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인 미디어 시대의 ‘섬’ 수행의 변화에 대한 연구 : 격리와 통합의 모순적 결합 (Performing Islands in Personal Media Era: Islands of Survival, Pilgrimage, and Living for a Month)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0.10
29P 미리보기
1인 미디어 시대의 ‘섬’ 수행의 변화에 대한 연구 : 격리와 통합의 모순적 결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탐라문화 / 65호 / 353 ~ 381페이지
    · 저자명 : 전원근

    초록

    섬은 오랫동안 우리의 일상적 시공간과 분리된 격리의 공간으로 이해되어 왔으며, 이를 통해 유토피아와 같은 문화적 상상의 원천이 되어 왔다. 1인 미디어 시대에 섬 콘텐츠들은 이러한 이해방식을 차용하면서 섬을 이전과 비교할 수 없는 규모로 반복적으로 재구성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1인미디어의 ‘섬 수행’으로 개념화하고, 그 방식들을 어포던스, 추상성, 모빌리티의 측면을 통해 ‘생존’, ‘순례’, 그리고 ‘한달살기’의 세 범주로 나누어 살펴본다. ‘생존의 섬’에서 섬은 제작자와 시청자의 동시적 시뮬레이션 수행을 통해 생존 실험을 위한 추상적인 가상의 무인도로 나타나며, 이러한 콘텐츠에서 인간의 본질은 야생에서 투쟁하는 하나의 생명체로 환원된다. ‘순례의 섬’에서 제작자와 시청자는 섬에 대한 특정한 서사적 경험을 위해 여러 요소들을 재배열함을 통해 섬의 시공간을 중심부의 일상적 시공간과 다른 것으로 만들어낸다. ‘한달살기의 섬’은 섬을 육지 또는 중심부와 동시적으로 연동되어 있는 거주 가능한 공간으로 재현함과 동시에, 섬에 부여된 낭만적 속성들을 이용하여 거주하고 싶은 공간으로 재구성한다. 이처럼 1인 미디어의 섬 콘텐 츠는 섬의 격리성과 원시성이라는 낭만적 상상들을 적극적으로 차용하지만, 실제로는 각각의 방식으로 섬을 일상의 중심부 시공간에 통합시킨다. 또한 이러한 수행들은 섬을 둘러싼 가상과 현실, 멀고 가까움, 움직임와 멈춤의 이분법들을 가로질러 작동하며 그것들이 구분 불가능한 헤테로토피아의 공간 으로 섬을 재생산한다. 1인 미디어의 사회적 확산은 연구에 있어 전 사회 구성원에 걸친, 확장되고 다양화된 수행이라는 측면에서 ‘섬’을 바라볼 필요성을 요청한다.

    영어초록

    The island has long been understood as a space of isolation separated from our daily time and space, and become a source of cultural imagination of utopia and dystopia. By depending on this imagination, personal and social media repeatedly reshape the experiences and imaginations of island on a large scale. This study examines three categories in which islands are performed in personal media by analysis of their affordance, abstractedness, and mobility. In 'Island of Survival', the island appears as a virtual uninhabited island for the experiment of survival through simultaneous simulation conducted by the creator and viewer. In these contents, island is abstracted as an isolated space and a primitive environment, and the human nature is reduced to an organism that struggles in the wild. In 'Island of Pilgrimage', the creators and viewers rearrange various elements for a specific narrative experience on the island, and make the time and space of the island different from the ordinary one of the center/mainland. 'Island of Living for a Month' reproduces the island as a habitable space that is simultaneously linked to the mainland and also a space desirable for living by using the romantic attributes given to the island. Through these performs based on the presupposed attribute of isolatedness, the islands paradoxically become no longer isolated, but simultaneously linked to the center. In addition, these practices work across the dichotomy of the virtual and reality, the far and nearness, and motion and pause, reproducing the island into a heterotopia where they become indistinguishable. The popularity and spread of personal media lead us to analyze ‘island’ as constructed not only by governments, inhabitants, and tourism industries, but also socially and globally extended and diversified performa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탐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