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존 로스의 『예수셩교누가복음젼셔(1882)가 한글 성경 번역에 끼친 영향과 과제 : 누가복음 20-24장을 중심으로 (John Ross’s Korea Gospel of Luke(1882) and Its Influence on the History of Korea Bible Translation)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2.09
55P 미리보기
존 로스의 『예수셩교누가복음젼셔(1882)가 한글 성경 번역에 끼친 영향과 과제 : 누가복음 20-24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독교와 역사 / 57호 / 141 ~ 195페이지
    · 저자명 : 이두희

    초록

    존 로스와 그의 한국인 동역자들이 번역 출간한 『예수셩교누가복음젼서』는 우리말로 번역된 최초의 성경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이 성경은 한국인 동역자들이 먼저 중국어 성경에서 번역한 초고를 바탕으로 존 로스가 (그 이전에는 매킨타이어가) 그리스어 성경 및 영어 성경과 대조하며 완성해 나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사용된 중국어 성경과 영어 성경과 그리스어 성경은 어떤 판본이었을까? 로스가 1882년에 누가복음을 출간할 당시에 입수 가능했던 주요 중국어 성경으로는 『대표자 역본』과 『브리지만 컬버슨 역본』과 『관화 역본』 등이 있었고, 영어 성경으로는 『제임스왕역』(1611)과 『영어개역』(1881)이 있었다. 그리스어 성경으로는 이른바 『공인역본』(Textus Receptus)과 『그리스어 개역』(1881)이 있었다. 이 가운데 로스 팀은 중국어 성경으로는 『대표자 역본』, 영어 성경으로는 『제임스왕역』, 그리스어 성경으로는 『공인역본』을 주로 참고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로스가 누가복음을 출간하기 전에 『영어 개역』과 『그리스어 개역』이 출간되기는 했지만, 새로 출간된 『영어 개역』과 『그리스어 개역』을 꼼꼼히 참고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을 것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로스가 『대표자 역본』을 주로 사용했을 것이라고 보는 까닭은 여러 사료에서 로스가 중국어 ‘문리’ 역본을 참고했다는 언급이 나오는데, 이 ‘문리’ 역을 『대표자 역본』과 동일시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표자 역본』이 문리체로 번역되기는 했지만, 문리는 번역의 문체를 말하는 것이지, 역본의 이름을 가리키지는 않는다. 기존 견해들이 지닌 문제점은, 로스가 누가복음을 번역할 당시 사용했던 주요 그리스어 및 외국어 성경에 대한 추론이 실제 성경 본문의 비교 검토에 바탕을 둔 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견해는 성경 본문의 비교 검토가 아니라 사료에 근거한 부정확한 추측에 바탕을 두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이 논문에서 로스가 당시 입수할 수 있었던 주요 원어 및 외국어 성경들과 로스 팀이 번역한 누가복음을 성경 본문에 기초하여 비교 검토함으로써, 이 문제를 다시 들여다보고자 한다. 소논문의 범위를 고려해서 연구 대상 본문은 누가복음 20-24장을 중심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본문들도 참고하기로 한다. 이 논문은 그러한 연구에 기초하여, 기존의 통상적인 견해와는 달리 로스 팀이 『브리지만-컬버슨 역본』과 『영어 개역』과 『그리스어 개역』을 주요 자료로 활용하였음을 논증해 낼 것이다.

    영어초록

    The first Korean Bible is the Gospel of Luke translated in 1882 by John Ross and his translation team including MacIntyre and Korean co-workers It has a historical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Bible translation history and its socio-cultural impacts. It is known that Korean co-workers first prepared the drafts of the translation from the Chinese Bible and then John Ross completed the translation comparing it to the Greek and English Bibles. The question here is, which versions of the Bible were used for their translation. When Ross’s team was working on their translation project, there were at least two available versions of the Bible respectively for Chinese, English and Greek: the Delegate’s Version, Bridgeman-Culbertson Version and Colloquial Version; King James Version and English Revised Version; Textus Receptus and Greek Revised Version. Many scholars regard the Delegate’s Version (Chinese), King James Version (English) and Textus Receptus (Greek) as primary sources for Ross’s team. Before Ross published the Gospel of Luke, English Revised Version and Greek Revised Version were available. But it has been thought that there was not enough time to meticulously refer to them. Regarding the Chinese version, there was a misconception of ‘Wen-li’ mentioned in historical sources. ‘Wen-li’ indicates a literary style used in translation, but scholars identified ‘Wen-li’ with the Delegate’s Version. It was because the Delegate’s Version employed a ‘Wen-li’ style. The issue here is that this view depends on historical documents and incorrect conjectures based on them, not comparative researches on the biblical texts of the each version with Ross’s edition. Thus, this study aims to reconsider the question of the primary sources for Ross’s the Gospel of Luke, based on the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Ross’s version with Chinese, English and Greek versions available to Ross’s team back then. This study, mainly focusing on Lukan Gospel’s chapters 20-24 due to its limitation, will demonstrate that Ross’s team used as their primary sources Bridgeman-Culbertson Version, English Revised version and Greek Revised Version as well as Delgate’s Version, King James version and Textus Receptus. This study will help scholars to look at the present issue quite differen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기독교와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