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비자의 행복한 공간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내러티브 분석을 통한 소비자장소 경험의 진화 모형 도출 (An Exploratory Study on Consumer Experience of Place Happiness: Developing a Dynamic Model of ‘Consumer Place’ by Using Narrative Analysis)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7.10
46P 미리보기
소비자의 행복한 공간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내러티브 분석을 통한 소비자장소 경험의 진화 모형 도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학연구 / 28권 / 5호 / 25 ~ 70페이지
    · 저자명 : 라선아, 김지호, 이준영, 김소연

    초록

    본 연구는 인간의 존재방식 및 삶의 질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공간’을 소비의 대상으로 보고, 소비자가 행복감을 느끼는 공간경험의 본질과 과정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행복한 공간경험에 대한 소비자의 실제 경험을 기록한 에세이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총 38건의 에세이 내러티브를 수집하여, 부정적 경험을 표현한 3건을 제외한 35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소비자의 공간-장소 경험의 진화 모형’을 도출하였다. ‘공간(space)’은 아직 의미를 부여받지 못한 물리적 범위에 불과하나, 소비자가 공간을 경험하면서 의미를 부여함에 따라 ‘장소(place)’로 재탄생한다. 소비자는 특정 공간에서 ‘장소감’을 느낀 후 그 장소를 개인화, 인격화, 내면화하는 과정을 거쳐 ‘장소애착’을 형성한다. 애착을 느끼는 장소에 장소동일시, 장소소속감, 장소주인의식을 갖게 되면서 장소충성도가 형성된다. 장소충성도는 그 장소를 위한 소비자의 (과잉)상호호혜적 보답행동이나, 장소경험을 재생산 및 의례화하려는 행동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소비자의 장소행동은 장소의 보존과 번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그 과정에서 소비자는 ‘장소행복감(place happiness)’을 얻게 되는데, 이 행복감은 소비자의 장소경험 사이클을 추진하고 강화한다. 장소는 나름의 수명주기를 가지며, 소비자 요인 및 외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 변화한다. 장소변질이나 장소소실이 발생하면 소비자는 장소소외감과 장소노스탤지어를 느끼게 되어 대안장소에 대한 추구행동을 보인다. 요컨대, ‘소비자의 공간-장소 경험’은 역동적 진화과정으로, 소비자의 삶의 질과 행복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장소감’ 형성의 요건으로 ‘현장’, ‘사람’, ‘이벤트’의 장소 3요소를 적용하여, 소비자 공간-장소 경험의 본질과 과정을 심도 있게 분석하며, 소비자 공간경험을 위한 체험마케팅 믹스로 기존의 5믹스인 감각, 정서, 인지, 행동, 관계 차원에 기억, 문화의 두 차원을 추가한 체험마케팅 7믹스를 제안한다. 또한, 공간 내 사람요소의 중요성을 반영한 ‘소비자장소의 사회적 생태계’ 모형을 도출하였고, 기존의 공간분류 모형도 확장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행복 연구의 광활한 지평에서 ‘공간’과 ‘경험’이 겹쳐질 때 창출되는 ‘소비자장소’의 가능성을 여는 데 공헌하였고, 민간기업과 공공부문에서 소비자행복을 높일 수 있는 공간계획과 운영에 기초자료로 참조할만한 시사점도 제공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substance of consumer experience of ‘place happiness’ by adopting the perspective that ‘space’ is one of consumption objects in modern world. Space is considered as a factor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way of human existence and quality of life. For data collection,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write an essay that would describe the real consumer experience of a space which rendered feelings of happiness to him/herself. Thirty- eight essays were collected including three negative episodes which were eventually eliminated on the final stage of narrative analysis. The analysis provided an comprehensive model that showed a dynamic process of consumer space-place experience over time. Space is defined as a meaningless geological spatial area, but once it is given a meaning by a consumer, the space is converted to a place. A place is a new version of a space, which means a rebirth of the space. When a consumer feels a sense of place and goes through processes of place personalization, place personification and place internalization, the consumer develops emotional attachment to the specific place. As the consumer begins to develop place identification, place belonging, and place responsibility toward the specific place that he/she feels emotionally attached to, place loyalty burgeons. The essence of place loyalty is characterized by (over)reciprocity, place reproduction and place ritualization. Loyal behaviors may play a positive role in preservation or prosperity of the place, and also create the consumer’s place happiness. Place happiness reinforces a positive cycle of consumer place experience. A place follows its own life-cycle, which could be affected not only by the consumer factor but also by the other factors from outside. Some places become deteriorated or lost over time, which might cause consumers feel place alienation or place nostalgia. If a consumer feels alienated from the existing place or feels nostalgia for the lost place, a new cycle of consumer space-place experience will be initiated, which is triggered by consumers’ searching efforts for an alternative place. In sum, consumer space-place experience is a dynamic cycle which affects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of the consumer. The study provides in-depth analysis on three elements of place, that is, loci, people, and event, by presenting related narrative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and a framework of seven dimensions of experiential marketing mix for creating happy experience of consumer place: senses, feeling, thinking, activity, relation, memory and (sub)culture. Also, the study proposes a model of social ecosystem in consumer place and an extended model of space typology. The study contributes to consumer happiness research and yields implications to management of consumer place across private and public sectors.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consumer-place evolution dynamics shown in <Figure 1>. This picture demonstrates the holistic process of how a space creates a place to a consumer and evolves to place happiness i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p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