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필기·야담 속 ‘기혼 여성’의 불온한 형상과 탈맥락적 흔적 : 고전문학 속 아줌마의 원형성 탐색을 위한 시론 (The Disturbing Appearance and Decontextual Traces of a “Married Woman” in Pilgi and Yadam* Preliminary Studty to Explore the Archetypes of an Middle-aged Woman(A-Jum-ma))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1.12
41P 미리보기
필기·야담 속 ‘기혼 여성’의 불온한 형상과 탈맥락적 흔적 : 고전문학 속 아줌마의 원형성 탐색을 위한 시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43호 / 119 ~ 159페이지
    · 저자명 : 권기성

    초록

    본 연구는 조선 후기 필기·야담집에 나타나는 ‘기혼여성’들의 불온한 형상화를 살펴, 그들의 존재 양상과 서사적 기능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살펴본 것이다. 이를 통해 아줌마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특정한 원형 심상으로 전승된 것임을 밝히고, 남성 주체에 의해 굴절된 아줌마라는 표상이 일종의 집단적이고 가상적인 정체성을 형성하게 되었음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살펴본 바, 필기 야담 속 기혼여성은 주로 억척스럽거나 푸념을 하는 존재로 그려지고, 무지하거나 사치스럽고 간교한 인물로 그려지고 있었다. 이런 불온한 형상화는 일차적으로 남성 사대부의 시선에 의해 선택적으로 채록된 결과일 텐데, 그 출발점은 당대의 역사사회적 배경 하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런데 그러한 모습은 어느 순간 역사적 맥락과 분기하거나 서사의 개연성에서 탈각한 채 전형적 인물로 주조되기도 한다. 이는 곧 기혼 여성의 불온한 형상이 당대의 여성성과 모성성이라는 헤게모니에서 벗어나는 순간, 경계해야 할 무엇으로 그려지고 이것이 사회적 개념으로 재생산·강화된 흔적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불온한 여성의 이미지가 위태롭게 형상화되는 것은, 비단 공시적인 당대의 문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여성성과 모성성의 경계에서 부유하고 있는 기혼여성의 이미지가 오늘날 아줌마라는 용어로 현존한다면, 여전히 이 같은 작업은 유효하게 진행되고 있을 것이다. 여성성과 모성성의 합은 아직까지 당대의 여성을 규범짓는 하나의 기준틀로, 수많은 기혼여성을 타자화하고 있는 상황이고, ‘기혼여성’으로서 아줌마의 존재는 역사 속에서 늘 존재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들은 오늘날 언어의 생성과 변화에 따라 만들어진 개념으로 이해될 뿐, 그들만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제대로 부여 받지 못했다. 본고는 이러한 ‘아줌마’의 흔적을 고전문학 속 기혼여성을 그려내는 방식에서 찾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isturbing embodiments of "married women" appearing in Pilgi and Yada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examines how their existence and narrative functions are implemented in the work. Through this, it was revealed that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middle-aged woman(A-jum-ma) was transmitted through a specific circular image, and it was attempted to argue that the representation of an middle-aged woman(A-jum-ma) refracted by a male subject formed a kind of collective and virtual identity.
    As we have seen, married women in Pilgi and Yadam were mainly depicted as oppressive or complaining beings, and as ignorant, extravagant, and sophisticated characters. This disturbing figure would be primarily the result of being selectively recorded by the gaze of the male nobleman, and the starting point is believed to have originated from the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starting point. However, at some point, such a figure diverges from the historical context or is cast as a typical character, deviating from the probability of narrative. This shows the signs of reproduction and reinforcement as a social concept, as soon as the disturbing shape of married women deviates from the hegemony of femininity and motherhood of the tim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recarious image of an uneasy woma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of the public time. If the image of a married woman who is wealthy at the boundary between femininity and motherhood exists in the term ‘middle-aged woman(A-jum-ma)’ today, this work will still be effective. The sum of femininity and motherhood is still a framework for standardizing women of the time, and it is true that many married women are differentiated, and that the presence of middle-aged woman(A-jum-ma) as "married women" has always existed in history. However, they are only understood as concepts created by the creation and change of language today, and have not been properly given their own historical and identity.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traces of this ‘middle-aged woman(A-jum-ma)' in a way that depicts married women in classical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