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근세 척법 어휘의 단위 의미 분석 (A Study of Semantic Analysis for Units of Measurement Vocabulary in Middle and Modern Korean)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8.09
23P 미리보기
중·근세 척법 어휘의 단위 의미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학 / 141호 / 1 ~ 23페이지
    · 저자명 : 이광호, 도희금

    초록

    본 연구는 중세국어 문헌에 사용된 척법과 관련한 단위 명사의 실제 의미를 살펴보았다. 특히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각 문헌에 도량형과 관련된 기록을 참고하여 시기별, 용도별로 어떠한 척법을 사용하였는지에 따라 현대의 미터법으로 환산하여 길이, 넓이, 부피 단위의 실제 길이를 예측하였다.


    1. 길이 단위(1) 『훈정 용자례』에 ‘자爲尺’이라고 하여 ‘자’는 ‘尺’과 동일한 단위명사로 설명한다. ‘尺’은 단위명사로 사용될 때 ‘十寸’이며 ‘자(尺)는 열 치’로 풀이된다.
    (2) 한자어 수량단위명사인 ‘丈’은 『全上』에서 ‘十尺長’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척이 용도와 시기별로 달랐음을 감안하면 ‘丈’역시 그 길이가 각각 다르다.
    (3) ‘길’은 『왜어유해』(상39)에서 ‘길 쟝(丈)’으로 나타나지만 『아학편』(하12)에서는 ‘장(丈)’과 ‘심(4) 『원각경언해』(上一之一66)에서 ‘심(尋)’은 8척이라고 하였고, ‘丈’은 『全上』에서 ‘十尺長’이라 하였으나 ‘심(尋)’은 쓰임이 별로 없어 이에 대한 인식이 명확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4) 길이 단위는 주척을 기본으로 하여 ‘尺(자)-寸(치)-분-리’로 이루어진다. 『全上』에 ‘尺’을 ‘度名, 十寸’이라고 하였으며, ‘寸’은 ‘尺’과 함께 길이의 기본 단위로 널리 쓰였다.
    (5) 이 외에도 거리를 나타내는 ‘步, 畝, 里’가 쓰이는데 ‘여슷 자히 步ㅣ오 三百步ㅣ 里라((月釋1:15)’에서 一里는 약 400m의 거리이다. 1步는 대략 1.3m가 된다. ‘由旬은 마 里라(月釋1:39)’에서 ‘里’보다 큰 단위인 ‘由旬’도 확인된다. 대략 1.6km이다. ‘畝’는 二百마 步이다. 따라서 300m 남짓한 거리가 된다.


