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비자의 부정적 브랜드 루머의 수용과 확산 (Consumer’s Negative Brand Rumor Acceptance and Rumor Diffus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2.07
32P 미리보기
소비자의 부정적 브랜드 루머의 수용과 확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마케팅학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마케팅저널 / 14권 / 2호 / 65 ~ 96페이지
    · 저자명 : 이원준, 이한석

    초록

    루머는 신뢰할 만한 타당한 근거나 이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광범위하게 이야기되는 일상적인 대화나 의견으로서 오랜기간 소비자 개개인의 사적 영역의 문제였다. 그러나 대중의 사랑과 주목을 받는 기업이나 브랜드는 선천적으로 소비자의 관심으로부터 멀어질 수 없으며, 항상 루머의 주요한 소재가 되어 왔다. 그 결과 현대의 소비자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루머는 기업 경영활동에 중요한 위기 요인이 되고 있다. 기업과 브랜드들이 당면하는 소비자 루머들은 크게 기업과 관련된 음모성 루머와 상품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오염성 루머로 나누어지며 국내외에서 많은 위기 사례들이 발견되고 있다.
    심지어 P&G, SK, 현대, 삼성처럼 잘 정비된 홍보 조직을 갖춘 굴지의 대기업들조차 이런 루머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며, 기존의 대응방식 역시 적절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부정적 루머가 주목받아야 하는 이유는 해당 기업의 매출 및 점유율 하락은 물론 주식 가격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오랜기간 구축해온 소비자와의 관계마저 황폐화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최근 인터넷,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확산과 더불어 브랜드와 관련된 루머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하고 있으나 루머 연구는 지금까지 기업이나 마케팅 연구자의 정당한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루머의 다각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상황주의자적 연구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지각된 유용성, 원천 신뢰성, 메시지 신뢰성, 걱정, 생동감과 같은 루머와 관련된 속성들이 루머 수용강도와 루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상 브랜드와 루머가 제시되었으며, 실증조사를 통한 데이터 수집과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원천 신뢰성, 메시지 신뢰성, 걱정, 생동감 같은 루머 특성 변수들은 루머 수용 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루머 수용강도는 루머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각된 중요성은 루머 수용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상품 관여도의 조절효과 역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주요한 실무적,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 루머를 자연발생적인 사회 현상이 아니라 소비자의 주요 활동의 일부이며, 마케터의 관심과 대응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필요한 브랜드 관련 현상임을 주장하였다. 둘째, 브랜드 루머의 심리적, 사회적인 다차원적 구성 요인과 확산되는 경로를 제시함으로서 루머에 대한 능동적인 관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온라인상의 루머 활동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함으로서 기업들의 적극적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활동과 평판 관리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넷째, 소비자의 걱정과 같은 부정적 정서가 루머의 온상이 되고 있음을 규명함으로서 소비자의 의혹을 불식시키기 위하여 정확하고 진실된 정보를 제공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다섯째, 루머의 유용성이 확산에 미치는 영향 가설이 기각되었으며, 상품 관여도의 조절 효과 역시 기각되었다. 이는 루머를 접하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볼 때, 루머 자체가 무의미하더라도 단순한 재미나 호기심만으로도 얼마든지 확산될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다. 일부 기업들은 사실이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루머를 무시하거나 간과하는 경우들이 있으나, 기업의 예상과 다르게 루머가 얼마든지 확산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기업의 보다 세심한 대응 전략의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다.

    영어초록

    Brand has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considerable marketing research. When consumers consume product or services, they are exposed to a lot of brand related stimuli. These contain brand personality, brand experience, brand identity, brand communications and so on. A special kind of new crisis occasionally confronting companies' brand management today is the brand related rumor.
    An important influence on consumers' purchase decision making is the word-of-mouth spread by other consumers and most decisions are influenced by other's recommendations. In light of this influence, firms have reasonable reason to study and understand consumer-to-consumer communication such as brand rumor.
    The importance of brand rumor to marketers is increasing as the number of internet user and SNS(social network service) site grows. Due to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people can spread rumors without the limitation of time, space and place.
    However relatively few studies have been published in marketing journals and little is known about brand rumors in the marketplace. The study of rumor has a long history in all major social science. But very few studies have dealt with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any kind of brand rumor.
    Rumor has been generally described as a story or statement in general circulation without proper confirmation or certainty as to fact. And it also can be defined as an unconfirmed proposition, passed along from people to people. Rosnow(1991) claimed that rumors were transmitted because people needed to explain ambiguous and uncertain events and talking about them reduced associated anxiety. Especially negative rumors are believed to have the potential to devastate a company's reputation and relations with customers. From the perspective of marketer, negative rumors are considered harmful and extremely difficult to control in general. It is becoming a threat to a company's sustainability and sometimes leads to negative brand image and loss of customers. Thus there is a growing concern that these negative rumors can damage brands' reputations and lead them to financial disaster too.
    In this study we aimed to distinguish antecedents of brand rumor transmission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brand rumor characteristics on rumor spread intention. We also found key components in personal acceptance of brand rumor. In contextualist perspective, we tried to unify the traditional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views. In this unified research approach we defined brand rumor's characteristics based on five major variables that had been found to influence the process of rumor spread intention. The five factors of usefulness, source credibility, message credibility, worry, and vividness, encompass multi level elements of brand rumor. We also selected product involvement as a control variable.
    To perform the empirical research, imaginary Korean 'Kimch' brand and related contamination rumor was created and propos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78 Korean samples. Data were collected from college students who have been experienced the focal product. College students were regarded as good subjects because they have a tendency to express their opinions in detail.
    PLS(partial least square) method was adopted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variables in the equation model. The most widely adopted causal modeling method is LISREL. However it is poorly suited to deal with relatively small data samples and can yield not proper solutions in some cases.
    PLS has been developed to avoid some of these limitations and provide more reliable results.
    To test the reliability using SPSS 16 s/w, Cronbach alpha was examined and all the values were appropriate showing alpha values between .802 and .953. Subsequentl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successfull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using smartPLS(ver. 2.0) s/w. Overall, R2 of adoption of rumor is .476 and R2 of intention of rumor transmission is .218. The overall model showed a satisfactory fit.
    The empirical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variables of brand rumor characteristic such as source credibility, message credibility, worry, and vividness affect argument strength of rumor. And argument strength of rumor also affects rumo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argument strength of rumor is not significant.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involvement on the relations between argument strength of rumor and rumor W.O.M intention is not supported neither.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some managerial and academic implications. We consider some implications for corporate crisis management planning, PR and brand management. This results show marketers that rumor is a critical factor for managing strong brand assets. Also for researchers, brand rumor should become an important thesis of their interest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and brand. Recently many brand managers and marketers have focused on the short-term view. They just focused on strengthen the positive brand image. According to this study we suggested that effective brand management requires managing negative brand rumors with a long-term view of marketing decis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마케팅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