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해 웨스트번드 뮤지엄을 통한 문화적 재생 방향에 관한 연구 - 리노베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ultural Regeneration through the West Bund Museum in Shanghai – Focusing on renovation cases -)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0.04
14P 미리보기
상해 웨스트번드 뮤지엄을 통한 문화적 재생 방향에 관한 연구 - 리노베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5권 / 3호 / 195 ~ 208페이지
    · 저자명 : 김희근, 오주석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에서 근대 산업 유휴시설은 지역적, 사회적, 문화적 욕구를 고려해 새로운 공간으로 재생되고 있다. 특히 중국은 1990년대 후반 ‘문화산업’이 활기를 띠기 시작하였고, 상해 황푸강 일대는 2010년 상해엑스포를 위해 개발되었다. 이와 연계해 상해시청과 슈후이구청은 과거 교통, 물류, 생산의 중심지였던 웨스트번드 지역의 대규모 공장과 공항을 2010년 폐쇄하고, 국영기업인 웨스트번드그룹의 주도로 ‘슈후이 수변지역’개발을 통해 성공적인 문화적 재생을 이루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 예술 불모지로 불리었던 상해 웨스트번드 지역의 형성과정과 문화적 재생을 통해 재생된 뮤지엄 사례를 건축 및 공간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사례분석 결과 및 문화적 재생 방향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의 지리적 범위는 슈후이구 동쪽이자, 황푸강 상류 일대 웨스트번드 지역으로 한정한다. 공간적 범위는 웨스트번드 내 건립된 리노베이션 뮤지엄 4개관으로 한정한다. 연구방법은 첫째, 문헌자료를 통한 문화적 재생에 관한 배경 및 정의, 특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사례분석을 위한 요소들 도출한다. 둘째, 인터뷰자료, 문헌자료 등을 활용해 웨스트번드 지역의 형성과정 및 현황, 정책을 고찰한다. 셋째, 문화적 재생특성을 중심으로 도면, 사진을 활용한 사례분석을 진행한다. (결과) 분석한 결과는 첫째, 4개 사례 모두 정체성 측면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특히 과거의 기억과 전시공간의 성격을 고려한 공간계획이 우수하다. 둘째, 웨스트번드 아트센터와 탱크상하이는 외부 공공공간 조성을 통해 지역 내 사회적, 문화적 공공공간으로의 역할 및 가치가 높다. 마지막으로 웨스트번드 아트센터 외의 사례에서는 상업적인 운영 전략 및 전시유치에 집중하고, 지역 내 공공문화시설로서의 역할은 부족하다. (결론) 본 연구는 웨스트번드 지역 내 건립된 리노베이션 뮤지엄 사례를 통해 문화적 재생 방향 모색을 정성적 연구방법을 통해 진행하였다.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요약을 하자면 상해시청과 국영기업인 웨스트번드그룹이 주도한 합작 프로젝트는 성공한 문화적 재생사례로 가치가 높다. 따라서 개인이 아닌 문화적, 사회적으로 올바른 인식을 가진 공공단체를 위주로 한 ‘정부주도형 시장기반 운영’ 정책이 중요하다. 더 나아가 사업성과 공공성의 균형을 고려한 D.I(District Identity)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문화적 재생시설과 주변과의 스케일 균형 및 연계성을 고려한 개발 방향이 필요하다. 방문객과 지역 주민들의 일회성 방문공간이 아닌 정주성을 높일 수 있는 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과 보행자 중심의 세심한 공공디자인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n modern society, idle industrial facilities are being regenerated into new spaces in response to regional, social, and cultural needs. In particular, China began to see the activation of the “culture industry” in the late 1990s, and the Huangpu River area in Shanghai was developed for the Shanghai EXPO in 2010. In 2010, Shanghai City and Xuhui District shut down large factories and airports in the West Bund, which was formerly the center of transportation, logistics, and production, achieving successful cultural regener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Xuhui Waterfront Master Plan" under the initiative of the state-run West Bund Group. This study considers the architectural and spatial aspects of the formation process and renovation museum cases in Shanghai’s West Bund, formerly called the “artless land.” Furthermore, the study aims to identify specific analysis results and cultural regeneration directions. (Method) The study’s geographical scope is limited to the West Bund in the Xuhui District and upstream of the Huangpu River. The spatial scope is to include four renovated museums built in the West Bund. First, the research method analyzed the background,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regeneration through literature. Next, the factors for case analysis were derived. Second, the West Bund’s formation process, status, and policies were studied using interview and literature data. Third, a case analysis, using drawings and photographs,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cultural regeneration characteristics.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all four cases received outstanding evaluations in terms of identity. In particular, space planning is excellent, considering past memor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Second, through the creation of exterior public spaces, the West Bund Art Center and Tank Shanghai have high values as social and cultural public spaces in the region. Finally, in all cases except the West Bund Art Center, the focus is on commercial operation strategies and exhibition attraction, while its role as a public cultural facility in the region is lacking. (Conclusions) This study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ultural regeneration through the case of a renovated museum in the West Bund. In sum, the “government-guided, market-based operations” policy is an important government policy that focuses on public organizations with cultural and social perceptions, rather than on individual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istrict identity (DI) that takes into account the balance between business and publicness. Moreover, development directions are needed, considering the scale balance and connectivity with respect to cultural regeneration facilities and their surroundings. Instead of a one-off visiting space for visitors and residents, there is a need for social overhead capital and public design to benefit pedestri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