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섬 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 추진 단계 고찰 (A Study on the Policy Implementation Steps for the Activation of Island Tourism)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4.04
20P 미리보기
섬 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 추진 단계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서(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서연구 / 36권 / 1호 / 59 ~ 78페이지
    · 저자명 : 이웅규

    초록

    본 연구는 섬 관광 활성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중앙이나 지방정부 차원에서 섬 관광 활성화 및 발전을 위한 정책 추진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섬 관광이 아닌 섬 여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중앙 및 지방정부가 섬 관광정책 추진 차원의 접근이 아닌 섬 여행에 대한 정책과 비전을 가지고 접근해야만 이에 대한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섬 여행자 관점 또는 시선에서 ‘섬 관광’을 바라보는 시도나 접근을 해야 한다. 섬 관광콘텐츠를 적극적으로 발굴하면서 섬 관광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정책 추진 방안들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중앙 및 지방정부는 관광객이 공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섬 관광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여, 낙후하여 소외되어 가는 섬 지역의 소멸을 방지하는 장기적이고 전략적이면서 체계적인 접근을 하는 현명한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는 관광과 여행을 굳이 구분하지 않고 일반적인 차원의 관광 논리를 펼치면서 섬 관광시설도 관광객의 일상적인 공간과 유사한 환경으로 조성되어 섬 주민의 주거 공간까지 영향을 미칠 정도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길 기대하며 문헌 고찰을 집중적으로 실시하였다. 관광과 여행에 대한 이해로부터 섬 관광 활성화 문제는 시작해야 한다. 그것이 섬 관광 난제(難題)를 해결하는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섬 관광’이 언제부터 우리나라에서 쓰였는지 몰라도 ‘섬 관광’ 대신에 ‘섬 여행’이라는 표현이 훨씬 더 적합하다. 왜냐하면, 일반적인 관광행태와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접근해야 가능한 곳이 ‘섬’이기 때문이다. 관광은 일상생활권을 떠나 다시 돌아갈 예정으로 쾌(快, pleasure)를 목적으로 즐겁고 편안하고 행복하고 쾌적하게 다녀오는 사람 활동이지만, 여행은 고통, 고생, 고민을 통한 자유(自由)를 갈구하는 인간 행동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유사한 관광지가 관광객(tourist)에게 주목을 받게 되는 이유이다. 왜냐하면, 사람 대부분이 싸이코센트릭스(psychocentrics), 즉 Psychocentrics Dependables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단체여행을 선호하고 이미 잘 알려진 대중적인 관광지를 선택하는 경향을 지녔다는 점에서 비교적 잘 알려지지 않은 섬에 가서 화장실과 인터넷 통신 등의 불편함을 참으며 관광 활동을 하는 사람은 없다는 의미이다. 그런 측면에서 섬을 방문하는 사람은 관광객이 아닌 여행자(traveller)의 관점에서 여행하러 온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그런데도 본 연구는 ‘섬 관광’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정부 정책의 시급성과 섬 지역 주민의 염원을 고려하여 ‘섬 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 추진 단계’연구를 진행했다. 물론, 연구자는 학자의 양심을 비켜나가 연구업적평가를 위해, 그리고 지자체 장(長)이나 대통령이 자신의 치적 쌓기나 정치적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저지른 과욕이었음을 밝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소외당하고 낙후하여 가는 섬 지역 주민을 위한 섬 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이라는 차원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 결과, 중앙 및 지방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섬 관광 활성화 정책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 본 연구는 다음의 대전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섬 관광객이 섬에 입도(入島)하는 순간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섬 지역이 협소하다는 특징에서 비롯된 것이다. 둘째, 섬이 협소하다는 점에서 수용 능력에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과도한 관광객 유치는 오버투어리즘으로 인한 다양한 사회·문화적, 경제적, 환경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전예약제나 철저한 관광인프라 구축을 제시했다. 셋째, 섬에 입도하기까지 중간에 머무르는 여객터미널의 현대화 및 운임 할인, 매표 서비스의 강화, 입도 후 섬 내에서의 교통 편의성 제공 등 섬 관광 과정을 쾌적하고 신속하고 원스톱으로 시스템화하여 섬 관광객의 편의성을 높여야만 한다. 왜냐하면, 섬 관광객은 여행자가 아닌 즐거움을 추구하는 관광객이라는 점 때문이다. 넷째, 섬 관광 활성화를 위한 쾌적한 섬 관광 공간 조성을 위한 기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 및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즉, 1년 내내 4계절 섬 관광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특정 시즌에 야외관광 활동을 할 수밖에 없는 섬 지역의 기후환경을 고려하여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관광 기후환경 지수를 개발하여 관리해야 한다. 한편, 섬 관광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는 단계를 중앙 및 지방정부의 선제적인 섬 관광정책 투자계획 수립 및 시행을 우선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후 투자계획에 따른 단계별 사업 추진 사항을 첫 단계, 섬 숙박 시설 수용 인프라 구축을 제시했다. 두 번째 단계는 섬 교통망 및 주차장 확충 사업 추진을 제시했다. 세 번째 단계는 항만 및 여객터미널 현대화 및 항만 정비사업 추진을 제시했다. 