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만인소 운동의 철학적 배경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e Maninso Movement during the Joseon Dynast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9.03
30P 미리보기
조선시대 만인소 운동의 철학적 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38호 / 429 ~ 458페이지
    · 저자명 : 이상호

    초록

    이 논문은 조선시대 만여 명 이상이 연명하여 공론의 이름으로 왕에게 청원했던 만인소 운동의 철학적 배경과 그 의미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7번의 만인소 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이 가운데 1823년에 이루어졌던 서얼철폐만인소를 제외하면 6번의 만인소 운동은 모두 영남 지역에서 시작되어 영남을 중심으로 운동이 진행되거나 혹은 이를 기반으로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이 때문에 만인소 운동에 대해 우리 역사에서는 ‘영남 만인소’로 부르기도 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만인소의 철학적 배경이 무엇인지를 해명하고 이를 통해 왜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이러한 운동이 강하게 일어났는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만인소 운동은 각각의 사안에 따라 각각 다른내용이지만, 이를 통해 이들이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는 중심 문제는 ‘올바름의수호’였다. 물론이 ‘위정衛正’은 유학의 이념에 근거한 것으로, 명분과 이념, 원칙, 도道 등의 개념으로 치환되었다. 왕통의 정당성 확보를 통해 왕도정치의 이념을실현해야 한다는 생각으로부터, 유학 정신의 본산인 서원을 보존함으로써 유학의원기元氣를 지켜야 한다는 생각, 나아가 밀려오는 외세 사상을 ‘악함’으로 규정하고 그에 맞서 동양의 도를 지키려는 노력 등으로 이어졌다. 이와 같은 위정의문제는 결국 위도衛道의 문제로 치환되고 있는데, 이 도道를 지켜야 한다는 입장은현실을 기器(氣)로 이해하면서 도의 주도적인 역할을 통해 기를 통제하고 이끌어야 한다는 주리론적 사유의 한 단면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만인소운동이 리를 중심에 두고 사유하는 영남학파의 유생들에 의해서 이루어졌다는사실을 상기해 보면, 결국 위정의 문제는 주리론적 사유를 배경으로 등장했던현실문제 해결론으로 이해할 수 있다. 퇴계학의 주리론이 만인소 운동의 사상적배경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하는 대목이다. 만인소 운동은 이러한리 철학을 기반으로 목숨을 걸고 현실을 바꾸어 보려 했던 ‘실천 철학’의 성격을강하게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만인소 운동은 강한 주리론과 실천철학을중심으로 한 퇴계학에 근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선함의 원칙과 당위, 명분등으로 지칭되는 리의 영역을 유난히 강조하고, 이를 통해 유학의 지향점을 현실에서 실현하려 했던 방법으로 드러났던 사례 가운데 하나가 바로 만인소 운동이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Maninso Movement, in which more than ten thousand people signed and submitted petitions to the king in the name of public opinion (Gongron, 公論)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re had been seven Maninso Movements during Joseon. With the exception of the 1823 Maninso to stop discrimination related to Seoeol(illegitimate birth, 庶孼), the remaining 6 Maninso Movements either started from and progressed in the Yeongnam area, or commenced in the Yeongnam area and expanded to the whole country. For this reason, the movement is also referred to as “Yeongnam Maninso” in Korean history. With this in mind, the paper aims to explain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Maninso, and examine the reasons why the movement emerged so strongly in Yeongnam as its core area.
    While each Maninso Movement based in the Yeongnam area addressed different topics, the major issue that they constantly raised was “protection of Wijeong (righteousness, 衛正).” Wijeong is based on Confucian philosophy, and was replaced with concepts of justification, ideologies, principles, and ways (道). Then, this was followed by ideas of realizing the principles of the royal government through securing the legitimacy of royal rule, protecting the fundamental power (元氣) of Confucianism by preserving Seowon, the foundation of Confucian spirit, and making efforts to define foreign ideas as “evil” and maintain Eastern principles. The above issue of Wijeong was eventually replaced with the issue of Wido (衛道). This view that the way (道) should be protected reveals an element of Juriron (主理論) ideas, that reality needs to be understood through Gi (energy, 氣), and that such energy should be controlled and led through the leading role of the way. If one keeps in mind that the Maninso Movement was led by Yusaeng of the Yeongnam School, which was based on Li (理) as its core valu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issue of Wijeong as a solution to the practical problems that emerged, with Juriron principles as their background.
    This is where one can see how Juriron of Toegye Hak (Toegye studies) served a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e Maninso Movement; it strongl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al philosophy that people adopted into their lives to change reality based on Li philosophy. Thus, it can be known that the Maninso Movement was in accordance with Toegye Hak, which was based on strong Juriron and practical philosophy. The Maninso Movement was one of the examples in which where the area of Li, which was referred to as principles, legitimacy and justifications of righteousness, was exceptionally highlighted, and goals of Confucianism were attempted to be represented in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