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9세 아동의 박물관 관람 경험 분석-국립경주박물관 가족 관람객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Museum Visiting Experience of 9-year-old Children- Focused on the Family Visitors in Gyeongju National Museum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5.03
30P 미리보기
9세 아동의 박물관 관람 경험 분석-국립경주박물관 가족 관람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방정환연구 / 7권 / 1호 / 225 ~ 254페이지
    · 저자명 : 이정은, 박예전

    초록

    이번 연구는 국립경주박물관 상설전시실인 신라역사관과 월지관을 방문한 가족 단위관람객 중 9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질적연구로 그들이 실제 전시실에서 본 유물들을어떻게 이해하고 무엇을 느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통적인 함의가 도출되는지 살펴보고자진행되었다. 기존 박물관에서의 아동 경험 연구가 교육프로그램 및 교육 경험에 중점을이룬다는 것과 차별화를 이루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족과의 전시 관람과 유물 이해도에중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모두 10명의 9세 아동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평균적으로 25분 내외의 일대일 인터뷰에서 연구자의 개방형 질문에 아동이 응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들이 선택한 유물은 모두 185점으로 유물군으로 살펴보면 6종의 금제 유물, 철제 유물, 청동 유물, 토제유물, 석제 유물, 보석 및 유리제였다. 유물 재질별 특징에서는 뚜렷한 공통적 함의가 등장했다. 일차적으로 아동들은 외형적 특징에 집중하는 양상을 보인다. 외적 특징에 대한 반응 이후 다양한 양상으로 발현되는데 먼저 가위(청동), 컵(유리), 선인장(청동) 등과 같이 일상 생활에 친숙한 유물의 경우 뚜렷하게 기억하거나 깊은 인상을 남기기도 하였다. 또는 본인 이 직접 만들어 본 선경험이 있는 도ㆍ토기(토제) 역시 뚜렷하게 기억을 하였다. 한편 일상 생활과 직접 연관되지는 않으나 그 형태가 익숙한 금관(금), 토기(토제) 등은 보다 깊은 사고로 이어져 역사적 가치로 자리매김하게 되어 유물 자체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외적 모양이 익숙지 않은 경우에는 아이들의 상상력이 발현되는 경우가 나타났다. 예를 들어 말갖춤(철제) 및 기와(토제) 등은 그 형태 및 재질이 익숙지 않아 무엇인지 궁금해하거나 스스로 사고하여 새로운 방향으로 유추하는 등 상상력으로 이어지는 경우가나타났다. 다음으로 외형 자체에서 바로 상상력으로 이어지는 토우(토제)는 있는 그 자체로도 아동들의 관심을 끌 수 있다는 점이 주지된다. 석제 유물은 아동들에게 다양한 감정반응을 이끌어 낸 것으로 밝혀졌는데 색, 재질, 형태 등이 금, 청동, 철에 비해 단순하나 오히려 ‘돌’이라는 재질이 하나의 형태로 만들어지는 과정이 아동들에게 어렵지만, 신기하게 다가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석 및 유리제 유물은 형태 그 자체로 인해 소유욕에서부터 촉각 경험을 일으키는 것으로 별다른 자극 및 매개체가 필요하지 않은 전시물로 드러났으며 관람 시 집중도가 높은 유물임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족 간 상호작용이 확인된 유물은 석제 유물에서의 라벨이었다. 9세 아동의 경우 자발적으로 읽었다 하더라도 패널의 내용을 기억하기는 어렵다는 점이 확인되었으며 오히려 가족 간의 대화를 유도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점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향후 박물관 전시에서 가족을 주 대상으로 할 경우 참고할 만한 내용이라고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d how 9-year-old children, who visited the Silla History Hall and Wolji Hall, permanent exhibition halls of the Gyeongju National Museum, understood and felt about the artifacts they encountered. The study aimed to identify common implications based on their responses. Unlike previous research on children’s experiences in museums, which focused on educational programs and learning experiences, this study concentrated on the children’s interactions with their families during exhibitions and their understanding of artifacts.
    Ten 9-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child participated in a 25-minute one-on-one interview, responding to open-ended questions. A total of 185 artifacts were selected by the children, which were categorized into six groups: gold, iron, bronze, earthenware, stone, and jewelry/glass artifacts.
    A clear commonality emerged from the analysis of the artifacts based on their materials. Initially, children focused on the external features of the artifacts. Their responses varied after focusing on external features. For example, children easily remembered or were deeply impressed by artifacts that were familiar in daily life, such as scissors (bronze), cups (glass), and cacti (bronze). Similarly, children clearly remembered earthenware that they had made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gold crowns (gold) and earthenware were not directly related to daily life but had familiar shapes, they led to deeper thinking, resulting in the evaluation of the value of the artifacts themselves.
    When the external appearance was unfamiliar, children’s imaginations were stimulated. For example, when encountering horse harnesses (iron) and roof tiles (earthenware), which had unfamiliar shapes and materials, children were curious about what they were and made inferences through their own thinking, leading to imaginative interpretations. Clay figurines, whose external appearance itself stimulated imagination, were found to attract children’s attention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stimuli or mediators.
    Stone artifacts evoked various emotional responses from children. Although their colors, materials, and shapes were simpler compared to gold, bronze, and iro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a simple “stone” into a shape was found to be difficult yet fascinating for children. Jewelry and glass artifacts, due to their inherent forms, evoked a desire for possession and tactile experiences, proving to be highly engaging exhibits that did not require additional stimuli or mediators.
    Finally, exhibition labels for stone artifacts were found to facilitate interactions between family members. While 9-year-old children could read the labels independently, they had difficulty remembering the content of the panels. This suggests that encouraging conversations between family members is more effective,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future museum exhibitions targeting famil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방정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