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트로트에 나타나는 남성성의 상투성과 전복성 (The Cliché and Subversion of Masculinity in Tro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22.12
23P 미리보기
트로트에 나타나는 남성성의 상투성과 전복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문화연구 / 60권 / 35 ~ 57페이지
    · 저자명 : 장유정

    초록

    본 논문에서는 현재 유행하는 트로트의 노랫말을 중심으로 노랫말에 나타나는 남성성을 살펴보았다. 그를 위해 2장에서는 과거 트로트의 제목에서 남성 호칭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대략 알아보았다. 광복 이전에 사나이(사내)가 가장 많이 등장했다면, 광복 이후에는 ‘사나이’를 위시해서 남성 호칭어가 더욱 다양하게 사용된 것을 확인하였다. 직업으로는 광복 이전부터 적어도 1960년대까지 ‘마도로스’가 가장 많이 등장하였다. 앞으로 트로트 곡목을 시대별로 목록화 하는 작업을 하여 계량적으로 남성 호칭어 등의 사용 현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3장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 음악 재생 사이트인 멜론과 벅스의 ‘성인가요 TOP 100’에 오른 노래들을 통해 현대 트로트의 몇 가지 특성을 언급하였다. 첫째, ‘남성 가수들의 대활약’이다. 현재 100곡에 오른 노래 중 대부분이 남성 가수들의 노래였다. 둘째, ‘특정 가수의 편중성’이다. 몇몇 남성 가수들에게 순위가 몰려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트로트 경계의 불확실성’이다. ‘미스터트롯’이 인기를 얻으면서 그들이 부른 노래가 트로트가 아닌데도 트로트 순위에 포함된 현상이 나타났다.
    4장에서는 ‘성인가요 TOP 100’에 오른 노래 중 남성성의 상투성과 전복성을 보여주는 노래를 각각 살펴보았다. 남성성이란 고정된 것이 아니다. 기존 노랫말에 나타나는 남성성이 현대 트로트의 노랫말에 지속해서 나타나는 것을 남성성의 상투성이라 했고, 기존 남성성과 배치되는 남성성을 보여주는 노랫말을 남성성의 전복성으로 간주하고 그 구체적인 모습을 알아보았다.
    남성성의 상투성은 크게 ‘허세’와 ‘순정’으로 나타났다. ‘허세’는 종종 근거 없거나 무모한 남성의 자신감 내지 마초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를 통해 오히려 입지가 불안해진 남성들의 모습도 만날 수 있다. ‘순정’도 마찬가지다. 남성들이 ‘순정’을 강조하면 할수록 현실이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기존 남성성의 전복을 보여주는 노래로 임영웅의 대표적인 노래인 <이제 나만 믿어요>와 <별빛같은 나의 사랑아>를 들었다. 노랫말에 ‘남자’가 등장하지 않은 것이 기존 남성성을 강조한 노래들과 다른 점이다. 노랫말에서 자신의 부족함을 솔직하게 드러내고 사랑하고 고맙다고 표현하고 행복해서 눈물마저 흘리는 자상하고 다정한 남성을 만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이 노래를 부른 임영웅이라는 가수와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임영웅의 말과 창법에서 과장되거나 감정 과잉이 아닌 자연스럽고도 편안하고 부드러운 속성을 찾을 수 있다. 이를 ‘부드러운 남성성’이라 명명할 수 있다. 물론 이것만으로 임영웅의 인기를 설명할 수 없겠으나, 임영웅과 그의 노래를 통해 ‘부드러운 남성성’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여전히 전쟁과 폭력과 억압이 난무하는 세상에서 강한 남성성이 부정적인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다. 현대 트로트에 나타나는 부드러운 남성성이 세상을 구원할 수는 없을지라도 미래의 세상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작은 실마리를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asculinity that appears in the lyrics, focusing on the currently popular Trot lyrics. For this, Chapter 2 outlined how male titles appear in the titles of past Trot songs. It was confirmed that men (Sanae) appeared the most before liberation, but after liberation, men's titles were used more diversely, including Sana-i. As for occupations, ‘Madoros’ appeared the most from before liberation to at least the 1960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list Trot songs by era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male titles quantitatively.
    Chapter 3 mentioned several characteristics of modern trot through songs on Melon and Bugs' “Adult Songs Top 100,” Korea's representative music streaming site. First, it is ‘the great performance of male singers’. Most of the songs currently being on the list of 100 were by male singers. Second, ‘the bias of a particular singer’. It was confirmed that some male singers were ranked. Finally, ‘uncertainty of Trot boundaries’. As “Mr. Trot” gained popularity, the phenomenon that the songs they sang were included in the Trot rankings even though they were not Trot songs.
    Chapter 4 looked at songs that showed the cliché and subversion of masculinity among the songs that reached the “Adult Songs Top 100.” Masculinity is not fixed. The continuous appearance of masculinity in the existing lyrics of modern Trot was called the image of masculinity, and the lyrics that show masculinity contrary to existing masculinity were considered to be subversive of masculinity and examined its specific appearance.
    The cliché of masculinity was largely composed of ‘bluff’ and ‘pure’. ‘Bluff’ often appeared as a self-confidence or macho form of a baseless or reckless man. Howeve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eet men who have become rather unstable. The same is true of ‘pure’. This is because the more men emphasize “purity,” the more they show that reality is not.
    It's a song that shows the overthrow of existing masculinity, and Lim Young-woong(Im hero)'s representative songs are, <Now trust me> and <My Love Like Starlight>. The fact that “man” does not appear in the lyrics is different from existing songs that emphasize masculinity. You can meet a caring and friendly man who honestly reveals his lack in the lyrics, expresses his love and appreciation, and even shed tears because he is happy. And it naturally connects with a singer named Lim Young-woong who sang this song. You can find natural, comfortable, and soft properties that are not exaggerated or excessive in Lim Young-woong's words and singing methods. This can be called ‘soft masculinity’. Of course, this alone cannot explain Lim Young-woong's popularity, but through Lim Young-woong and his songs, “soft masculinity” can be confirmed to have played a positive role.
    In a world still being rife with war, violence and oppression, strong masculinity is working in a negative way. Although the soft masculinity that appears in modern trot cannot save the world, it is believed that it will give a small clue to the future direction of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