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 시대 소설 속 출산 서사의 의미 (The Meaning of the Childbirth-Narrative in the Novels at the Age of Colon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0.08
29P 미리보기
식민지 시대 소설 속 출산 서사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44호 / 31 ~ 59페이지
    · 저자명 : 김주리

    초록

    본고는 ‘낳는 주체’의 몸 경험과 이를 둘러싼 형상화에 초점을 맞추어 식민지 시대 소설 속에서 출산이 어떻게 서사화하며 어떤 의미를 가진 것으로 이해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식민지 근대 사회에서 여성의 출산은 위생과 의료 담론의 개입, 가부장적 남성 담론의 부과, 제국과 민족 담론의중첩 속에서 파악된다. 먼저 식민지 시대 담론에서 출산은 채만식의 <탁류>와 이태준의 <성모> 등에서 볼 수 있듯 의료 권력이 여성의 육체를 지배하는 상황으로 나타난다. 식민지 시대 남성 소설에서 출산은 근대 남성가부장제 사회의 담론이 개입하는 문턱의 시공간으로, 출산 이전과 이후의삶은 본질적으로 다른 것인 양 그려진다. 여성의 출산은, 그녀의 여성적매력과 결부된 부도덕성을 거세하고 근대 가부장제가 요구하는 헌신적 모성애의 구현자로 전신하는 계기로 나타난다. 이를 위해서 여성의 출산은이광수의 <흙> 등에서 볼 수 있듯 무엇보다 큰 고통을 겪는 순간으로 그려진다. 식민지 시대 소설에서 아이의 탄생은 피식민 자본주의 사회의 빈곤,가부장적 남성의 폭력이 작용하는 지점에서 죽음과 결부되며, 죽음을 출산하는 여성의 육체는 기괴한 모습으로 형상화된다. 백신애의 <호도>나 강경애의 <소금>, <지하촌> 등은 출산하는 육체의 기괴함, 죽음에 근접한 탄생이라는 모순을 집약한 텍스트이다. 한편, 출산에 대한 근대적 인식과 달리민속사회(전통)적 인식은 생명의 탄생 자체를 목적으로 하며, 백신애의<적빈>에서와 같이 하층민 여성의 생명력과 보살핌의 세계로 구현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childbirth was narrated and what was the meaning of it in the novels at the age of colony from the point of bearing subject’s body experience and appearing the birth on woman. In the colonial society, an woman’s childbirth was grasped from the discourses of sanitation and medical service, the discourses of patriarchy and the discourses of empire and nation. At first, the childbirth appeared as the situation that the medical power dominated an woman’s body like Chae, Man-Sik’s <Muddy Stream> and Yi, Tae-Joon’s <The Holy Mother> in the discourses at the age of colony. In man’s novels, the childbirth was described the chronotope intervened the discourses of patriarch society, so bearing woman’s life divided from the point of childbirth. An woman’s childbirth is expressed as the moment that she changes herself as a devoted mother demanded in modern patriarchy, through destroying her immorality which connected her womanly charm. For this, an woman’s childbirth is described most of all as a moment suffering huge pain in the works like Yi, Kwang-Soo’s <The Soil>. In the novels at the colonial age, the birth of a child was connected to death on the point of poverty and man’s violence of the colonial patriarch capitalism society, and the woman’s body beared a death was described as a monster. Bak, Sin-Ae’s <A Means of Livelihood>, Kang, Kyeong-Ae’s <Salt>, <An underground Village> etc. show the inconsistency like the birth closed to the death, and the strangeness of bearing body. On the other hand,the recognition on the childbirth in the folk society apart from that in the modern society shows the situation glad about a baby’s birth itself and is realized to a subaltern woman’s power of life and world of care in the works like Bak, Sin-Ae’s <Dire Pover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