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레오 3세의 성상파괴 동기 (A Critical Interpretation on Motivations of Leo III's Iconocla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1.02
29P 미리보기
레오 3세의 성상파괴 동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41호 / 195 ~ 223페이지
    · 저자명 : 이경구

    초록

    비잔티움 역사에서 레오 3세의 성상파괴 정책은 대체로 부정적으로 평가되어왔다. 레오에게는 유대인과 결탁한 이단의 죄가 지워졌다. 레오가 성상파괴를 단행한 것은 우상숭배를 금하는 유대인들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레오에게는 무슬림과 결탁한 죄의 책임도 부과되었다. 레오가 성상을 파괴하기로 결심한 것은 성상숭배를 우상숭배로 간주하는 이슬람의 교리에 굴복하였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많은 연구자들이 이렇게 레오 3세를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은 성상옹호자들의 편견이 담긴 현존하는 비잔티움 사료에 주로 근거하여 레오를 연구하였기 때문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성상옹호자들의 편견이 담긴 비잔티움 사료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또 비교적 객관성을 유지하고 있는 오리엔트 사료들을 활용하여 레오 3세의 성상파괴 동기를 밝혀보려고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레오가 유대인과 관련되어 있다는 스토리는 성상옹호자들이 꾸며낸 신화일 뿐이며 사실이 아니라는 점이 밝혀졌다. 레오는 오히려 유대인의 우상숭배를 비난하면서 유대인과 비정통 기독교도들을 박해하였다. 또 성상옹호자들의 편견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오리엔트 사료들은 레오가 무슬림으로부터도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레오는 정통 신앙을 견지하고 이슬람인들에게 단호하게 대처하였다.
    레오는 유대인이나 이슬람인으로부터 영향을 받아서가 아니라 정책적 필요에 따라서 스스로 성상파괴를 결정하였다. 레오는 통치 초기에 다방면에서 위기상황에 처해 있었다. 변경지역에서는 아랍인들과 불가리아인들이 압박을 해왔고, 이탈리아에서는 롬바르드인들이 제국의 영토를 침식하고 있었으며, 제국의 전역에서는 성상의 숭배가 널리 확산되어 황제권의 약화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레오는 황제를 중심으로 백성들의 분산된 에너지를 하나로 결집하여 대내외적으로 직면한 위기를 극해야할 필요성이 절실하였다. 레오의 성상파괴 결정은 그러한 절박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선택한 방책이었다.

    영어초록

    The iconoclastic policy of LeoⅢ has not been properly estimated in the Byzantine history because many scholars have generally studied LeoⅢ's iconoclasm on the basis of the extant documents which included biased views of iconodules. They have condemned that he took measures of iconoclasm due to Jewish or Muslim influence.
    This study analysed the distorted Byzantine sources critically and used oriental materials which remained without prejudices of iconodules to fairly examine Leo's iconoclasm. Chapter two traced Byzantine sources which contain stories related to both Leo and Jews. As a result of that, it was proved that the stories were first made by a writer hating iconoclasm, transmitted to later generations, and transformed into other stories in the course of time. Consequently Byzantine accounts explain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Leo and Jews were not the records of truth but just fictions invented by iconodules.
    Chapter three criticall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Leo and Muslims in the basis of the oriental sources which remained purely without censorship of iconophiles. On the contrary to the Byzantine documents, these sources proved that Leo had no influence from Muslims. They instead showed that Leo firmly defended Orthodox against Islams.
    In short the analysis of these Byzantine and oriental sources does not give much support to modern theories of Jewish or Muslim influence on Leo's iconoclasm. What did then motivate him to destroy images? Chapter four investigated the motivations of Leo's iconoclasm. Leo had a political thought that “Emperor is the only representative of God in earth” because God gave over him an absolute power. This thought of Leo was clearly expressed in the preface of Ecloga, a law-code which had been published just before he took iconoclastic measures. He did not hesitate to decide iconoclasm because he strongly hold the ideology of, so to speak, Caesaropapism.
    The early period of Leo's reign was dominated by several critical issues: the pressure of Arabs and Bulgars in frontier districts; the military expansion of Lombards in Italy; and the widespread of image cults in the whole empire. He domestically wanted to gather together the scattered energies of the people by means of iconoclastic device. Based on the concentrated energies, he hoped to revive the glory of Justinian Empire in the past. LeoⅢ's iconoclasm was the best policy to satisfy such need and hope as he aspired to d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