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술관의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을 통한 온라인 전시 활성화에 관한 연구 -국립현대미술관 온라인 플랫폼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Online Exhibition through Servitization of the Museum A Study on Activation -Concentrating on Case from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s Online Platform Exhibition-)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1.06
13P 미리보기
미술관의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을 통한 온라인 전시 활성화에 관한 연구 -국립현대미술관 온라인 플랫폼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7권 / 2호 / 131 ~ 143페이지
    · 저자명 : 박성빈, 김인성

    초록

    2020년 대규모 팬데믹(Pandemic) 사태 이후로 모든산업들은 빠르게 오프라인에서 온라인화로 되어 가고있으며, 새로운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을접목하는 것이 비즈니스에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이에 문화, 예술 전시 분야에서도 오프라인 전시가 불가한 시대 흐름에 미술관의 온라인화 또한 발전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전부터 경쟁이 치열했던 제조업계에서는 IT 기술을 접목한 서비스를 적용하여 새로운 비지니스 모델을 창출하며 발전을 모색하고 있었기에온라인화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문화, 예술 전시 분야의 발전을 모색하고자 국가를 대표하고 IT 기술을 접목한 온 오프라인전시를 선도하고 있는 국립현대미술관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전 세계적 팬데믹 사태 이후 시점인국립현대미술관의 2020년 2월에서 8월까지 진행된 온라인, 오프라인 총 4개의 전시 사례를 제품과 서비스의 결합인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연구모델은 라자(Raja)1)의 IT 기술을 접목한 서비타이제이션 서비스 사용가치 7가지 특성 중전시서비스에 맞추어 보완한 관계성, 접근성, 제품 및서비스 제공범위, 지식, 가격, 인접성을 6가지 분석 항목으로 설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2). 또한 본 연구의연구대상에 해당되는 전시를 관람한 수도권 거주 문화, 예술 전시 분야의 전문가 30-40대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18개의 항목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5점척도로 환산한 자료를 분석하여 연구의 객관성을 보완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전시는 오프라인 전시에 비해 관계성 측면에서 미술관과 관람객 사이에 소셜 플랫폼(Social Platform)을 활용한 소통으로 관람객과 원활한 유대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온라인으로 관람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 거리의 제약 없이언제 어디서나 전시를 편하게 관람할 수 있는 접근성또한 뛰어났다. 무료로 진행되고 있었기 때문에 비용에 대한 부담 또한 없으며,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있는 학예사의 심도 있는 작품설명 서비스 또한 무료로 제공되어 오프라인 전시보다 온라인 전시의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IT 기술이 발전한다고해도 작품을 실제로 보는 것 같은 감동과 경험을 주지는 못할 수 있으나 시대 흐름에 맞는 온라인 전시발전으로 잠재적인 관람객까지 수용하면 좀 더 전시분야의 대중화가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한 미술관의역할이 필요할 것이며, 본 연구를 토대로 전시 분야의더 나은 발전을 기약하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Since the massive Pandemic crisis in 2020, all industries have become online from offline more quickly, and incorporating new IT technologies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for business. As a result, the onlineization of art galleries is also in urgent need of development at a time when offline exhibitions are not possible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exhibitions.
    The manufacturing industry, which had been fiercely competitive from the past, was looking for development by creating new business models by applying services that incorporated IT technology, so it was possible to expect the development of onlineization.
    In response, this study selected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which represents the country and leads the online and offline exhibition incorporating IT technology,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culture, art, and exhibition fields. Also, this study compared a total of four online and offline exhibitions conduc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from February to August 2020 selecting and analyzing seven characteristics of servitization value into six analytical categ ories: relativity, accessibility, product and service coverage, knowledge, price, and proximity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exhibition service. In addition, the survey of 20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30s and 40s who attended the exhibi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as conducted in 18 categories, and the objectivity of the study was supplemented by analyzing data converted to total score of 5. According to the research, online exhibitions were able to maintain smooth ties between art galleries and visitors through social platform communication in terms of relationships compared to offline exhibitions. Since it was being carried out free of charge, there was no burden of cost and an in-depth work explanation service by a scholar with professional knowledge was provided free of charge, indicating that online exhibitions were more satisfying than offline exhibitions.
    Even if IT technology advances, it may not give you the impression and experience of seeing the work in person, but if you accept potential visitor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online exhibitions according to the times, you will be able to popularize the exhibition field more.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hat the exhibition field will be better develop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