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해 상경성 내 제1절터의 건축적 성격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No.1 Temple in Sanggyeong Fortress(上京城), Balhae(渤海))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5.07
29P 미리보기
발해 상경성 내 제1절터의 건축적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구려발해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구려발해연구 / 52권 / 45 ~ 73페이지
    · 저자명 : 김왕직

    초록

    발해 상경성(上京城)에서는 지금까지 9개의 사찰지가 발굴되었다. 제1절터는 본채인 금당 양쪽에 곁채를 두고 본채와 곁채 사이를 복도로 연결한 구성이 특징이다. 또 본채는 금당의 평면형식 중에서 사방에 퇴가 있는 겹실형이라는 것이 또 하나의 특징이다.
    본채와 곁채를 복도각으로 연결한 일체형구성은 그 사례가 매우 드물다. 현존하는 사찰로는 일본의 뵤도잉(平等院) 호오도(鳳凰堂)을 들 수 있는데 뵤도잉은 11세기 일본 아미타신앙의 대표적인 사원이다. 중국은 현존하는 본채와 곁채 일체형 사원은 없으며 돈황벽화의 아미타당 그림에 다수 그 사례가 나타난다. 신라에서는 일체형 배치를 아직까지 찾아 볼 수 없다. 곁채의 용도는 종루와 경루로 보는 견해가 압도적이지만 일본 호죠지(法成寺) 및 중국 샨화쓰(善化寺)의 경우는 곁채가 부속불전인 사례가 있으므로 단정할 수 없다.
    본채와 곁채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방식은 상경성에서도 제1사찰에서만 나타나는 드문 사례지만 중국 및 일본의 유사한 시기 사례와 상경성에서 발견된 아미타소조불 등의 유물로 미루어 제1절터의 성격을 정토사원으로 비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채가 속칸과 겉칸으로 구성된 겹실형 평면을 북한학자들은 발해만의 특징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고대 인도의 석굴이나 중국 당대 포꽝쓰(佛光寺) 대전을 비롯한 송대(宋代) 롱씽쓰(隆興寺) 모니띠엔(摩尼殿), 포공쓰쉬지아타(佛宮寺釋迦塔), 신라의 사천왕사(四天王寺) 금당(金堂), 황룡사(黃龍寺) 중금당(中金堂) 등 다수의 사례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 6~10세기 정도에 유행하였던 불전 평면의 보편적인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Sanggyeong Fortress, Balhae, 9 Buddhist temple sites have been excavated so far. The first temple site has the characteristic having layout that the annexes of a building were built both sides of Geumdang, the main building, and connect the main building and the annexes with the corridor. In addition, another characteristic is that out of plan-types of the Geumdang, the main building is the double-walled room having alcova at four directions.
    The structure that connect the main building and the annexes with the corridor can be referred to as ‘penthouse style’ and this case is very rare. For the Buddhist temple currently existed, there is Houou-Do at Byodoin in Japa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temple of Pure Land Buddhism in Japan during 11th century. In China, there is no Guibang style Buddhist temple currently existed but various cases appear in the painting of Amitadang at Dunhuang mural. In Shilla, the Guibang style layout has not been found yet. For the usage of annex, the dominating opinion considers it as the bell tower or sutra tower but since there is the cases that the annex is the auxiliary Buddhist temple like Beopseong Temple, Japan and Shan Hua Si, China, it cannot be concluded easily.
    Although Guibang-style structure, which the main building and the annexes are composed as integrated type, is the rare case enough to appear only in the first temple in Sanggyeong Fortress. Considering the similar cases in the similar period in China and Japan and the relics discovered in Sanggyeong Fortress, the nature of first temple site can be estimated as the sukhavati temple.
    The scholars from North Korea claimed that the double-walled floor plan that the main building is composed of the inner room and the outer room is the characteristic of Balhae only. However, considering that there are various cases such as Manijeon(摩尼殿) at Yungheungsa(隆興寺) and Seokatap at Bulgungsa(佛 宮寺釋迦塔) during Song Daynasty, Geumdang(金堂) at Sacheonwangsa(四天王寺), Junggeumdang(中金堂) at Hwangryongsa(黃龍寺) during Shilla, etc. it could be the general type of Buddhist temple plan that was popular during 6~ 10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구려발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