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결적 문제인 ‘관할권’과 ‘소(訴)의 허용성’에 관한 소고(小考) - 2021년 모리셔스-몰디브 사건과 2020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사건에 대한 비판과 함께 - (The Implications Addressed by the Distinction between Jurisdiction and Admissibilit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1.09
39P 미리보기
선결적 문제인 ‘관할권’과 ‘소(訴)의 허용성’에 관한 소고(小考) - 2021년 모리셔스-몰디브 사건과 2020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사건에 대한 비판과 함께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법학회논총 / 66권 / 3호 / 203 ~ 241페이지
    · 저자명 : 이기범

    초록

    ICJ를 포함하여 국제재판소에서 소송이 진행될 때 제기되는 선결적 문제(preliminary questions) 중에서 ‘관할권’(jurisdiction)과 ‘소의 허용성’(admissibility)은 흥미를 더하는 문 제이다. 특히 관할권과 소의 허용성의 ‘구분’은 이미 PCIJ 시절부터 인정되어 왔다. 국제재 판소의 관할권은 그 국제재판소를 창설한 국가들 또는 국제기구에 의해 혹은 (그 국제재판 소에 분쟁을 회부한) 분쟁당사국들 자신에 의해 부여되는 반면에, 소의 허용성은 그러한 관할권을 ‘행사’하는 데 있어 ‘제한 또는 한계’로 기능할 수 있다.
    ICJ가 명확히 언급하고 있는 관할권과 소의 허용성의 구분에 관한 ‘동의-잔여 접근’ 이론은 선결적 문제 중에서도 소의 허용성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소의 허용성 개념은 본안으로 나아갈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 있어 국제재판소가 자신의 ‘재량’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수단이다. 이는 소의 허용성 맥락에서 다양한 논의 가 전개될 수 있다는 점과도 연계된다. ICJ도 “... 소의 허용성에 대한 선결적 항변은 좀 더 다양한 범주의 가능성을 포섭한다. ...”고 언급하면서 소의 허용성 개념이 절차적인 차 원에서 다양한 논의를 포섭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인정했다.
    그러나 최근 ITLOS 특별재판부 및 유엔해양법협약 제7부속서 중재재판소가 선결적 항변 절차를 끝낸 2021년 모리셔스-몰디브 사건과 2020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사건은 지난 100년 가까이 국제재판소 판례를 통해 인정되고 다듬어져 온 관할권과 소의 허용성의 구 분을 무시하고 ‘선결적 항변’이라는 우산 아래에서 그 구분의 적용과 함의를 경시하고 있기 때문에 비판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국제재판소가 소의 허용성 중심으로 선결적 항변 문제를 다루게 되면, 그 국제재판소에게 본안으로 나아갈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 재량적 선택의 여지가 넓어진다. 특히 영토주권에 관한 분쟁이 결부된 분쟁의 (유엔해양법협약 제288조 제1항의 의미 내에서) 관할권 인정 여부가 모호한 상황에서 관할권 인정을 전제 로 소의 허용성을 판단하면서 본안으로 나아갈 것인지의 문제를 다시 한 번 고려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Among preliminary objections brought up by an unwilling litigant in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including the ICJ, ‘jurisdiction’ and ‘admissibility’ are more interesting issues. In particular, the ‘distinction’ between jurisdiction and admissibility has been recognized since the creation of the PCIJ. Whereas the jurisdiction of an international court is conferred by States and/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hich created the court, or by the parties to the dispute (which have referred the dispute to the court), the concept of admissibility implies the discretion of the court to decline to exercise such jurisdiction for certain reasons.
    The ‘conventionalist-residualist approach’ regarding the distinction between jurisdiction and admissibility, clearly accepted by the ICJ, shows that the discussion should be focused on admissibility among preliminary questions. The concept of admissibility is the optimal means for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to secure their own ‘discretion’ in deciding whether to proceed to the merits. This is also related to the fact that diverse discussions can be developed in the context of admissibility. Mentioning in the 2008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and Punishment of the Crime of Genocide (Croatia v. Serbia) case that “[a] preliminary objection to admissibility covers a more disparate range of possibilities”, the ICJ acknowledged the possibility that the concept of admissibility could encompass various issues raised in the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However, the 2021 Mauritius/Maldives case and the 2020 Coastal State Rights case should be criticized because they ignored the distinction between jurisdiction and admissibility (which has been recognized in the jurisprudence of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for the past almost 100 year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distinction. If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deal with preliminary objections with a focus on admissibility, they have a wide range of discretionary options to decide whether to proceed to the merits. In particular, even though jurisdiction is accepted regarding a dispute involving territorial sovereignty under Article 288(1) of the UNCLOS, the concept of admissibility offers the possibility to reconsider the question of whether to proceed to the meri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법학회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