    2. 넓이 단위(1) 넓이 단위는 길이 단위를 기본으로 한다. 넓이 단위는 길이 단위의 제곱 개념이기 때문이다. ‘步’는 고대의 길이 단위이자 넓이 단위이며, 걸음을 세는 말로 두 발짝 떼는 길이(二擧足曰)이다. 한 발짝 떼는 것은 규(跬)라 한다. 周尺으로는 여섯 자를 의미한다.
    (2) 『훈몽자회』에서 ‘畦, 疇, 畝’가 전부 자석어 ‘이랑’에 대응한다. 중세국어에서 나타나는 ‘畝’는 ‘ 畝ㅣ 二百 마 步(釋譜6:25)’에서 보듯이 거리의 개념을 뜻할 때는 240步에 해당한다.
    (3) ‘落’은 파종할 때 씨앗이 땅에 떨어지는 논의 넓이를 뜻하는 것으로 한 마지기(一斗落), 두 섬지기(二石落) 등으로 표현한다. ‘耕’은 소 한 마리의 힘으로 밭갈이를 할 수 있는 넓이를 뜻하며, 이틀갈이(二日耕), 한달갈이(一月耕) 등으로 나타낸다. 그 외 『본리지』에서 말하는 넓이 단위를 환산하면 一夫는 百畝, 一屋는 三夫, 一井은 三屋, 一邑은 4井, 一丘는 四邑, 一甸은 四丘, 一縣은 四甸, 一都는 四縣, 一同은 四都를 의미한다.
    (4) ‘境’은 박영규전에 ‘태조가 신검을 평정한 뒤 박영규에게 토지 1000경을 주었다’라는 표현을 통해 ‘境’이 토지의 넓이 단위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부피 단위(1) 부피는 현재의 개념으로 보면 가로x세로x높이의 길이를 통해 측정한다. 이는 공간의 개념이다. 후기중세국어에서 나타나는 자료를 보면 이러한 개념이 길이x너비x깊이의 개념으로 측정되었다.
    (2) 조선 전기 영조척을 약 30.8cm 정도였다고 추정하면 1승의 용적은 0.57ℓ정도이다. 오늘날 1승의 용적과 비교하여 볼 때 약 1/3정도에도 미치지 못하는 용적이다. 1승을 약 600㎖라고 할 때 1홉의 양은 60㎖로 환산된다.
    (3) ‘升’은 『全上』에 ‘十合’으로 풀이하였으며, 고유어 ‘되’와 같은 뜻으로 쓰인다.
    (4) ‘되’와 ‘홉’은 부피와 양의 개념이기 때문에 재는 단위는 물과 술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사용된다.
    (5) ‘斗’는 말 정도의 양을 재는 도구나 자루가 달린 용기를 가리키며, 『新二』에 의하면 ‘十升, 열되들이’의 양을 뜻한다.
    (6) 한자어 ‘석(石)’은 고유어 ‘셤>섬’으로 쓰인다. ‘石’은 ‘十斗’를 의미하는 量名이이다. ‘셤, 말’ 등은 실제 생활에서 ‘쌀, 보리, 콩, 술, 물’ 등의 용량 단위 명사로 널리 사용되었다.
    (7) ‘分’은 一寸의 1/10을 의미하는 길이 단위 외에 화폐 단위와 무게 단위로도 쓰였다.
    (8) ‘돈’은 무게의 단위로 十分에 해당한다. ‘돈’이라는 단위는 한자어 ‘전(錢)’에서 유래하였으며 일반명사 ‘돈’이 무게 단위로 변한 것이다.
    (9) ‘斤’은 十六兩이며 음식, 황금, 은 등의 무게를 재는 단위로 널리 쓰였으며, 「본리지」에서 ‘사방 一寸 짜리 황금은 그 무게가 1斤이다’라고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meanings of unit nouns related to the measurement used in the middle Korean literature. In particular, the study analyzed the records related to weights and measures in each document including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and predicted the actual length, the width, and unit of volume converted with the modern metric measurements depending on which measurement was used for each period and purpose.


    1. Length unit (1) According to Examples of the Uses of the Letters in the Haerye Edition of Hunminjeongeum, ‘자爲尺(jawicheok)’ explains as ‘자(ja)’ is the same unit noun as ‘尺(cheok)’. ‘尺(cheok)’ is ‘十寸(sipchon)’ when it is used as a unit noun and ‘자(尺, ja)’ is described as ‘열 치(yeol chi)’.
    (2) Chinese character'丈(jang)’, a noun that describes a unit of quantity is described as ‘十尺長(sipcheokjang)’ in Jeonsang(全上), and ‘丈(jang)’ also has different lengths respectively considering that ‘척(cheok)’ is different with usage and time.
    (3) The word ‘길(gil)’ is described as ‘장(丈, jang)’ by Waeoyuhae (First volume 39), but ‘장(丈, jang)’ and ‘심(尋, sim)4’ are denoted by Ahakpyon (Second volume 12) and ‘심(尋, sim)’ is denoted as ‘8척(cheok)’ in Wongakgyeong Eonhae (First volume 66). Although ‘丈(jang)’ is denoted as ‘十尺長(sipcheokjang)’ in Jeonsang(全上), it seems that the perception of ‘심(尋, sim)’ was not clear because there was not much use.
    (4) The length unit consists of ‘尺(자, ja)’-‘寸(치, chi)’-‘분(bun)’-‘리(ri)’ based on the general measure. ‘尺(ja)’ is called ‘度名(domyung), 十寸(sipchi)’ in Jeonsang(全上). ‘寸(chi)’ is widely used as a basic unit of length with ‘尺(ja)’ (5) In addition to this, ‘步(bo), 畝(mu) and 里(ri)’ indicating distance are used. According to ‘여슷 자히 步ㅣ오 三百步ㅣ 里라 in Wolseok(月釋1:15)’, ‘一里’ is about ‘400m distance’. ‘1步’ is about ‘1.3m’. Based on ‘由旬은 마 里라 in Wolseok(月釋1:39)’, it is also identified ‘由旬’ which is a larger unit than ‘里(ri). It is about ‘1.6km’. ‘畝’ is ‘二百마 步’, so the distance is about ‘300m’.


