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하 광덕의 지성성과 실천성 (Geumha Gwangdeok's Intellectual and Practical Qualit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22.06
43P 미리보기
금하 광덕의 지성성과 실천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사연구 / 21호 / 167 ~ 209페이지
    · 저자명 : 서재영

    초록

    금하 광덕(金河光德, 1927~1999)은 격동의 근·현대사를 가로질러 간인물로 현대 한국불교사에서 전법(傳法)의 새로운 모범을 개척한인물로 평가받는다. 일제강점기에 가난한 소농의 아들로 태어난광덕스님은 가족들의 잇따른 죽음과 자신의 병고로 힘든 유년시절을 보냈다. 그러나 20대 초반 아픈 몸을 추스르기 위해 요양 차 범어사로 입산하여 동산스님을 만나면서 삶의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된다.
    광덕스님의 사상은 개인, 불교, 사회라는 세 가지 층위에서 겪게 되는 역사적 경험을 통해 조형된다. 첫째, 개인적 배경으로 가난, 죽음, 병고에 시달리는 삶을 경험하면서 인간의 존엄성 회복을 꿈꾸게 된다. 둘째, 불교적 배경으로 불교정화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부처님의 정법(正法)을 오래 머물게 해야 한다는 정법구주(正法久住)의종교적 이상을 갖게 된다. 셋째 사회적으로 식민통치와 전쟁, 이념갈등으로 인한 고통을 겪으면서 세상을 평화롭게 하고, 고통 받는사람들을 구제해야 한다는 사회적 이상을 갖게 되었다.
    광덕스님은 『육조단경』의 선사상, 『금강경』의 반야사상, 「보현행원품」의 화엄사상을 통해서 자신이 꿈꾸던 인간완성, 불교발전, 사회완성을 이룰 사상적 내용을 찾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광덕스님은1974년 불교 잡지 『불광』을 창간하고, 송파구에 불광사를 창건함으로써 도시불교, 대중불교를 표방하는 현대불교의 새로운 서막을열었다

    영어초록

    Ven. Geumha Gwangdeok(金河光德, 1927~1999) crossed the turbulent tim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pioneering a new model for dharma dissemination(傳法)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Buddhism.
    Born as a son of a poor small farmer during the Japanese rule, Ven. Gwangdeok suffered difficult childhood due to the death of family members one after another and his own illness. In his early twenties, however, he went into a mountain where the Beomeo Buddhist Temple(梵 魚寺) was to take care of his sick body and recuperate and faced a new turning point in his life.
    His ideas were shaped by his historical experiences at three layers of individual, Buddhism, and society. First, he experienced a life filled with poverty, death, and suffering from sickness against his personal background and dreamed of restoring human dignity. Secondly, he underwent the process of Buddhist purification against his Buddhist background and dreamed of Jeongbeopguju(正法久住), which is to ensure the long stay of Buddha's Right Teachings(正法). And finally, he endured the colonial rule and the pain of war in society, dreaming of making the world peaceful and saving people in suffering.
    Ven. Gwangdeok put together the ideological content to promote human completion, Buddhist development, and social completion from such Buddhist ideas as Zen(禪), Prajñā(般若), and Hwaen(華嚴) ideas, completing his Bulkwang ideas. Based on them, he created the Buddhist magazine Bulkwang in 1974 and built the Bulkwang Buddhist Temple in Songpa-gu based on it, opening the first act of modern Buddhism claiming to support urban Buddhism and popular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