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수영 시의 성(性)의 정치학 (Sexual politics of the poetry written by Kim Soo-you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3.01
22P 미리보기
김수영 시의 성(性)의 정치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45호 / 371 ~ 392페이지
    · 저자명 : 김문주

    초록

    이 논문은 김수영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아내’를 중심으로 그의 시에서 성(性)과 관련된 내용이 어떠한 관점에서 배치되고 어떤 의도 속에서 구성되는지를 살핀 글이다. 이 글은 김수영의 시에 그려진 ‘소재로서의 성적(性的)인 것’에 대한 성찰로서, ‘반여성주의’ 관점에서 그의 시를 접근하는 일부 페미니즘 진영의 논의에 대한 비판의 성격을 띠고 있다. 김수영의 시에 형상화된 아내는 자본주의적 욕망과 속물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존재로서 그의 시에 그려진 아내의 부정적인 형상은 시적 주체의 윤리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동원된 비판의 대상이라기보다 ‘나’의 윤리적 타락을 드러내기 위해 배치된 전략적 대상이다. 김수영에게 시는 허위의식을 벗고 비루한 자신을 명증하게 드러냄으로써 자유를 향해 뛰어오르는 도약의 장(場)이라고 할 수 있는바, 그러한 점에서 ‘아내’는 시적 주체로 하여금 자신의 민낯을 명증하게 대면함으로써 시적 도약을 성취하게 하는 부정적 계기라고 할 수 있다. 한국시사에서 다루어진 적이 거의 없는, 가장 내밀한 사적 영역인 아내와의 관계를 적나라하게 노출하고 동시에 기만적인 자신의 욕망을 양지(陽地)로 드러냄으로써 김수영의 시는 일종의 부정적 자기-정화를 통해 윤리적 도약을 성취한다. 이전까지의 한국시사가 접근하지 못한, 시적 전위의 한 극지(極地)를 보여준 이러한 자기폭로의 바바리즘은 허위와 위장의 내면을 스스로 철저하게 걷어냄으로써 시인으로 하여금 일상과 현실의 진실을 투명하게 목도하는 하제(下劑)의 기능을 수행한다. ‘아내’와 ‘性’을 소재로 한 김수영 시의 자기폭로의 급진성은 억압의 영역 자체에 대한 ‘방법으로서의 시적 저항’인 동시에 정신의 온전한 자유를 실현하기 위한 ‘상징적 배설/정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김수영 시의 중요한 테마인 ‘사랑’은 비루하고 이중적인 자신의 민낯을 수락하고 대면하는 이러한 싸움 속에서 비로소 개진된 것이며, 그의 시에 등장하는 ‘아내’는 이 싸움을 구성하는 가장 열렬한 계기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was to examine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sex in his poetry was placed from any perspective and consisted in any intention focus on 'Wife' appeared frequently in the poetry by Kim Soo-young. This article is the reflection on "A sexual thing as a material" described in the poems by Kim Soo-young and is the nature of the criticism for a discussion of some feminist camp approaching to his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Anti-feminist' The wife image in his poetry is a representative being showing capitalism desires and snobbery and the negative image of the wife is a strategic target placed to reveal moral decay of 'I' rather than a target of criticism collected to underline the ethics of poetic subject. The poetry for him is called to be a toehold to jump toward freedom by removing the false consciousness and revealing mean oneself with verification, at that point, 'Wife' can be called a negative cause to fulfil the poetic leap by making the poetic subject confront its original image with clarification. His poetry was to establish the ethical leap through sort of negative self-purification by exposing plainly the relationship with the wife that is the most intimate private area which hasn't been covered in Korea suggests, at the same time and by revealing self-deceptive desires in the sunny spot. This self-revelations barbarism showed the ultimate in the poetic avant that Korea suggests couldn't reach before has made a poet perform a purgative function to witness daily and real truth transparently by removing the inner of the false and the pretense thoroughly for itself. Radicality of the self-revelations in his poetry having materials as 'Wife' and 'Sex' is 'Poetic resistance as a way' in the area itself of oppression at the same time, it can be called 'Symbolic excretion/cleansing act' to realize the full freedom of the spirit. 'Love' that is an important theme in his poetry is what has stated in this fight accepting and facing humble and dual its original image, 'Wife' appeared in that can be the most ardent cause consisting of this fi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