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國 漢詩에 나타난 ‘소[牛]’의 形象 (The Image of ‘Cow’ Observed in Sino‐Korean Poe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5.03
30P 미리보기
韓國 漢詩에 나타난 ‘소[牛]’의 形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62호 / 145 ~ 174페이지
    · 저자명 : 김창호

    초록

    본 논문은 한국 한시에 등장하는 동물 제재 가운데 하나인 ‘소’의 形象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특히 인간과 자연의 경계에서 가장 인간화된 동물로서의 소의 형상에 주목하고자 했다.
    본 논문은 소의 형상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는 ‘名利를 벗어난 경계, 無拘束의 상징으로서의 소’에 대해 검토하였다. ‘牧牛, 騎牛’와 ‘그것을 둘러싼 공간’은 시인들에게 각각 ‘명리 추구와 대척적인 행위’, ‘언젠가는 돌아가야 할 귀의처’로서 인식되었다. 시인들은 이러한 제재를 다루면서 현실에서의 불평을 해소하고 전원에 대한 그리움을 달래고자 했다. 둘째는 소의 ‘느린 걸음’과 ‘널찍한 등’에 주목하여 ‘자연을 향한 리듬과 몸짓’이라는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널찍한 등에 앉아 느린 걸음에 몸을 맡긴 채 길을 가는 것은 한가함의 한 상징이었다. 이뿐 아니라 ‘더딘 속도’는 대상 경물을 精密하게 보게 함으로써 그 妙處에 다다르게 하며, 沒入을 통한 정신경계의 확장까지도 가능하게 했다. 셋째는 ‘農耕의 資産, 利慾의 契機’라는 관점에서 농가에서의 소의 의미를 드러내고, 이용가치에 따라 변화하는 다양한 인간 감정을 포착하고자 했다. 사람들은 노동력의 원천으로서 소를 중요시 했지만 경제적 이욕을 위해 소에 부담을 가하고 착취를 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소를 소중하게 여기는 마음이 利己心, 蔑視, 非情함으로 바뀌기도 하고, 그 끝에는 다시 애틋함, 憐憫 등의 반성적인 태도로 돌아오기도 했다. 다층적인 인간 감정을 어떤 동물보다도 잘 이끌어 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소는 전통적인 농경사회의 한 축으로 田園的 삶의 健康性을 대변하였으며, 또 牧歌的 理想鄕의 中心에 있었다. 그리고 소 특유의 형태와 동작이 한가함의 상징을 넘어 자연을 玩賞하고 精神 境界를 擴張해 가는 方式, 態度와 합치하고 있었음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한편 조선 후기 상업자본의 유통과 함께 소가 보다 도구화되고 있는데 이는 중기 이후 兩班의 殘班化와도 관계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image of ‘cow,’ one of the animals appearing in Sino‐Korean poems. Specifically,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image of cow as the most humanized animal on the boundary between man and nature.
    In this study, the image of cow was approached from three aspects. First, ‘cow as a symbol of unrestraint (無拘束) beyond the boundary of fame and wealth’ was examined. ‘Cattle breeding (牧牛) and cow riding (騎牛)’ and ‘the surrounding space’ were perceived by poets as, respectively, ‘behavior antipodal to the pursuit of fame and wealth’ and ‘the place to return someday.’ Second, paying attention to ‘slow walking’ and ‘broad back’ of cow, the poets tried to explain cow from the viewpoint of ‘rhythm and motion toward nature.’ Traveling on the broad back of a cow walking slowly is a symbol of leisure. Not only this, slow walking also allows the traveler to observe scenic objects thoroughly until reaching a mystic place and even expanding the boundary of mind through absorption. Third, from the viewpoint of ‘agricultural asset and opportunity of greed (利慾),’ cow in the poems revealed the meaning of possession at farmhouses and captured various human emotions changing in response to utility.
    A cow represented the health of rural life as a key element of traditional agricultural society, and stood at the center of the pastoral ideal land. It is particularly notable that, going beyond a symbol of leisure, cow’s unique shape and movement coincided with the style and attitude of appreciating nature and expanding mind. On the other hand, cow was instrumentalized further along with the spread of commercial capital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is seems to be associated with the downfall of yangban (兩班). With regard to thi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