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스톨레이션 공간의 신성(神聖)적 표현 특성 - 왕립예술학회 회원을 중심으로 - (Sacre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Space - Focusing on Royal Academicians -)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1.08
16P 미리보기
인스톨레이션 공간의 신성(神聖)적 표현 특성 - 왕립예술학회 회원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5호 / 163 ~ 178페이지
    · 저자명 : 조은환, 이찬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공간디자인의 표현에 있어서 우리는 인간의 인식을 넘어서는 초월적인 감정들을 마주하고 경험하며, 그 공간적 경험과 대상을 신성하다고 인식하거나 설명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본 연구는 신성함에 대한 이해가 인류의 발전과정에서 어떻게 해석되고 사용되어 졌는지를 탐구하는 과정 속에, 신성에 대한 표현이 공간디자인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연구함으로서, 신성의 인식이 종교적 인식에서 나아가, 공간디자인의 보편적 표현의 방법으로서 이해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갖는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신성(神聖) 개념은 종교학의 개념을 통하여 이해하고자 한다. 공간디자인으로서의 분석대상은, 공간적 경험을 통해 작품을 구현하며 현대미술의 독립적 단어로서 규정되고 있는 인스톨레이션(Installation)에 관한 것으로 범위를 한정하되, 현대 인스톨레이션의 대표성을 규정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 있는 영국왕립예술학회가 작가의 전 생애를 평가하여 선정하는 멤버쉽인 RA(Royal Academicians)의 현재 구성원 중 인스톨레이션 작가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는 종교학에서 신성을 독립적으로 연구한 비교종교학자 루돌프 오토와 멀치아 엘리아데의 개념과 함께, 고대의 대표적 건축사례를 통해 신성의 공간구조와 언어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Royal Academicians의 인스톨레이션 공간을 분석하여, 신성에 대한 인스톨레이션의 표현방법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결론을 유도한다. (결과) 분석결과 RA의 인스톨레이션 작품들에 있어 신성적 공간 표현은 첫 번째, 역설적이며 이중적인 방식으로서 양가적 표현을 동반하고 있다. 작가들은 이를 표현하기 위해, 대립되거나 모순된 배치를 공간에 함께 연출하거나, 공간의 시퀀스 속에서 상반된 표현들을 연결시키는 방식들을 선호하고 있다. 두 번째, 인스톨레이션에서 신성의 표현은 선험적 인식을 바탕으로 인간의 근원적 인식과 태초의 원형을 모방하는 방식으로 인식주체에게 종교적 절대타자를 인식하게 한다. 이를 위해 작가들은 자연물의 원형과 속성을 공간과 시간에 입각하여 재현하고, 청각과 후각까지 자극을 연계하여 인식주체가 인식 너머의 세계를 상상하게 유도한다. 세 번째 신성표현은 절대적으로 다른 공간과 표현을 통해 인식주체를 속(俗)과 분리시킨다. 이를 위해 작가들은 탈일상적이며 경이롭고 기이한 설치물을 첨단기술이나 기계장치를 동원하여 연출하거나, 인식주체와 대비되는 스케일의 구조, 시각적 확장 효과등을 통해, 인식주체가 설치를 어마어마한 거대함으로 인지되게 하여, 속과 단적으로 괴리된 경험이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결론) 종교적 신성개념이 적극적으로 표현된 인스톨레이션 공간 사례들을 통해, 신성의 표현특성이 실제 작가들에 의해 어떠한 표현방법을 통해 드러났는지 분석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종교적 관념이던 신성의 개념을, 공간디자인의 표현방식에 보편적 개념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We face and experience transcendent emotions beyond the scope of human cognition, and while expressing spatial design, we often recognize and portray such spatial experience and space as being sac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t sacred recognitions be understood as universal expressions of spatial design beyond religious understanding. It does so by examining how sacred expressions can be embodied in spatial design while exploring how the understanding of sacredness has been interpreted and us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human beings. (Method)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acredness based on what is derived from the science of religion. The scope of analysis of spatial design is limited to installation, which embodies a work with spatial experience. Additionally, it is identified as independent work in modern art. Installation artists especially, among the incumbent members of Royal Academicians (RA), were included as subjects. The Royal Society, which is the most authoritative organization, endows such membership by evaluating the entire life of each artist. This study draws sacred spatial structures and words by investigating the concepts suggested by Rudolf Otto and Mircea Eliade, comparative religious scholars who independently examined the sacredness in the science of religion. Therefore, it comprehensively arranges installation expressions about sacredness and deduces a conclusion by analyzing the installation space arranged by artists selected as Royal Academicians. (Results) The sacred spatial expressions appearing in RA’s installation works were analyzed to show that first, such expressions are accompanied with ambivalent ones as paradoxical and dual styles. For expressions, the artists prefer producing contrast or contradictory deployment in a space or connecting incompatible expressions in spatial sequence. Second, sacred expressions for installation allow cognizant subjects to recognize the religious “Absolute Other” by imitating human original cognition and archetypes that existed in the beginning of time based on a priori cognition. For such recognition, Third, sacred expressions separate cognizant subjects from secularity(俗) by using absolutely different spaces and expressions. For such separation, artists produce installations which are out of ordinary, marvelous, and strange by mobilizing high-technology or machinery, or encourage cognizant subjects to undergo experiences completely detached from secularity. This is done by letting them recognize installation works as tremendous ones from scale structures contrary to those of cognizant subjects as well as by a visual extension effect. (Conclusions) It was possible to analyze what expressions used by actual artists can reveal sacred expressive characteristics by referencing to the installation space cases in which the concept of religious sacredness was actively expressed. This study’s results would promot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oncept of sacredness, which has been a religious notion, as a universal one that could be used for expressions of spatial de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