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간문화의 전통과 구조적 변환 - 송제마을 세시풍속의 경우를 중심으로 (the Tradition of Temporal Culture and It's Structural Transformatio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7.03
36P 미리보기
시간문화의 전통과 구조적 변환 - 송제마을 세시풍속의 경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60호 / 105 ~ 140페이지
    · 저자명 : 이영배

    초록

    이 글은 송제마을 세시의례와 놀이의 기억 양상을 기술하여 그 전통적 기능과 의미 구조를 분석하고 있다. 또한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시간문화의 전환과, 새롭게 실천되고 있는 시간문화 실천의 경향과 의미를 논의하고 있다. 세시풍속은 전통사회의 공동체적 시간문화로서, 시간의 주기에 따라 주민들이 그들의 생활과 생업 속에서 전승해온 경험지식의 총체라 할 수 있다.
    송제마을의 전통적인 세시풍속의 전승은 사실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마을사회가 새마을운동을 경과하면서 이룩해낸 마을 환경과 생활의 합리화, 그에 따른 마을주민들의 의식 변화에 발맞추어, 많은 경우에 세시풍속은 과거형으로 남아 기억 속에 잔존하고 있다. 그러나 전통이 박물관에서 다루어지는 박제품이 아니라고 할 때, 또 세시풍속에서 시간의 주기성이 어떤 식으로든지 변화할 수밖에 없음을 받아들인다고 할 때, 그 시간의 리듬에 따라 전개되는 마을주민들의 일상생활은 현재의 문화적 인식과 구조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시간문화 연구의 자료가 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Korean annual customs are religious and social rituals that Koreans life-style has been conventionally or seasonally repeated depending on its topography and climate, which can be defined as temporal culture resources reflecting the temporal awareness of the traditional society and its periodicity. The research of annual customs will be a work for a new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and meanings of temporal customs and the asking again of their values through which the designing of society can be sought for.
    In the modern temporal system, the distribution of time can be achieved that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workforce leads to higher productivity. The modern time-distribution has been subordinating men(live in song-je village)’s production activities into markets and separating the cultural subject from its products to grade them by price, which resulted in the exclusion and extinction of the cultures which do not accord with it. In this process, the cultural subject has been habituated to a consumptive culture and accordingly the productive culture autonomously flowing in their lives has lost its value.
    If the annual customs are considered to be a symbolic system which is repeated in the cycle of life, the essence of its temporality must be the culture created in the organic union of labor and freedom. Based on that temporality, such cultural forms as rituals and festivals with the unit of an individual, a family or a community have been possible.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renew the meaning and the value of the annual customs which are useful memories of social production and activity based on the commonality of life and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