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비자의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공유 활동에 대한 연구 (Consumer Information Sharing in Social Medi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4.04
24P 미리보기
소비자의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공유 활동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학연구 / 25권 / 2호 / 21 ~ 44페이지
    · 저자명 : 한혜주, 이경미

    초록

    최근 ‘소셜 미디어 시대’의 도래로 소비자 정보공유 활동(e.g., 구전)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고, 따라서 이 현상을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나 매우 중요하다. 실제로, 해외 기업(3,342개) 마케터의 90% 이상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마케팅에 초점을 두고 있다(Socialmediaexaminer.com 2011).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의 소셜 미디어에서의 정보공유 활동의 형태를 나누고, 이에 따른 각각의 영향 요인 및 결과 변수를 심도 있게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먼저 본 연구는 소비자의 소셜 미디어 상의 정보 공유 활동을 그 목적에 따라 ‘정보 제공적 공유(informative sharing)’와 ‘자기표현적 공유(self-expressive sharing)’의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정보 제공적 공유’란 자신의 사회 관계망에 속한 사람들에게 유용하거나 잠재적으로 실질적 가치(practical value)가 있는 한 정보(예: 뉴스, 학술자료, 혹은 제삼자의 의견)를 획득하고 전파하는 것이다. 반면 ‘자기표현적 공유’란 개인의 정체성, 소속감, 가치나 투영하고 싶은 이미지 등을 표현하기 위해 개인적인 경험, 감정, 의견 등을 공유한 것이다. 200명의 한국인을 대상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위의 두 가지 공유 활동을 야기하는 선행 변수에는 차이가 관찰 되었다. 즉, 소비자들의 인터넷 사용시간, 인터넷 사용시간에 대한 죄책감, 사회적 연결정도, 외로움 정도가 클수록 소셜 미디어 상에서 정보 제공적 공유 활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기표현적 공유 활동은 소비자의 사회적 연결정도 요인만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정보 공유 활동이 최근 각광 받고 있는 주요 소비 영역에 미치는 영향도 차이를 보였다. 예를 들어, 소비자의 소셜 미디어 상에서의 정보 제공적 공유 성향은 구전 경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자기표현적 공유 성향은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소비자가 소셜 미디어 상에서 정보 제공적 공유 성향을 보일 수록 소셜 커머스 이용이 증가했으나, 자기표현적 공유 성향은 구전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만 소셜 커머스 이용을 증가시켰다. 또한 정보 제공적 공유 성향은 소비자의 고가 브랜드 선호 경향과 관련이 없었으나, 자기표현적 공유 성향은 구전을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고가브랜드 선호 경향에 영향을 미쳤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공유 활동에 미치는 개인의 기질 및 성향 요인을 탐색해본 결과, 정보 제공적 공유 활동은 개인의 낙관주의 성향 및 정치에 대한 믿음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기표현적 공유 활동은 개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 및 일과 여가의 균형을 맞추려는 태도, 목표 성취 욕구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에서의 소비자의 공유 활동을 분류하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각각의 공유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들의 성향과 선행변수, 그리고 이러한 활동이 현재 마케팅적으로 주목받는 영역(e.g., 소셜 커머스, 고급 브랜드 선호, 구전)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함으로 실무적으로나 향후 연구에 영감을 줄 수 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In this research, we propose two types of information sharing activities in social media - informative sharing and self-expressive sharing – and investigate thos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Informative sharing concerns individuals’ tendency to acquire and pass on information deemed useful to potential audiences. Such information often includes news articles or third- person opinions. On the other hand, self-expressive sharing concerns individuals’ tendency to express a certain self-image or important values to others. This information often involves sharing personal experiences, emotions, or opinions.
    From a survey of South Korean Facebook users (n=200) conducted in 2012, we found that these two types of information sharing tendencies in social media were determined by different sets of factors. Specifically, individuals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informative sharing in social media when each of the following factors is greater: Internet usage hours, feelings of guilt about time spent on the Web, the degree of social connection, and feelings of loneliness. However, the tendency for individuals to engage in self-expressive sharing is related only to the degree of social connection.
    In addition, we found that each type of sharing tendency in social media differently predicts consumption behaviors, such as social commerce use, word-of–mouth activity, and preference for luxury brands. In particular, the more consumers engage in self-expressive sharing, the more likely they are to engage in word-of-mouth involving products or services. However, the tendency to engage in informative sharing does not predict such behaviors. Also, the more consumers engage in informative sharing, the more likely they are to be involved in social commerce usage. However, the tendency to engage in self-expressive sharing increases such behaviors indirectly through word-of-mouth activity. Lastly, the tendency to engage in self- expressive sharing increases preference for luxury brands indirectly through word-of-mouth activity. However, the tendency to engage in informative sharing does not predict such behaviors.
    Additionally, we explored individuals’ traits associated with each tendency to engage in information sharing. We found that informative sharing was highly correlated to individuals’ traits, such as optimism and beliefs in politics. On the other hand, self-expressive sharing was high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prioritizing a balanced life, and being motivated for achie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