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상 자극을 위한 셀-구조 스키마 모형의 활용성 연구 - 시각 예술과 인지과학의 다학제적 융합 접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Cell-Structured Schema Model for the Stimulation of Concept Generation -Focused on the Multidisciplinary Convergence of Visual Art and Cognitive Science-)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1.03
14P 미리보기
발상 자극을 위한 셀-구조 스키마 모형의 활용성 연구 - 시각 예술과 인지과학의 다학제적 융합 접근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39권 / 2호 / 345 ~ 358페이지
    · 저자명 : 이성복

    초록

    최근 시각 예술 분야에서는 다양한 융합 실험들이 행해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매체 중심의 형식 실험에 머물고 있으며, 창의적 발상의 근본 원리를 체계화시키려는 인지과학적 융합 시도는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인지과학 분야에서 주로 활용되는 스키마 모형(Schema Model)을 창작 발상 자극에 활용하는 융합 실험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표 형태의 셀-구조 스키마 모형(Cell-Structured Schema Model)을 고안하여, 발상 자극의 기제를 세 가지 유형의 표상 정보 조작 패턴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본 스키마 모형을 미술대학 창작 실기 수업에 적용하여, 참가자들이 창의적인 현대미술 작품 및 디자인 기획안을 도출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발상 자극 방법론으로서의 셀-구조 스키마 모형의 활용성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미술대학 참여자들은 셀-구조 스키마 모형에 개인의 표상 정보들을 기입하고, 임의로 해당 정보들을 재연결하면서 새로운 발상을 도출하는 실습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발상 결과물들은 인지과학 분야에서 창의성을 판단하는 기준(Finke et al, 1996, Simonton, D. K., 2018)에 따라 발상의 생경함과 실용성을 검토하고, 추가적으로 발상의 명료함을 종합하여 우수 사례들을 선별하였다. 우수 사례들을 검토한 결과, 본 연구자가 분석한 세 가지 유형의 표상 정보 조작 패턴들을 복합적으로 활용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셀-구조 스키마 모형을 활용하여 표상 정보들을 임의로 재조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새로운 발상이 자극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창의적 발상 과정을 표상 정보들의 조작 패턴으로 접근한 본 연구는 지속적인 다학제간 융합 시도를 통해 창의성의 본질을 체계화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영어초록

    Recently, various fusion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visual arts. However, in most cases, they are staying in media-centered formal experiments, and attempts to integrate cognitive science to systematize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creative ideas are insufficient. Accordingly, in this paper, a convergent experiment was attempted using the schema model, which is mainly used in the field of cognitive science, to stimulate creative thinking.
    In this study, ‘Cell-Structured Schema Model’, which has the form of ordinary chart was devised and the mechanism of the creative thinking was analyzed into three types of manipulation patterns of representati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his schema model was applied to the studio-art class to encourage participants to think of creative contemporary art works and design pl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ell-Structured Schema Model as a new concept generation methodology.
    Participants in the art college's studio-art class entered individual representational information in the Cell-Structured Schema Model, and conducted a practice to derive new idea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idea were reviewed by the unfamiliarity and practicality of the idea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judging creativity in the field of cognitive science (Finke et al, 1996, Simonton, D. K., 2018). Additionally they were reviewed by the clarity of the idea and excellent case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best cases, it was found that the three types of manipulation patterns of representational information were used in a complex manner.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representational information can be arbitrarily recombined using the Cell-Structured Schema Model, and new ideas can be stimulated through this.
    This study, which approached the process of creative thinking as a manipulation patterns of representational information, can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systematizing the essence of creativity through continuous multidisciplinary convergence attemp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