 하나님의 임재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표현(출 40:34; 왕상 8:11(대하 5:14)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은 성전을 묘사하는 성경의 용어들 자체가 성전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가장 기초적인 정보를 담고 있음에 기반해 에스라서의 마소라 본문과 칠십인경에 기록된 에스라서 그리스어 번역본, 그리고 칠십인경에 포함된 외경 에스드라 Ⅰ서의 평행 본문에서 성전을 묘사하는 용어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서 이 본문들이 담고 있는 재건된 성전에 대한 이해가 과연 기존의 성전에 대한 개념과 같은 결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마소라 본문은 히브리어 בית와 היכל 그리고 이에 상응하는 아람어 단어를 기본으로 여기에 여호와(יהוה), (이스라엘의) 하나님(אֱלֹהִים) 그리고 예루살렘을 덧붙인 용어들로 성전을 가리킨다. 솔로몬이 지은 성전(בית)과 마찬가지로 재건된 성전은 이스라엘과 언약하신 하나님의 집이며 예루살렘은 하나님의 이름이 거하는 곳(대하 6:6; 스 6:12)이다. 칠십인경에 에스라서의 그리스어 번역이 예루살렘의 성전을 가리키는 언어를 בית의 그리스어 상응어인 οἶκος로 일관되게 번역한 것도 성전을 하나님이 거주하는 공간으로 이해한 것에 기인했다고 본다. 외경 에스드라 1서에서는 이러한 언어의 통일성은 보이지 않지만, 책의 시작을 역대하 35장 요시아의 유월절 축제로부터 시작하며 솔로몬의 건축까지 함께 언급함으로 재건되는 성전도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 간의 언약의 증거인 법궤를 중심으로 지어진 이전의 성전처럼 하나님이 이스라엘에 임재하시기로 한 약속을 보여주는 장소라는 것을 강조한다. 하나님과 이스라엘 간의 언약의 가시적인 상징인 성전이 예루살렘에 재건된 것은 곧 하나님의 보호아래서 이스라엘이 회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In the Biblical account of Ezra concerning rebuilding of the Temple by the Israelites who had returned from exile, there is no mention of glory of the the Lord(כְבוֹד־יְהוָה) filling the Temple. The phenomenon is clear indication of God’s presence and it had occurred immediately after the completion of erection of Tabernacle in wilderness (Ex 40:34) and building the Temple of Solomon (1 Ki 8:11(2 Chr 5:14). For the terms which refer to the Temple itself convey the most basic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notion of the Temple, this article starts with the analysis of the terms describing the Temple in the Masoretic text of Ezra, in its Greek translation and in the other parallel text in Septuagint. Then I try to figure out whether notion of the rebuilt temple differs from the previous one. The terms are used in Masoretic text are basically בית and היכל and their Aramaic equivalents. And many times, they are accompanied with various words such as Lord(יהוה), God(אֱלֹהִים) of Israel), Jerusalem and so on. Like the Temple(בית) of Solomon, the rebuilt Temple is the House of God who have made covenant with Israel and Jerusalem is the place where God have chosen that His name may be there (2 Chr 6:6; Ez 6:12.). In the same sense, the Greek translation in Septuagint refers Jerusalem Temple mostly using οἶκος, the Greek equivalent of בית, for the Temple is considered as a dwelling place of God. There is no coherence of terminology in Greek Esdras. However, the book begins with the Passover feast which appears in 2 Chronicles 35 and mention the building of the Temple of Solomon. Thus, it underlines that the rebuilt Temple is, just like the previous one, place where the ark of covenant is located and is the place that God promised to be with people of Israel. The rebuilt Temple, which is a visible symbol of covenant between God and Israel, at same place in Jerusalem indicates the restoration of Israel under God’s prote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약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