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바벨탑』 세우기, 어디까지 왔나? – 프-한 기계번역의 현황과 전망 (Construire la 《Tour de Babel Numérique》 - L'état de l'art et les prospectives de la traduction automatique français-coréen -)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9.03
43P 미리보기
『디지털 바벨탑』 세우기, 어디까지 왔나? – 프-한 기계번역의 현황과 전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어불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불어불문학연구 / 117호 / 157 ~ 199페이지
    · 저자명 : 윤애선

    초록

    『바벨탑』은 인간이 장애 없이 의사소통을 하고자 하는 열망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컴퓨터의 계산능력이 인간의 계산능력을 크게 앞서자, 인간은 일찌감치 이 기계를 이용하여 『디지털 바벨탑』을 세우려는 시도를 해왔다. 컴퓨터를 계산 이외에 사용하는 첫 번째 적용 분야가 바로 1950년대에 연구하기 시작한 러-영 「기계번역」이었다. 이때부터 기계번역 연구와 개발은 성공과 실패를 거듭했다. 하지만 2010년대에 나타난 빅데이터와 심화학습는 신경망기반 기계번역 방식을 촉진했고, 『무제한 영역의 다국어 번역』을 향하도록 했다. 바로 이 시점에서 “언제 어디에서든 효율적인 기계번역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면, 인간이 직접 외국어를 배울 필요가 있을까?”라는 근원적인 질문을 하게 된다. * 이 논문은 2018 한국불어불문학회 겨울학술대회(「불어불문학 청년을 말하다」2018.12.7)에서 발표한 발표문을 보완함. 논문 작성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 ‘엑소브레인 II단계(과제번호: 2*************004)의 지원을 받음.


    이 논문에서 우리는 상기 질문에 대한 답을 하고자 하는데, 이 질문과 대답은 한국의 불어불문학 관련학과 및 구성원이 존립하는 이유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2절에서는 기계번역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3가지 방법론인 (1) 규칙기반 방식, (2) 통계기반 방식, (3) 신경망기반 방식의 특성을 소개한다. 3절에서는 현재 신경망기반 기계번역 시스템의 성능과 기술 수준을 소개하면서, 프-한 양방향 기계번역 시스템을 일반에게 제공하는 3가지 기계번역기의 성능과 문제점을 상세히 평가한다. 본 고에서 평가하는 시스템은 구글의 <구글번역기>, 네이버의 <파파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지니톡>이다. 각 시스템에서 상이한 장점과 단점을 발견할 수 있었고, 유의미한 성능의 차이가 존재한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예상을 훨씬 상회하는 성능을 보여주었고, 성능의 향상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전망이다. 4절에서는 이러한 현실에서 인간번역의 가능성에 대해 검토한다. 앞으로 기계번역은 정보의 내용을 필요로 하는 대규모, 실시간 번역에 이용되겠지만, 인간번역은 의료, 법, 문학 등 전문적인 영역에서 정교한 번역에 지속적인 수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활동할 인간 번역사는 언어의 유창성과 함께 해당 전문분야의 지식을 충분히 갖춰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La 《Tour de Babel》 représente l'aspiration allégorique pour la communication sans obstacles. La puissance de calcul des ordinateurs étant prouvée de loin supérieure à celle des humains, des chercheurs ont tenté de les employer afin de construire la 《Tour de Babel Numérique》 : leur première application en dehors du calcul était la traduction automatique (desormais, TA) russe->anglais dans les années 1950. Depuis lors, la TA a connu de nombreux échecs et succès. Avec l'introduction du Big Data et du Deep Learning au milieu des années 2010, la plupart des systèmes de TA visaient à une 《traduction multilingue sans restriction》 basée sur des neurones. A ce stade, se pose une question fondamentale. :《Les hommes ont-ils besoin d'apprendre une/des langue(s) étrangère(s), étant donné qu'ils se servent des systèmes de TA puissants et efficaces à tout moment ?》 Dans ce travail, nous essayons de répondre à cette question, qui est également liée à la raison d'être des départements du français en Corée. La section 2 présente les trois méthodes principales de TA ; (1) TA basée sur des règles linguistiques, (2) TA statistique, et (3) TA basée sur des neurones (desormais, TAN). La section 3 décrit l'état de l'art de TA, en évaluant les trois systèmes actuels de TAN sur la traduction français-coréen : 〈Google Translate〉, 〈Papago〉 et 〈Genitealk〉. Chaque système présente des avantages et des inconvénients différents. Leur performances actuelles, cependant, sont généralement plus élevées que prévu, et elles devraient s'améliorer de manière exponentielle. Dans la section 4, nous présentons les possibilités de la traduction humaine (desormais, TH) en tenant compte des prospectives de TAN. La TH sera toujours prédominante dans les domaines spécifiques et spéciales tels que la traduction littéraire, juridique, médicale, entre autres. Les traducteurs humains doivent se munir de doubles capacités : la fluidité des langues et les connaissances approfondies des domain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어불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