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經權說에서 본 왕양명의 리더십과 經世觀 - 明德과 親民의 통일성을 중심으로 - (Wang Yang-ming’s Leadership and View of Governance from the Perspective of a Doctrine of Constant Principle and Changing Application - Focused upon a Unity of Brightening Virtue and Intimating People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3.12
36P 미리보기
經權說에서 본 왕양명의 리더십과 經世觀 - 明德과 親民의 통일성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36호 / 33 ~ 68페이지
    · 저자명 : 김연재

    초록

    본고에서는 인간의 보편적 능력이자 사회적 역량이라는 리더십의 표상의 문제를 공맹학의 經權의 道의 논법에 따라 왕양명의 심학의 전통에서 논하고자 한다. 경권의 도는 孔孟學의 經世觀 혹은 處世觀을 이해하는 중요한 축이다. 특히 자율적이고도 능동적인 인간의 보편적 능력과 그에 따른 사회적 역량으로서의 이상적인 리더십을 고려할 때, 이는 도덕적 판단과 이를 실제로 연결짓는 개별적 상황들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로 귀착된다. 이는 왕양명에게 致良知의 강령인 明德과 親民의 통일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그의 경세관을 이해할 수 있는 단초가 된다. 명덕이 修己를 위한 주체의 자율적 능력이라면 친민은 治人을 위한 공동체의 사회적 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양자의 통일성의 여부가 ‘인간으로서의 실재’ 혹은 ‘실재로서의 인간’을 가늠하는 척도인 것이다. 인간은 누구나 양지의 본체를 지니며 이를 발양할 수 있는 리더십에는 개혁적 리더십과 상황적인 리더십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전자는 인간능력의 창의성을 강조하는 양지본체론에 집중되는 반면에 후자는 인간사회의 통합성을 강조하는 만물일체론에 집중된다. 왕양명에게 리더십은 인간공동체의 질서와 조화를 추구하는 것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자연생태계 더 나아가 우주 전체의 삶으로 확장되고 확충된다. 이는 인간이면 누구나 리더십은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삶을 살아가면서 리더십의 발양 혹은 발휘의 가능성을 열어간다고 보는 것이다. 인간은 인격체로서 자율적이고도 올바른 주체의식을 지녀야 하는데, 이는 규범의 윤리와 상황의 윤리의 연속선상에서 한편으로 인간의 보편적 능력을 ‘실현의 리더십’에 초점을 맞추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인간의 사회적 역량을 ‘리더십의 실현’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그러므로 유가의 전통적 리더십처럼 그의 리더십도 인간의 능력과 그에 따른 사회적 역량에 입각하고 다양한 상황에 적용되는 융통성을 지닌다. 이는 자기계발의 끊임없는 과정을 필요로 하며 ‘致良知’의 자아실현으로 귀결된다. 현대적 의의에서 보자면, 그것은 윤리적 해결의 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갈등이나 모순을 조화와 화합의 경지로 승화시키려는 소통과 통합의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essay is focused upon associating a leadership of noble personality with the way of constant principle and changing application. The way of constant principle and changing application is an axis of understanding the Confucian view of governance. It is based upon how the law of moral canon is justified with a action of practice. Considering a human being of autonomous and active universality and sociality, Wang Yang-ming's view of governance is closely associated with a unity of brightening virtue and intimating people. It can be said that brightening virtue is an individual ability of self-cultivation, and intimating people is a socializing process of governing people. Both of them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way of constant principle and changing application. If the former is the way of constant principle, then, the latter is the way of changing application. Therefore, it is consequent that the way of constant principle and changing application is a scale for a governing ability of noble person. It serves for such a Neo-Confucian canon of self-realization as the doctrine that mind is principle, which aims at aspiring a community consciousness in a stream of life conscious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