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세시풍속 연구의 동향과 전망 (The Trend and the Prospect of Studies on Japanese Annual Custo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08.12
29P 미리보기
일본 세시풍속 연구의 동향과 전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37호 / 47 ~ 75페이지
    · 저자명 : 김미영

    초록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대표적 연구관점을 개괄하고 이들 연구방법에 의해 구축된 이론적 성과를 파악하였다. 여타 민속에 비해 세시풍속은 복합적 문화양상을 나타내는 편이다. 이런 까닭 때문인지 일본의 세시풍속 역시 주변 영역과의 관련성을 토대로 연구되는 경향이 강하다. 이를테면 1959년에 출간된 『일본민속학대계』의 「연중행사」편을 보면 ‘역(曆)과 연중행사’『‘신앙과 연중행사’』‘농경(農耕)과 연중행사’ㆍ‘연중행사의 지역성과 사회성’ 등과 같이 관련영역과의 연계성을 지니면서 편성되어 있는 점이 주목된다.
    세시풍속은 1년이라는 시간축에서 순차적으로 전개되고 있는데,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세시풍속의 양분성’에 대한 이론이 제시되고 있기도 하다. ‘세시풍속의 양분성’이란 1년을 기준으로 유사모티프를 가진 세시풍속이 대립적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견해이다. 이를테면 세시풍속의 대표적인 것으로 오본[お盆]과 설날[正月]이 있다. 평면적 시간에 입각하면 이들은 7월 15일과 1월 1일에 각각 행해지는 독립된 습속이지만, 이들 모두 ‘조상숭배’라는 모티프를 갖고 있다는 유사성이 발견되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일상을 가리키는 용어를 ‘게’로 설정하고 비일상성을 ‘하레’로 표현하면서, 일본인의 생활은 ‘하레’와 ‘게’라는 이질적 생활 및 행동에 의해 성립된다는 견해가 보편적이다. 즉 ‘하레’라는 것은 신사 제례ㆍ사찰 법회ㆍ설날과 오본 등의 세시풍속 그리고 일생의례 등과 같이 비일상적 행위가 이루어지는 시간 및 공간을 뜻하고, ‘하레’ 이외의 일상생활은 ‘게’에 해당하는 것이다.
    한편 세시풍속의 쇠퇴ㆍ소멸현상이 진행되는 가운데 90년대를 전후하여 ‘세시풍속의 변화’를 다룬 연구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이러한 경향은 최근까지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여기에는 대략 두 가지 유형이 나타난다. 첫째는 전통마을에서의 세시풍속 변화양상을 다룬 연구이고 둘째는 도시지역의 세시풍속에 관한 연구이다. 이들 모두 세시풍속의 변화문제를 궁극적 목적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는 일치하지만, 연구주제 및 방향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전자의 경우에서는, 첫째 생활양식 및 의식 변화에 따른 세시풍속의 변천양상, 둘째 전승기반의 붕괴에 따른 세시풍속의 전승양상, 셋째 세시풍속의 전승과 행정기관의 개입, 넷째 세시풍속의 문화자원화 등의 주제가 두드러지고 있다. 반면 후자의 경우에는 뚜렷한 연구방향을 확보하지 못한 채, 단지 도시지역의 세시풍속을 대상으로 삼는 데에 머물러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는 ‘도시민속학’이 안고 있는 근본적 문제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is thesis summarized the representative study viewpoints centered on Japanese annual customs and grasped the theoretical accomplishments constructed by the study methods. Compared to other ethnic customs, annual customs show a feature of complex culture. Because of this, the Japanese annual customs are also studied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areas.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Annual Customs」 of 『Outline of Japanese Folklore』 published in 1959, the organization having a connection with relevant areas such as of ‘almanac and annual customs’ㆍ‘religious and annual customs’ㆍ‘farming and annual customs’ㆍ‘locality and sociality of annual customs’ is being highlighted.
    Annual customs are progressed in order of precedence from a time axis of 1 year. A theory on the ‘division of annual customs’ is being presented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e ‘division of annual customs’ is an opinion that annual customs with similar motives are oppositively arranged by a standard of 1 year. For example, the representative annual customs are Obon(お盆) and New Year’s Day. They are independent conventions performed each on July 15 and January 1, based on 2-dimensional time. However, a similarity of having a motive of ‘ancestor worship’ was discovered in both.
    In Japan, the term for dailiness is ‘Ge’ and non-dailiness as ‘Hare’.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the life of Japanese is established by heterogenous activities and behavior of ‘Hare’ and ‘Ge’. That is, ‘Hare’ means the time and space where non-dailiness behaviors such as annual customs like shrine sacrificial ritualsㆍtemple ceremoniesㆍNew Year’s Day and Obon, and the Rites of Life are done. Activities other than ‘Hare’ are all called as ‘Ge’.
    Lastly, as the annual customs are declining and disappearing, studies on ‘the change of annual customs’ started to appear before and after the 1990s. This trend is being continued to this day. There are about two types in this trend. The first is a study on the change of annual customs in a traditional village, and the second is research on that in the city. Their ultimate purpose of dealing with the change of annual customs is identical, but the studie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y theme and direction. As for the former, themes such as first- the change of annual customs depending on lifestyle and food, clothing changes, second- transmission of annual customs from the collapse of transmission basis, third- intervention of administrative organs in transmission of annual customs, and fourth- creating annual customs into cultural resources are distinguished.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has not been able to secure a clear study direction yet and remains at having the annual customs in the city as the study subject. This is also the fundamental problem of ‘urban folklo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