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朱熹의 『詩經』 注解書 비교 연구 -『詩集傳』, 『詩序辨說』, 『朱子語類』, 『詩傳遺說』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Zhu-xi’s interpretative books of The Book of Odes - Focused on 『Shijizhuan』, 『Shixubianshuo』, 『Zhuziyulei』, 『Shizhu anyishuo』)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09.12
33P 미리보기
朱熹의 『詩經』 注解書 비교 연구 -『詩集傳』, 『詩序辨說』, 『朱子語類』, 『詩傳遺說』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19권 / 1호 / 133 ~ 165페이지
    · 저자명 : 양원석

    초록

    본고는 朱熹의 『詩經』 注解書 4種에 대한 비교 검토를 통해 각 책의 특징과 성격을 밝히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주희가 직접 저술한 『詩集傳』과 『詩序辨說』, 주희와 그의 門人들간의 問答 기록인 『朱子語類』의 『시경』 관련 부분, 주희의 손자 朱鑑이 편찬한 『詩傳遺說』 등을 대상으로 하여, 각 책의 편찬 시기, 저술 취지, 내용 구성 등의 槪況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아울러 詩經論 各論에 대한 해설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각 책의 특징과 성격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詩集傳』은 주희의 『시경』 주해서의 대표적인 것으로, 漢⋅唐 舊說을 비롯하여 특히 宋朝 諸家의 說을 두루 수용하여 宋學 『시경』 연구의 집대성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이 책은 시경론 관련 논술을 직접 제시하기 보다는, 각 詩篇에 대한 주석과 해설의 방식으로 시편의 내용 풀이에 주력하면서 주희의 詩經觀을 제시하였다.
    『詩序辨說』은 책의 제목에서도 볼 수 있듯이 주로 詩序의 문제점을 논박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大序를 비롯하여 각 시편에 해당하는 小序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변론을 펼치고 있으며, 詩序와 관련된 주희의 견해가 집약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朱子語類』의 권80, 권81, 권23에는 각 시편에 대한 해설 뿐 아니라, 美刺說 부정, 大序의 ‘變風止乎禮義’에 대한 부정, 詩序子夏所作說 부정, 讀詩者의 ‘思無邪’ 주장, 反詩序說, 淫詩說 등 주희 시경론의 주요 내용에 대한 다양하고 상세한 자료가 제시되어 있다. 특히 주희 시경론의 晩年 定論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詩傳遺說』은 『晦庵集』과 『朱子語類』 등에 보이는 주희 시경론 관련 자료를 발췌하여 수록한 것으로, 『시집전』에 누락된 주희 시경론의 내용을 집성함으로써 『시집전』의 내용을 보충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영어초록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following four kinds of literature related to study on Zhuxi(朱熹)’s The Book of Odes. That is the literature includes Shijizhuan(詩集傳) and Shixubianshuo(詩序辨說) directly written by Zhuxi; a portion related to The Book of Odes of Zhuziyulei(朱子語類), records of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Zhuxi and his disciples; and Shizhuanyishuo(詩傳遺說) compiled by Zhujian(朱鑑), a grandson of Zhuxi. In this paper,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s of each book were analyzed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e above-mentioned four kinds of notes and interpretative books. To summarize the review result, it is as follows.
    Shijizhuan is a typical book among commentaries on Zhuxi’s The Book of Odes and evaluated to have compiled the study results on Song(宋)’s science The Book of Odes. This book mainly consists of notes and comments on each poetry.
    The main contents of Shixubianshuo are arguments against problems of Shixu(詩序). It discussed about Daxu(大序) and Xiaoxu(小序) corresponding to each poetry.
    In Volume 80, Volume 81 and Volume 23, which are portions related to Zhuziyulei’s The Book of Odes, the key facts of the theory of Zhuxi’s The Book of Odes are contained. These books include diverse and detailed materials on main contents of the theory of Zhuxi’s The Book of Odes as well as comments of each poetry.
    Shizhuanyishuo was compiled to supplement the contents of Shijizhuan. It was compiled by extracting and writing down materials related to the theory of Zhuxi’s The Book of Odes which can be found in Huianji(晦庵集), Zhuziyulei, etc. in addition to Shijizhua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collected the contents of the theory of Zhuxi’s The Book of Odes which can be contained in various boo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