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名義受託者의 不動産 任意 處分時 讓渡所得稅의 納稅義務者 (A Study on the Taxpayer of Capital Gain Tax in Case of a Title Trustee’s Disposing Real Estate -Focusing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2Du10710 Delivered on September 4, 2014-)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5.06
39P 미리보기
名義受託者의 不動産 任意 處分時 讓渡所得稅의 納稅義務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행정판례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행정판례연구 / 20권 / 1호 / 281 ~ 319페이지
    · 저자명 : 김세현

    초록

    종래 대법원판결은 명의신탁된 부동산을 명의수탁자가 임의로 처분한 경우 명의신탁자에게 양도소득세의 납세의무를 부담지우기 위해서는 양도소득이 명의신탁자에게 환원되어야 한다는 판시를 누차 해왔지만, 그 구체적인 기준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아 왔다. 대상 판결은 양도소득이 명의신탁자에게 환원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해주었다. 즉, 명의수탁자가 양도대가를 수령하는 즉시 전액을 자발적으로 명의신탁자에게 이전하는 등 사실상 위임사무를 처리한 것과 같이 명의신탁자가 양도소득을 실질적으로 지배, 관리, 처분할 수 있는 지위에 있어 명의신탁자를 양도의 주체로 볼 수 있는 경우라야 하고,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단지 명의신탁자가 명의수탁자에 대한 소송을 통해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양도대가 상당액을 회수하였다고 하여 양도소득의 환원이 있다고 할 수는 없다는 것이 그것이다. 명의신탁받은 부동산을 명의수탁자가 임의로 처분하는 경우의 대부분은 소송절차를 거치게 되고 그러한 와중에 명의신탁자에게 명의수탁자가 양도소득 일부를 지급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대부분의 사안에서 횡령죄의 잘못을 저지른 명의수탁자에게 양도소득세의 납세의무를 지울 수 있다는 점에서 대상 판결은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는 실질과세원칙을 준수했다는 측면에서도 의의가 크다.
    판례에서 실제로 양도소득이 명의신탁자에게 환원되었다고 본 기준은 양도대가를 즉시 이전하였는지 여부, 양도대가를 전액 환원하였는지 여부, 명의수탁자가 자발적으로 양도대가를 명의신탁자에게 이전하였는지 여부 등인데, 위 기준은 원칙적으로 타당하지만, 명의신탁자와 명의수탁자 사이에 구체적인 위임 약정이 있다면 위 약정을 우선 기준으로 삼아 약정 내용대로 이행되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양도소득 환원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상 판결의 사안에서는 명의수탁자는 양도대가를 명의신탁자에게 즉시 지급하지 않았고 명의신탁자들이 제기한 소송의 소송절차 도중 조정에 이르러서 지급한 것이며, 대가 전부가 아닌 일부를 지급하였을 뿐이므로 위 양도소득은 명의신탁자에게 환원된 것이 아니라고 본 대상판결의 결론 또한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Although Korean Supreme Court rulings repeatedly showed that capital gains must be returned to a title truster so that a title truster becomes liable to capital gain tax when a title trustee arbitrarily disposes the properties under title trust, the specific standards have been never mentioned. This judicial decision 2012Du10710 has suggested the specific standards to see if capital gain is returned to a title truster. In other words, a title truster must be seen as a main agent of transferring who is in the position to effectively dominate, control, and dispose capital gains like when a title trustee voluntarily transfers the full amount to a title truster the moment he/she receives payment of transfer asset, handling the delegated affairs practically, and it cannot be said that capital gains are returned even if afte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a title truster just has the equivalent of payment of transfer asset restored through lawsuits against a title trustee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Most of the cases of a title trustee's arbitrarily disposing the properties under title trust lead to legal proceedings and during this process title trustees often give part of capital gains to title trusters, so this judicial decision is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to impose capital gain tax duty upon a title trustee under the charge of embezzlement in most cases, and that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was observed.
    In the precedents, the standards to judge real restoration of capital gains to a title truster were as follows : whether or not the payment of transfer asset was immediately returned, whether or not it was the full amount of payment that has been restored, whether or not a title trustee voluntarily gave the payment of transfer asset to a title truster, and so on. Although these standards are technically appropriate, if there is any detailed mandate agreement between a title truster and a title trustee I think this agreement should be the first yardstick to see if contents of agreement are carried out, and then judgement on whether capital gains are restored must be made.
    In the case of this judicial decision 2012Du10710, the title trustee did not give the payment of transfer asset to the title trusters right away, the payment was made after reaching mediated agreements during the legal proceedings taken by the title trusters, and part but not all of it was paid, so the conclusion of this judicial decision is also valid that the above mentioned capital gains were not returned to the title trus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행정판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