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합일(合一)에의 열망과 경주(신라)의 신화적 형상화 - 김동리 장편 역사소설 「삼국기」(상편), 「대왕암」(하편)을 중심으로 (A Desire for Unity and Mythical Embodiment of Gyeongju(Silla) - Focusing on Kim, Dong-Lee’s full-length historical novels - “Samgukgi” (the first volume) and “Daewangam” (the last volum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2.09
26P 미리보기
합일(合一)에의 열망과 경주(신라)의 신화적 형상화 - 김동리 장편 역사소설 「삼국기」(상편), 「대왕암」(하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권 / 3호 / 157 ~ 182페이지
    · 저자명 : 신정숙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삼국기」(상편, 1972~1973), 「대왕암」(하편, 1974~1975)에 형상화 된 경주(신라)의 신화화 방식과 합일의 시·공간으로 상정된 경주(신라)라는 공동체가 지닌 폭력적 특성을 분석함에 의해서 개인과 민족/국가의 합일을 통해 근대인의 분리의식을 극복하는 방식이 지닌 의미와 이의 허구성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이다. 이는 근대성의 경험과 개인과 민족/국가의 합일에의 열망,근대인의 과거로의 회귀의식과 근대성의 극복에의 열망, 그리고 민족/국가를 절대화 시키는 이데올로기가 지닌 폭력적 성격에 대해 규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김동리는 근대인의 분리의식을 극복하는 방식들 중의 하나로서, 개인과 민족/국가의 완전한 합일을 제시한다. 이 방식은 분리된 개별자로서의 불안과 공포를극복하고자 하는 인간의 근원적인 본능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분열되지 않은 원초적 시·공간으로 회귀하고자 하는 열망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김동리의 사상이 가장 선명하게 나타난 문학작품이 장편 역사 소설 「삼국기」(상편,1972~1973), 「대왕암」(하편, 1974~1975)이다. 이 소설에서 합일에 대한 열망은 경주(신라)를 개인 간의 분리의식, 죽음에 의한 분리의식이 존재하지 않는시·공간으로 신화화 시키는 방식을 통해 드러난다. 김동리는 경주(신라)를 개인간의 완전한 소통의 공간이자, 윤리적 공간으로 설정하며, 백제·고구려를 단절의공간이자, 비(非)윤리적 공간으로 상정한다. 이러한 방식은 기본적으로 선/악의이분법적 구도를 설정하고, 경주(신라)를 선(善), 백제·고구려를 악(惡)으로 상정하는 것으로서, 궁극적으로 백제·고구려를 완전히 타자화 시키는 것이다. 그러나완전한 합일의 시·공간으로 설정된 경주(신라)는 역설적이게도 개인의 희생을 통해 실현된다. 이러한 개인의 희생을 정당화 시키는 이데올로기는 충성과 효도라는 윤리이다. 이는 거부할 수 없는 도덕적, 감성적 판단규범으로서 전 사회 구성원들을 상하의 수직적 질서에 종속시키는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판단규범의 절대성으로 인해서 민족/국가를 위한 개인의 희생은 합리화, 정당화 된다. 또한 경주(신라)에 의한 삼국통일 과정은 신라인은 하나라는 감정을 자극함에의해서 자발적인 희생을 유도하는 방식을 통해서 실현된다.
    이와 같이 장편 역사 소설 「삼국기」(상편, 1972~1973), 「대왕암」(하편, 1974~1975)은 표면적으로 개인과 민족/국가의 낭만적 결합과정을 제시하고 있지만,이 소설이 궁극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개인이 민족/국가에 의해서 소멸/삭제되는양상이다. 그러나 김동리 소설에 형상화 되는 민족/국가에 대한 신화화 방식은근본적으로 근대인의 분리의식을 극복하기 위하여 설정된 것이라는 점에서, 정치집단의 이익을 위한 국가주의와는 차별성을 갖는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significance of a way to overcome separation of consciousness in modern people through the unity between individuals and ethnic group/nation and its fictiveness, analyzing the violent characteristics of a community, Gyeongju(Silla), established as the mythicization of Gyeongju(Silla) embodied in “Samgukgi” (the first volume, 1972~1973) and “Daewangam” (the last volume, 1974~1975) and as time/space of unity. This paper also aims to reveal the experience in modernity, aspiration for the unity between individuals and ethnic group/nation, modern people’s homing ability to the past, a desire to overcome modernity, and the violent characteristics of the ideologies absolutizing ethnic group/nation.
    Kim, Dong-Lee suggested the perfect unity between individuals and ethnic group/nation as a way to overcome separation of consciousness in modern people. This way originates in fundamental human instinct to overcome anxiety and fear arising from the separation and is closely associated with a desire to revert back to the primitive time/space which is not separated.
    These Kim, Dong-Lee’s thoughts are most clearly shown in his full-length historical novels, “Samgukgi” (the first volume, 1972~1973) and “Daewangam” (the last volume, 1974~1975). In these novels, a desire for unity is unveiled, mythicizing Gyeongju(Silla), separation of consciousness in a person, and time/space in which with no separation of consciousness caused by death. Kim, Dong-Lee establishes Gyeongju(Silla) as a space for the perfect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an ethical space, and establishes Baekje and Goguryeo as an unethical space. This approach ultimately makes Baekje and Goguryeo separate entities, establishing dichotomous composition of good/evil and establishing Gyeongju(Silla),and Baekje and Goguryeo, as good and evil, respectively. However,Gyeongju(Silla) established as the time/space of perfect unity is, paradoxically,accomplished by individual sacrifice. The ideology justifying this individual sacrifice is loyalty and filial duty. These are irrecusable moral and emotional judgment norm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subordinating the members of a society to hierarchical order. Due the absoluteness of the judgement norms, the individual sacrifice for an ethnic group and a nation is rationalized and justified. Furthermore,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by Silla was accomplished in a way of inducing voluntary sacrifice by stimulating the emotion of Shilla people, ‘Shilla people is one”.
    Thus, “Samgukgi” (the first volume, 1972~1973) and “Daewangam” (the last volume, 1974~1975) suggested a romantic binding process superficially,yet these novels ultimately embodied a pattern in which a person became extinct and was eliminated by ethnic group/nation. Depicted in the novel Kim, Dong-Lee on ethnic / national myth set moderns separation of consciousness to overcome essentially that for the collective interests of the political nationalism, and has the distinction o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