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필기 야담집 속 琉球 체험과 형상화 (The Experiences and Embodiment of Ryukyu in Chosun Pilgii and Yadam)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1.02
21P 미리보기
조선시대 필기 야담집 속 琉球 체험과 형상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2권 / 37 ~ 57페이지
    · 저자명 : 김정숙

    초록

    조선의 대외관계와 관련된 연구는 지나치게 중국과 일본에 치중되어 있다. 조선과 유구는 활발하지는 않았지만 1389년부터 1868년까지 간접적이나마 교류 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사신의 傳言이나 표류민의 체험을 통한 인접국에 대한 정보를 민감하게 받아들였다.
    조선 문인들은 유구를 직접 체험하지 못한 상황에서 주로 중국의 문헌을 통해 유구를 선 이해하고 유구 사신과의 만남을 통해 지식을 재확인하는 방식을 취했다. 따라서 이들의 시선은 중국의 시각이 다분하여 유구를 폄하하는 모습이 발견되기도 한다. 이는 중국 사행시에 조선 사신들이 지녔던, 유구에 비해 조선이 우월하다는 소중화 의식과도 상통한다.
    이들의 유구인식이 다분히 간접적, 추상적이었음에 비해 유구를 직접 체험한 표류민의 유구관은 상당히 긍정적이다. 조선과 유구의 교류가 상대적으로 활발했던 15세기 유구는 조선으로부터 많은 경제적, 정치적 이익을 얻고 있었던 터라 조선의 표류민들이 유구에 도착했을 때 상당히 환대를 한다. 표류민들이 유구에서 경험했던 이와 같은 극진하고 친절한 대우는 유구를 하나의 이상적인 공간으로 인식하게 하여, 성품이 유순하고 황금이 넘치는 낙원으로 묘사하기도 하였다. 이는 이전에 중국 문헌에 입각한 유구관-好戰的이고 잔혹하며 食人의 풍속을 지닌 미개한 나라-과는 전혀 다른 인식이다.
    하층민이 주를 이루는 표류민들의 실제 체험과 傳言을 통해 형성된 널리 유구관은 널리 유포되어 필기․야담집에 환상적이고 신비스러운 나라, 異人이나 眞人, 神仙界의 인물로 그려졌다. 특히 『동야휘집』의 「신희복」 이야기에서 묘사된 이상향으로서의 유구와 귀양온 선녀로 설정된 유구국 공주에서 당대인들의 유구관이 단적으로 드러난다.
    이는 표류민들의 歡待 경험이 축적되고 거기에 상상력이 더해져서 유구가 하나의 이상향으로 자리하게 된 것이니, 실제와는 차이가 있더라도 이것이 당대 일반인들의 유구관이었다.

    영어초록

    The previous studies on Chosun's diplomatic relationships have been severely focused on its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China and Japan. Although it is true that Chosun did not have active diplomatic relationships with Ryukyu, it maintained indirect exchange relationships with it from 1389 to 1868 and accepted information about its neighboring nations through the envoys' words and the castaways' experiences sensitively.
    Chosun's literary figures did not have first-hand experiences with Ryukyu, thus resorting to the Chinese books and materials about it to understand it. They also reconfirmed their knowledge acquired through such a way by meeting with Ryukyu envoys. Therefore, their views of Ryukyu contained many elements of the Chinese views and thus contained words that devalued it, which is in line with the Chosun envoys' identification of themselves as people of Small China and belief that Chosun was superior to Ryukyu during their missions in China.
    While their perceptions of Ryukyu were very second-hand and abstract, the castaways that had first-hand experiences with Ryukyu were highly positive about it. In the 15th century when there were active exchanges between Chosun and Ryukyu, Ryukyu received lots of economic and political benefits from Chosun. Thus when Chosun castaways reached Ryukyu, they received a big welcome from the Ryukyu people, whose extreme and kind treatments, in turn, made the Chosun castaways regard Ryukyu as an ideal land. As a result, they started to describe it as a paradise full of gold and its people as gentle. They were completely different perceptions of Ryukyu from the ones based on the Chinese books and materials, which basically saw Ryukyu as a barbarian country whose people were warlike, cruel, and cannibal.
    Such views of Ryukyu as were formed through the actual experiences and words of the Chosun castaways who were in the lower social class were widely spread, and Ryukyu was described as a fantastic and mysterious land and the Ryukyu people as different or true people from a new world in Chosun Pilgii and Yadam. The contemporary Chosun people's views of Ryukyu were clearly demonstrated in the Shinheebok Story of Dongyahuijip where Ryukyu was described as an ideal land and a Ryukyu princess as a fairy living in exile.
    As the hospitality the castaways experienced accumulated and imagination was added to it, Ryukyu became an ideal land. Those were the views of Ryukyu the contemporary Chosun people had even though they were different from real Ryuky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