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왜곡된 민족주의- 루이 14세 시대의 문학 - (The disfigured nationalism :The literature in the age of Louis XIV)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01.11
26P 미리보기
왜곡된 민족주의- 루이 14세 시대의 문학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국문학연구 / 9호 / 135 ~ 160페이지
    · 저자명 : 원종익

    초록

    동서 냉전의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무너지고 난 후 가장 강력한 정치적 이념 중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민족주의에 대하여 명쾌하게 개념 규정을 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는 역사적, 시대적 상황에 따라, 또는 민족주의를 표방하는 추진 세력이 누구냐에 따라 민족주의의 개념이 달라지기도 하며, 무엇보다 우선 민족이란 과연 무엇을 뜻하는가에 대하여 의견이 분분하기 때문이다. 역사학자나 정치학자에게도 쉽지 않은 이 문제에 우리는 깊이 파고 들 수도 없을 뿐더러 우리의 목적이 개념 정리에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단지 여기서는 ‘민족주의란 하나의 집단이 혈연적, 문화적, 종교적, 언어적, 정치적으로 어떤 동질성을 이루고 있다는 의식, 혹은 그렇게 되고자 하는 의지나 이념’이라는 조금은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테두리로 민족주의의 개념을 묶어놓고 작업을 시작하고자 한다.
    민족주의가 하나의 정치, 사회적 이념으로 서구 역사의 전면에 부각된 것은 대략 18세기 후반이라고 하는 데에는 많은 사람들이 동의하고 있다. 이는 그 때까지 앙시앵 레짐(ancien régime) 속에서 점차 세력을 키워 나가던 부르조와 세력이 인권과 자유, 그리고 민주 정치 체제를 부르짖으면서 민족주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을 의미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다면 프랑스 절대 왕정 체제의 기반을 흔들게 되는 프랑스 대혁명이야말로 민족주의의 역사에 있어서 하나의 새로운 이정표로 자리매김될 수 있을 것이다. 제3 신분으로 형성되어 있던 부르주아 계급은 자신들의 개인적, 국민적 권리를 요구하며 이제 한 군주의 백성이 아니라 한 국가의 구성원임을 자처하며 앙시앵 레짐에 맞서게 된다. 그들의 목표는 국가의 구성원 모두가 동일한 법의 테두리 안에서 자연권(droit naturel)을 누릴 수 있는 정치적 공동체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이제 프랑스 국민은 새로운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과 상호간의 일체감을 느끼게 된다. 적어도 프랑스에 있어 대혁명이란 프랑스 민족주의의 본격적인 시발점이 된다고 말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민족주의가 시민계급의 형성과 맞물리고 있으며 또한 근대 국가의 태동과도 호응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시기의 민족주의에는 ‘근대적’이라는 수식어가 덧붙게 되고 이제부터 민족주의라는 단어는 공공연히 사람들의 입에 회자되고 또한 연구의 대상으로 자리잡게 된다.
    우리가 다루고자 하는 루이 14세 시대 역시 프랑스 국가에 대한 소속감과 구성원들간의 일체감이 강력하게 발현되었던 시기였다. 부르봉 왕가의 문을 연 앙리 4세 이후 프랑스는 많은 분쟁과 어려움 속에서도 꾸준히 분열보다는 단합, 권력의 분권화보다는 왕권의 강화를 지향해왔으며 이것이 정점에 도달한 것이 바로 루이 14세 시대이다. 이 과정은 프랑스 국민에게 하나의 동일체임을 일깨워주는 작업이었으며 이는 바로 민족주의의 형성과정이라 하여도 별 무리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때의 민족주의는 대혁명시대의 민족주의와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 루이 14세 시대의 민족감정이란 왕을 중심으로, 그를 정점으로 하여 형성된 일체감이기 때문이다. 이는 대혁명 당시 부르조와 계급이 일반 시민으로서의 보편적 권리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감정하고는 또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 즉 절대왕정에서 구성원의 일체감이란 구성원 모두의 자유나 평등, 민주적인 정치체제를 획득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왕권의 강화, 그리고 왕의 통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두 시대 모두 구성원의 일체감을 부르짖으면서도, 대혁명이 무너뜨리려 했던 것이 바로 루이 14세 당시 가장 절정에 달하였던 절대왕정이라는 정치체제라는 사실은 참으로 모순된 일이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XVII century and the reign of Louis XIV are regarded as the most fertile period in French literature, called Classicism. During this glorious period, between 1660 and 1680, the great writers: Moliere, La Fontaine, Racine and Boiteau were at the height of their glory.
    But we want to discover literature hidden beneath the immortal glory. We have to notice that most writers were impregnated with almost blind reign of Louis XIV, all military, economic or political decisions aimed to reinforce the unity of the nation. To that end, the King tried outside to expand and consolidate France by recovering ancient French provinces. It seems that the monarch was interested greatly in military glory. Inside France, he tried to restore the authority of the central power by the positioning of the economic, administrative and political institutions. Despite their importance, territorial conquest and administrative measures were not sufficient to assure the cohesion of the nation. The objective conditions of the military economic, political institutional unity were not separate from subjective elements that made up the nation. From real elements (culture, traditions and historical events) a mythical image is drawn up aimed at creating or reinforcing a feeling of national unity. In fact, above all, we need ideological support to justify and encourage the glorious exploits of the king. It is natural that the writers of that time should encourage with their pens, especially around the wars that France experienced in the Great century. The literature of that time enhanced the political propaganda of the 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