    2. Width unit (1) The width unit is based on the length unit. This is because the unit of width i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squared length unit. ‘步(bo)’ is an ancient unit of length and unit of width, and it is the length of two counted steps. One step is called ‘규(跬, gyu)’. It means ‘the length of six’ by ‘general measure(周尺)’.
    (2) In Hunmon Jahoe, ‘畦(hyu)’, ‘疇(ju)’ and ‘畝(mu)’ all correspond to the Korean translation ‘이랑(irang)’. The ‘畝(mu)’ in Middle Korean​​ corresponds to ‘240步(bo)’ when it means the concept of distance as shown in ‘ 畝ㅣ 二百 마 步 in Seokbo(釋譜6:25)’.
    (3) The word ‘落(lak)’ refers to the width of rice fields that the seed falls to the ground when sowing, and is expressed as ‘한 마지기(一斗落, ildurak)’, ‘두 섬지기(二石落, iseongnak)’ and so on. ‘耕(kyung)’ means the area that can be plowed with a force of one cow, and appears ‘이틀갈이(二日耕, iilgyeong)’, ‘한달갈이(一月耕, ilwolgyeong)’ and others. In other words, ‘一夫(ilbu)’ means ‘百畝(baekmu)’, ‘一屋(ilok)’ means ‘三夫(sambu)’, ‘一井(iljeong)’ means ‘三屋(samok)’, ‘一邑(ileup)’ means ‘4井(sajeong)’, ‘一丘(ilgu)’ means ‘四邑(saeup)’, ‘一甸(iljeon)’ means ‘四丘(sagu)’, ‘一縣(ilhyun)’ means ‘四甸(sajeon)’, ‘一都(ildo)’ means ‘四縣(sahyun)’, and ‘一同(ildong)’ means ‘四都(sado)’, in terms of the units of measurement in Bonliji.
    (4) ‘Park Youngkyu Jeon’ shows that ‘境(kyung)’ is used as the unit for measuring land width by expressing, ‘King Taejo in Joseon Dynasty gave Park, Youngkyu the land of 1000 kyung after he ruled Shingum in Post Baekje’.


    3. Volume Unit (1) Volume is measured in terms of length, width, height in the present concept. This is the concept of space. In the materials of late Middle Korean, this concept was measured as the concept of length, width, depth.
    (2)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ssuming that ‘Youngjocheok(영조척)’, measurement unit was about 30.8cm, the volume of ‘1승(seung)’ is about ‘0.57ℓ’. It is less than one third volume comparing with today’s volume of ‘1승(seung)’. When ‘1승(seung)’ is about ‘600㎖’, the amount of ‘1홉(hop)’ is converted into ‘60㎖’.
    (3) The word ‘升(seung)’ is used as a meaning for ‘十合(siphap)’ in Jeonsang(全上), and used as the same meaning as the native Korean, ‘되(doe)’.
    (4) Since ‘되(doe)’ and ‘홉(hop)’ are concepts of volume and quantity, the measuring unit is used in various ways including water and alcohol.
    (5) The word ‘斗(du)’ refers to a container with a tool or bag to measure the amount of ‘말(mal)’, and it means the amount of ‘十升(sipseung)’, ‘열되들이(yeoldoedeuri)’ by 新二(shini).
    6) The Chinese word ‘석(石, seok) is used as ‘셤(syeom)>섬(seom)’. The word ‘石(seok)’ is ‘量名(yangmyeong)’, meaning ‘十斗(sipdu)’. ‘셤(syeom)’, and ‘말(mal)’ were widely used as the nouns of volume units for objects such as rice, barley, bean, liquor, and water in real life.
    (7) The word ‘分(bun)’ is also used as a monetary and weight unit in addition to the length of 1/10 of ‘一寸(ilchon)’.
    (8) The word ‘돈(don)’ corresponds to ‘十分(sipbun)’ in a weight unit. The unit ‘돈(don)’ originates from the Chinese character ‘전(錢, jeon)’ and the common noun ‘money’ is converted into a weight unit.
    (9) The word ‘斤(geun)’ is ‘十六兩(sipyuklyang)’, and was widely used as a unit of measuring food, gold, and silver. In Bonliji, the gold of each square by ‘一寸(ilchon)’ is a weight of ’1斤(ge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