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측의 육성취(六成就) 이해(Ⅱ)- 처성취(處成就)와 중성취(衆成就)를 중심으로 - (A Study of Won-chk's Understanding of the Six Accomplishments (II): Focusing on Accomplishment of Place(處成就) and Accomplishment of Audiences(衆成就))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24.08
32P 미리보기
원측의 육성취(六成就) 이해(Ⅱ)- 처성취(處成就)와 중성취(衆成就)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64호 / 3 ~ 34페이지
    · 저자명 : 조윤호

    초록

    이 연구는 『해심밀경소』「서품」의 후반부를 검토하여 육성취 가운데 처성취와 중성취에 대한 원측의 이해와 교학적 의의를 확인하였다. 그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여래의 ‘머묾(住)’은 원측의 해석 과정에서 단순한 물리적 공간으로서의 층위를 넘어 그 교학적 의미가 최대한으로 확장되며, 여래가 ‘머무는 장소(住處)’는 단순한 설법 장소로서의 공간적 의미를 넘어 여래의 삼매․지혜․법문 등 갖가지 공덕 및 세간․불국토․불신․불공덕의 의미 영역에서 재해석된다. 또 ‘머무는 장소의 원만함’의 의미 역시 원측의 해석 과정에서 여러 교학체계들 간의 이해 지평에 명백한 차이가 있음이 드러나며, 이는 유식교학이 부파교학과 달리 표색(表色)이나 형색(逈色)을 따로 상정해 색경으로 설정하고 있는 등의 사실에서도 확인된다.
    더불어 원측은 설일체유부가 11가지 색법 가운데 현색(顯色)이나 형색(形色), 또는 그 둘의 양태를 띄고 드러나는 존재로 오직 색경(色境)을 인정하고 있는 것과 달리 유식교학에서는 무표색을 현색이나 형색과 무관한 것으로 보는 등의 사실을 확인시켜준다. 이를 통해 그는 주처의 원만과 관련한 여러 교학체계들 사이에 존재하는 이해 지평의 차이를 확인함과 동시에 유식교학의 관점을 명확히 한다.
    원측에 의하면 경전들 사이에 보이는 청중의 부류․유무․선후 등과 관련한 불일치나 모순적 상황들은 그 경전을 결집한 사람들의 의도나 선호에 의한 것으로, 해당 경전 및 불설 자체의 신뢰성이나 정통성 여부와는 무관하다. 경전들에서 설법 대상의 직․간접 여부 역시 그 법이 설해지는 장소의 정토 ․예토 여부와 연관시켜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이 사안 역시 경전들의 권위나 정통성 문제와 무관하다.
    성문과 보살에 대한 교학적 정의 및 공덕의 평가와 관련해 원측은 보리살타마하살타(菩提薩埵摩訶薩埵)에 대한 어의적 해석, 즉 ‘마하살’ 개념에서 중생 구제의 정신과 실천의 의미를 확인해 냄으로써 성문에 대한 보살의 교학적 권위를 확인한다.
    원측은 대승교학에서의 해탈이 무위해탈을 본질로 하는 것과 달리, 유부교학에서의 해탈은 무학위의 아라한이 승해에 대한 정견을 통해 유위열반에 드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 그는 보살이 무루의 지혜로서 삼명의 공덕을 갖춘 것과 달리, 아라한이 갖춘 삼명의 공덕 중 누진통만이 부분적으로 무루의 지혜에 통한다는 것을 확인한다. 아울러 십대․십지․십바라밀․십원이라는 전통적인 교설 체계들에 의해 확인되듯이 ‘대승이란 곧 중생을 교화하고 보리를 구하는 것’이며, 보살은 십지의 수행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불과를 성취하는 존재임을 재확인한다.
    이 연구에서는 육성취와 관련한 원측의 이해에 보이는 특징들을 확인하는 것에 논의를 한정하였다. 다만 원측의 작업 과정에는 당시의 대표적 이해 방식들이 망라되어 있다는 점에서 8세기 이전 동아시아 불교권에서의 육성취 이해는 이로써 일단의 완결을 보았다고 할 수 있다. 불전의 한역과 주석 작업 등을 중심으로 불법의 수용과 이해 방식 정립에의 열정이 최고조에 달하던 이 시기를 정점으로 육성취 자체에 대한 관심 또한 상대적으로 소원해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원측의 작업은 불전의 정통성 문제와 관련하여 동아시아불교권의 교리사적 전통에서 가장 본격적이고 종합적인 연구로 평가해도 크게 무리가 없을 것이다.

    영어초록

    Won-chk's(圓測) Saṃdhinirmocanasūtraṭīkā(解深密經疏) discusses the Six Acco mplishments in such detail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examples in the history of scriptural interpretation in East Asian Buddhism.
    This paper examines Won-chk's interpretation of the Accomplishment of Place and Audiences, examining how he understands the issue of securing the orthodoxy of the Buddha's teachings.
    According to Won-chk, the place where the Buddha dwells is not only a place where he transmits his teachings, but is also reinterpreted in the realm of the meaning of various merits, such as the Buddha's samadhi, wisdom, and teachings, as well as the world, the Buddha land, the Buddha's body, and the Buddha's abilities.
    According to Won-chk, discrepancies in the type of audience, presence and absence, first and last, etc., are the result of the intentions or preferences of those who wrote the scriptures and have nothing to do with the reliability or authenticity of the scriptures.
    Won-chk clarifies that the Moksha of Mahayana Buddhism is Asaṃskrta-nirvana, but the Moksha of Hinayana Buddhism is Saṃskrta-nirvana. According to Won-chk, Mahayana is the edification of sattva and the pursuit of bodhi, and The Bodhisattva is one who finally attains the state of Buddha through the practice of Daśabhūm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