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19세기 조선시대 회화속의 기녀 (Images of Ginyeo in the Joseon Painting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3.03
35P 미리보기
18-19세기 조선시대 회화속의 기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77권 / 277호 / 69 ~ 103페이지
    · 저자명 : 문선주

    초록

    조선시대 기녀들은 주로 궁중과 지방의 연회를 담은 기록화, 申潤福(1758-?), 金弘道(1745-?) 의 풍속화에 표현되었다. 또한 李命基가 姜世晃(1713~1791)에게 그려준 기녀 단섬의 초상 등 단독 기녀초상의 기록이 남아있고 기녀 초상으로 추정되는 작품들이 현전하고 있다.
    기녀는 18-19세기가 되면 그림의 주소재로 등장하거나 그림의 주인공으로 등장하였다. 기녀는18-19세기 기록화에서 궁정의 내연, 왜사 등의 사신을 접대하는 잔치, 지방관 부임 축하 잔치에서 공연하는 공식적인 역할로 표현되었다. 기록화에서 기녀는 개별성은 드러나지 않고 연회를 담당한 익명의 존재로 표현되었는데 이는 공식적 정재복식이나 가무복식을입은 집단으로 표현되거나 女樂, 女伶이라는 기예를 중심으로 호칭하는데서도 확인된다.
    18-19세기 기녀들은 문인들의 私宴에 참석하였고 이것이 풍속화에 표현되었었다. 기녀들은 잔치에서 무표정한 모습으로 주로 표현되었는데 이는 당시 사대부들이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여인을 이상화하여 표현한 것으로 생각된다. 당시 사대부들의 연회는 야외에서 주로 이루어졌는데이것은 중국 명대부터 시작되어 조선도 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기녀를 다룬 풍속화는 <妓 房爭雄>, <路上逢妓>, 野宴 등 몇가지 장면이 반복적으로 등장하는데 이러한 전형적 장면은 화보처럼 만들어 많은 양을 제작, 배포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그만큼 당시 기녀 풍속화의 수요가많았고 그에 따라 선제작 후주문으로 제작방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녀의 일상을 표현한그림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소품문이나 패관소설의 유행등 조선후기 문학에 공안파 문학이 미친영향이 회화에도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기녀초상화는 완상용과 제의용으로 나눌 수 있는데 완상용인 기녀초상은 문인들이 개인적으로 주문하였고 제의용 기녀초상은 관청에서 주문한 것이었다. 용도에 따라 기녀 표현도 달라지는데완상용은 교태있는 입상으로, 제의용은 경건한 자세의 좌상으로 제작되었다. 이들 기녀 초상화는인물초상을 잘 그렸던 화원화가, 사대부화가들에 의해 주로 제작되었는데 이들에 의해 고사에 근거한 중국사녀도 풍의 미인도와 달리 조선여인을 모델로 한 미인도가 정착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조선여인을 대상으로 한 미인도는 중국 역사나 문학의 고사에 근거한 중국 복식을 한 사녀도류의 미인도와 함께 조선후기 미인도 감상의 열풍의 중심에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Ginyeo, or professional women trained to entertain male guests with music and dance at their social gathering during the Joseon period, became a favorite subject of the paintings produce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paintings expressed the women as entertainers performing official roles at celebratory events held at the royal court and local administrative hubs across the nation. In the paintings made to record memorable social events, they appear as characterless anonymous beings responsible for the smooth operation of the events as represented by the uniforms or performance costumes they are in.
    Most of the female entertainers appearing in the painting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show no particular expression on their faces because their hosts, mostly the Joseon's literati class holding private social gatherings, wanted them not to express their feelings during the events. The tradition of making paintings of private celebratory events was prevalent among the literati elites of the Ming Dynasty, too. Such genre paintings depicting the participation of the professional female entertainers tended to share the same or similar scenes with other works, suggesting that the paintings began to be mass produced to meet the increased demands of the period. It also shows that the artists had already begun to produce such paintings even before they received orders. It seems that the popularity of the paintings depicting the daily activities of the female entertainers might have been influenced from the Gang'an School of Letters introduced to Korea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The Ginyeo portraits are typically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use and the sitter's posture. Portraits of the first group were produced largely for private viewing at home while those of the second for ceremonial uses at the government. Similarly, the first depicted women standing in a coquettish pose while the second women sitting on a chair in a dignified manner. These portraits largely produced by experienced court painters and literati artists. These portraits of Joseon women by Joseon artists seem to have been one of the two most popular portrait groups of beauties among the art lovers of late Joseon along with the portraits of Chinese court ladies originated from Chinese history and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