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5세기대 울산식 토기의 유통 (Distribution of Ulsan-style pottery in the 5th centu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21.06
24P 미리보기
5세기대 울산식 토기의 유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2021권 / 2호 / 163 ~ 186페이지
    · 저자명 : 고상혁

    초록

    기존 연구에서 설정된 신라양식 경주식은 토기의 생산과 소비라는 관점에서 볼 때 매우 광역적으로 다루어졌다. 이로 인해 양식권 내에서도 소지역양식의 설정이 필요하다는 문제 인식하에 기장 명례리 유적에 주목하였다.
    경주식 토기의 분포권으로 분류되었던 기장 명례리에서 생산된 이단투창고배는 경주의 전형적인 이단투창고배와 형태적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기장 명례리 유적 출토 이단투창고배를 전형의 경주식 이단투창고배와 비교하여 울산식 토기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울산식 토기의 생산지를 추정하고, 주변지역에서 출토된 고배와 비교함으로써 울산식 토기의 분포권을 유통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울산식 이단투창고배는 형태적으로 경주식을 충실히 모방하였지만 전체 비율뿐 아니라 구연, 투창, 돌대, 각단 등에서 형태적 차이가 관찰되었다. 특히 높고 직립하는 구연, 상단은 짧고 하단이 긴 투창, 둥글고 높은돌대, 문양을 시문하지 않는 점이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울산식 토기의 생산은 기장 명례리와 장안리 일대에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분포권은 울산을 중심으로 기장, 양산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울산식 토기의 분포권은 인접한 양산과 부산의 양식 분포권과 비교하였을 때 직선 반경 12km, 실거리 17km 이내에 위치하고 있어 울산식 토기 분포권을 하나의 토기유통권으로 해석하였다.
    생산과 유통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신라양식 내에서 울산식 설정은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으며, 토기 양식도 연구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Gyeongju style’ Silla pottery, which was def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has been examined only very broadly from the viewpoint of pottery production and consumption.
    As such,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pottery from the site of Myeongrye-ri, Gijang, based on the viewpoint that the designation of sub-regional cultures is necessary within the wider culture zone.
    The double mounted dish with openwork produced at Myeongrye-ri, a site which is located within the distribution zone of Gyeongju style pottery, demonstrates differences from the example of the same pottery type found in Gyeongju. Therefore, attempts were made establish ‘Ulsan style pottery’ by comparing examples from Myeongrye-ri with the typical examples of the Gyeongju style double mounted dish with openwork.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Ulsan style pottery was examined in terms of circulation by inferring possible production sites of Ulsan style pottery and undertaking comparisons with the mounted dishes excavated from surrounding areas.
    Although the double mounted dish with openwork of the ‘Ulsan style’ was faithfully imitating examples from the Gyeongju area, morphological differences can be observed not only in the overall form, but also in the shape of the vessel lip, openwork, relief lines, and the base end. In particular, distinctions can be made based on the presence of high and upright lips, openwork with a short upper part and a long lower end, rounded and high relief, and an absence of patterns.
    It is estimated that the production of Ulsan style pottery took place in the areas of Myeongrye- ri and Jangan-ri, in Gijang; the distribution area includes some areas of Gijang and Yangsan, centering on Ulsa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distinct pottery style zones were present in the area which had previously been classified as being part of the Gyeongju style zone. Compared with the pottery type distribution area of Yangsan and Busan, located adjacent to Ulsan, the distribution range of the Ulsan pottery type was established as follows: within a 12km radius around the main burial mound group, and 17km in terms of actual distance along the road. This area can therefore be interpreted as the pottery circulation zone.
    From the point of view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it appears that the designation of ‘Ulsan style pottery’ as a sub-category of Silla pottery is indeed meaningful.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pottery styles’ can be defin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