네 번째 단계는 섬 축제 등 MICE 행사는 비수기 타개책이라는 인식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esented matters to be considered at the policy implementation stage for revitalizing and developing island tourism at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 level. In particular, in order to revitalize island travel rather than island tourism, it must be kept in mind th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can only achieve results if they approach it with a policy and vision for island travel rather than an approach that promotes island tourism policy. To this end, an attempt or approach must be made to look at ‘island tourism’ from the island traveler’s perspective or perspective. While actively discovering island tourism content, we proposed several policy implementation measures to revitalize island tourism. Through thi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prepared practical plans to revitalize island tourism with which tourists can sympathize. Namly, we wanted to provide a wise opportunity to take a long-term, strategic, and systematic approach to prevent the extinction of underdeveloped and neglected island regions. The issue of revitalizing island tourism must begin with an understanding of tourism and travel. This is because it is a shortcut to solving the island tourism problem. I don’t know when ‘island tourism’ was used in Korea, but the expression ‘island travel’ is much more appropriate than ‘island tourism’. Most people prefer group travel and choose well-known and popular tourist destinations. This means no one goes to a relatively unknown island and engages in tourist activities while enduring inconveniences such as bathroom access and internet communication. In that respect, people who visit the island often travel from the perspective of a traveler rather than a tourist.
    Nevertheless,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Policy implementation steps for revitalizing island tourism’ by considering the urgency of government policy to revitalize ‘island tourism’ and the aspirations of island resi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order for the various island tourism revitalization policies promoted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o achiev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major premises. Firstly, the anonymity of island tourists is not guaranteed the moment they enter the island. This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island area is small. Secondly, given that the island is small and has limited capacity, attracting excessive tourists can lead to various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over-tourism, so a reservation system and thorough construction of tourism infrastructure were suggested. Thirdly, the convenience of island tourists is improved by systematizing the island tourism process in a comfortable, fast, and one-stop way, including moderniz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 and fare discounts until entering the island, strengthening of ticket services, and provision of transportation convenience within the island after entering the island. Lastly, a system and platform that can respond to climate change must be established to create a comfortable island tourism space to revitalize island tourism. Namely, island tourism in all four seasons is impossible throughout the year. Meanwhile, it was suggested that the steps to promote island tourism revitalization policies include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preemptive island tourism policy investment plans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step-by-step business progress according to the investment plan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phase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to accommodate island accommodation. The second stage proposed the promotion of the island transportation network and parking lot expansion project. The third stage proposed the modernization of ports and passenger terminals and promoting port maintenance projects. The final step suggested that the perception that MICE events such as island festivals are a way to overcome the off-season should be strengthe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