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혈압 여자 노인 대상의 보건소 영양교육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 Female Elderly at the Public Health Center)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08.10
13P 미리보기
고혈압 여자 노인 대상의 보건소 영양교육 효과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3권 / 5호 / 640 ~ 652페이지
    · 저자명 : 임경숙

    초록

    본 연구는 지역보건소에서 고혈압 환자들을 대상으로 16 주간의 체험중심형 저염식생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후, 교육을 완료한 환자를 대상으로 효과를 평가하였다.
    1) 체험중심형 저염식생활 영양교육은 보건소를 내원하는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16주간 총 20회의 영양교육 프로그램으로 시행하였으며, 교육 프로그램은 짜게 먹는 식행동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교육 참여자의 흥미를 유발하며, 실생활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저염식 조리실습 등을 포함하여 실습 위주의 체험 중심형의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2) 저염식생활 영양교육에 모두 참여하고 기초조사 및 최종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중 여자 노인 40명이 최종 분석대상자이며, 평균연령은 69.3세이고, 교육수준이 매우 낮았으며, 55%가 비만으로 분류되었다. 약물 치료중임에도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은 129.0 ± 17.6 mmHg, 71.2 ± 9.8 mmHg로 수축기혈압이 정상범주 이상으로 높았다. 16 주간의 영양교육 후 수축기 혈압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이완기 혈압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고혈압 영양교육 참여자의 나트륨과 소금 섭취량은5323.6 ± 2338.7 mg, 13.5g ± 5.9 mg으로 2005년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발표한 우리 국민의 평균 소금 섭취량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16주 영양교육 후 소금 섭취량은9.1 g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소금 섭취량을 줄이기 위한 교육에서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조리할 때, 조리방법에 따른 소금 함량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교육하였으며, 염도계를 활용한 조리 실습, 짠맛 테스트 등을 통하여 싱겁게 먹는 방법을 교육함으로써 대상자들의 소금 섭취량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고혈압 영양교육 후의 전체적인 영양소섭취량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칼슘, 철분, 비타민 A, 아스코르빈산 등 채소로 섭취하고 있는 영양소 섭취량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식생활교육에서 끼니별 식품섭취량 기준량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였으며, 또한 생채소나 샐러드 이외에 채소를 활용한 노인친화형의 메뉴 개발이 필요하였다.
    5) 영양교육에 의해 나트륨 섭취와 고혈압 관리에 관한 영양지식은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 나트륨 섭취와 관련된 식행동은 소금을 적게 섭취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등 전체적인 식행동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되었다. 저염식생활 영양교육에서 가공 과정에서 다량의 소금이 첨가되는 식품을대신할 수 있는 대용식품 선택, 싱거운 반찬 만들기 및 향신료 등을 이용한 저염, 무염 조리 실습 등으로 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함으로서 교육참여자들이 영양교육후에 이들 항목과 관련된 식행동에서 저염식 실천을 위한 긍정적인 행동으로 수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지역보건소에 실시된 고혈압환자 대상의 영양교육프로그램은 저염식생활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식행동 교정 등 저염식생활의 실천적인 측면을 강조하는것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영양교육 내용은 소금섭취량 감소의 건강상의 중요성, 혈압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식사방법, 싱겁게 먹기 위한 조리법 실습, 생활 습관의 변화를위한 행동수정요법 등 이론과 실습을 겸비한 체험 강화형태가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고혈압 환자는 주로 노인계층에 많으므로, 노인 친화형의 저염식 조리방법과, 소금섭취는 줄이면서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를 늘릴 수 있는 조리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지역사회고혈압 환자의 질환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의 핵심 축으로 지역보건소 중심의 체험강화형태의 저염식생활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Hypertension is among the most common and important risk factors for stroke, heart attack, and heart failure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leading cause of death in Korea. The prevalence rate of hypertension in Korea is 27.9%, according to the 200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ince non-pharmacologic nutrition education is recommended as the first step in the management of hypertension, evaluation of nutrition program is needed to form strategies for improving patients' dietary adherenc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a hypertension nutrition education program (HNEP) for reducing the salt intake, at a public health center located in Gyunggi-province.
    The HNEP was offered for 16 weeks from May to September in 2007. Nutrition education activities included cooking classes, food preparation demonstrations, physical fitness programs, salty taste preference test sessions, games, case-study presentations, planning and evaluation of menus, etc. Forty patients participated fully in the program which had 47 female enrollees. Data about nutrient intake (24-hour recall), nutrition knowledge, food behavior were collected before (baseline) and after the program. Changes after program completion indicated the following: 1)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decreased (p < 0.05), 2) sodium (salt) intake was also decreased (p < 0.01), especially baseline high salt intake group, 3) nutrition knowledge was improved (p<0.001), 4) dietary behaviors for maintaining a low salt diet was improved (p < 0.001), 5) participants preferred cooking class from nutrition education methods. As a conclusion, it appears that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 female elderly for reducing the salt intake might effectively decrease blood pressure and salt intake. It also improve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finally adherence to a recommendable low-sodium diet.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5) : 640~652, 2008)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