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서셈어문학과 비제사장계 문학사 관점에서 바라본 전도서에 대한 새로운 연구 (A New Study on the Book of Ecclesiastes from the Perspective of Northwest Semitic Literature and Non-Priestly Literary Histor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4.03
40P 미리보기
북서셈어문학과 비제사장계 문학사 관점에서 바라본 전도서에 대한 새로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약학회
    · 수록지 정보 : 구약논단 / 30권 / 1호 / 209 ~ 248페이지
    · 저자명 : 최종원

    초록

    전도서의 지혜는 이스라엘의 전통적인 지혜를 근거로 하여 “모든 것이 헛되다”라는 보편주의적 입장을 받아들이면서 새로운 시대와 사상을 통하여 전통적인 지혜를 비판하고 있다. 지금까지 전도서의 연구 방향은 다섯 가지의 주제로 정리할 수 있다. (1) 전도서의 구조, (2) 사회 문화적인 문맥, (3) 정경과의 비교, (4) 유대와 기독교의 해석사 문제, (5) 철학과 신학의 관계 접근 방향이다. 일반적으로 문헌사적으로 전도서의 지혜에 대한 연구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그리고 초기 헬레니즘 문헌과 연계하여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다른 한편으로 전도서의 내용은 구성사적으로 ‘헛됨’(1:2)으로 시작하고 ‘헛됨’(12:8)으로 끝을 맺는다. 이러한 틀과 테두리는 본문의 전체적인 구조를 의미 있게 제시하고 있다. 특히 문학적으로 전도서의 변곡점은 전도서 5장 1-7절이다. 이 부분을 중심으로 전도서는 후반부에서 ‘즐거움에 대한 촉구’가 강조되어 있다(5:17-19; 9:7-10; 11:9). 이러한 흐름은 전도서의 중심 사고를 제안하는 몇 가지 중심 주제어를 통하여 새롭게 제안되고 있다. 그 주제어는 “내가 (다시) 해 아래에서 보았다.”, “내 마음속으로 이르다”, “일반이다”, “하나님을 경외하다”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주제들은 전도서의 특별한 교차대칭구조에 의하여 잘 구성되어 있다. ‘해 아래에서’라는 문구의 사용은 북서셈어조약 문헌인 스피르 비문과 페니키아 석관묘에 기록된 비문에서 나타나고 있다. 구조적으로 전도서에서 ‘해 아래에서’라는 문구는 대칭구조로서 짜여 있다. “내 마음 속으로 이르다”라는 문구 역시 북서셈어 문헌인 스피르 비문에서 계약자와 피계약자 간의 순종의 의미를 내포하며 청자의 결단을 표현하고 있다. 이는 신명기에서 계약의 내적 장치로서 활용되고 있으며 지혜 문헌과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또한 “일반(hrqm)”의 구조는 북서셈어조약의 구성과 유사하게 사슬구조(Kettenstruktur) 형식과 동시에 교차대칭구조로 적용되고 있다. 끝으로 전도서의 구조 안에서 “하나님을 경외하다”의 개념은 오경의 비제사장적 본문의 사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구성사적 접근 방법과 전통사적 방법을 통하여 볼 때, 전도서 전체 구조가 특별히 지금까지 잘 소개되지 않은 북서셈어권의 영향아래 있음과 특별히 비제사장계(non-P)의 문학 양식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내용 면에서 전도서가 지혜 특징을 고대 그리스 문화권과 대화를 시도하면서, 전도서 저변에 흐르는 근본적인 사고는 북서셈어 문화권 전통과 신명기 신앙 사고 위에서 해결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이 구조를 통하여 전도서는 전통 지혜를 비평하면서 동시에 “여호와 경외”에 대한 근본적인 사고를 놓지 않으려고 한다. 이것이 전도자의 갈등이며 현재를 즐기라고 강조하는 새로운 요청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wisdom of Ecclesiastes accepts the universalist position that “everything is vain” based on the traditional wisdom of Israel and criticizes traditional wisdom through new times and ideas.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Ecclesiastes so far can be organized into five themes. These are (1) the structure of Ecclesiastes, (2)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3) comparison with the canon, (4) issues of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 of Judaism and Christianity, and (5)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and theology. In general,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research on the wisdom of Ecclesiaste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Egyptian, Mesopotamian, and early Hellenistic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of Ecclesiastes begins with ‘vainness’ (1:2) and ends with ‘vainity’ (12:8). These frames and borders meaningfully present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text. In particular, the literary inflection point of Ecclesiastes is Ecclesiastes 5:1-7. Focusing on this part, the ‘call to joy’ is emphasized in the latter half of Ecclesiastes (5:17-19; 9:7-10; 11:9). This trend is newly proposed through several key words that suggest the central thought of Ecclesiastes. The keywords can be summarized as “I saw (again) under the sun,” “I said in my heart,” “General,” and “Fear God.”
    These topics are well structured by the special cross-symmetry structure of Ecclesiastes. The use of the phrase ‘under the sun’ appears in the Spyr inscription, a Northwest Semitic treaty document, and an inscription recorded in a Phoenician sarcophagus. Structurally, the phrase ‘I saw (again) under the sun’ in Ecclesiastes is structur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The phrase “I said in my heart” also connotes the meaning of obedience between the contractee and the contractee in the Sefire Inscription, a Northwest Semitic document, and expresses the listener's decision. This is used as an internal device of the contract in Deuteronomy and shows a correlation with wisdom literature.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general (hrqm)” is applied in a chain structure format and a cross-symmetrical structure, similar to the structure of the Northwest Semitic Treaty. Lastly, within the structure of Ecclesiastes, the concept of “fear of God” is closely related to the thinking of the non-priestly text of the Pentateuch.
    As a result, this thesis, when viewed through a compositional historical approach and a traditional historical method, shows that the entire structure of the book of Ecclesiastes is particular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Northwest Semitic language, which has not been well introduced so far, and in particular the literary style of the non-priestly world (non-P). Of course, in terms of content, it seems clear that the book of Ecclesiastes attempts to communicate its wisdom characteristics with the ancient Greek culture, while attempting to resolve the fundamental thoughts underlying the book based on Northwest Semitic tradition and Deuteronomistic religious thinking. Through this structure, Ecclesiastes criticizes traditional wisdom while simultaneously trying not to let go of the fundamental idea of “the fear of Jehovah.” This is the evangelist's conflict and can be accepted as a new request that emphasizes enjoying the pres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약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