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분할상속관행의 지속에 대한 소고 (The Study on Continuum of Partible-Inheritance Action in the Late Josun Dynast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09.07
33P 미리보기
조선후기 분할상속관행의 지속에 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34호 / 203 ~ 235페이지
    · 저자명 : 배상훈

    초록

    이 논문은 조선후기 분할상속관행의 몇 가지 논점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 분할상속은 제도가 아니라 실제 민간에서 관습적으로 행해지던 관행을 의미한다. 방법적인 측면에서 이 연구는 17~18세기 조선의 상속문서인 분재기 사례를 이용했는데 이를 통해 조선후기사회의 특성과 상속관행의 다양성(비정형성)을 연구하고자 했다.
    이 논문의 첫 번째 문제제기는 17~18세기 분재기 사례(전체 504개 중 약 200개)의 내용 중에서 나타나는 ‘분할상속의 지속’에서 도입된다. 일반적으로 이 시기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장자상속의 특성에 대해서 지적한다. 그러나 우리의 사례들은 비장자상속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상속관행의 ‘매우 느린 변화’를 주장한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봉사조, 인구압력 등의 개념을 통해 조선후기 사회변동의 독특하고 다양한 특성을 연구한다. 아울러 ‘문중’의 역할에 대해서도 주목한다.
    이 연구의 또 다른 중요성은 전통적인 한국사회가 구조적으로 언제 재구조화되었는지에 대해 답을 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17세기 중반이라고 했는데 이 시기는 다양한 변화경로로 특징된다. 우리는 이를 변화의 지속이라고 부르려고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d some issues of ‘Partible-Inheritance action’ in the late Josun Dynasty. Partible-Inheritance action in this paper is not system. That is a customary behaviour in real people-life.
    From a mathodological point of view, this paper used cases of ‘bunjaegi (inheritance-document)’ in 17~18C Josun Dynasty to study the nature of inheritance ac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late Josun Dynasty society.
    The first proposal of this paper was introduced from the Continuum of Partible-Inheritance action in cases(about 200 pieces in total 504 pieces) of 17-18C bunjaegi(inheritance-document). Commonly, all of former study had pointed out characteristics of ‘primogeniture’ in this period. But our cases showed natures of ‘Non-primogeniture’. Therefore this paper claims ‘very-slowly-change’ of inheritance action.
    In this paper, we study and divide the diverse and inclusive characteristics of the late Josun Dynasty society-change used by the concepts such as ‘Bongsajo’, ‘Population pressure’. In addition, we also took a consideration in the role of ‘Munjoong(lineage)’.
    The another importance of this paper is to answer that when traditional Korea-society re-structured as social structure. In former study, the time was commonly in middle 17C. In addition, the period had broaden various changed ways.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Continuum’ of change.
    And it also provide visions on the promotion of understanding that would be valuable to the establishment of family structure and practical action for the ‘Rediscovery’ of Korean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