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準王南來說에 대한 비판적 검토 -조선유민의 마한 유입과 관련하여- (A Critical Review on the Theory of King Chun's(準王) Southward Migration - Considering the Influx of Chosŏn Migrants into Mahan(馬韓)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1.12
27P 미리보기
準王南來說에 대한 비판적 검토 -조선유민의 마한 유입과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35호 / 111 ~ 137페이지
    · 저자명 : 박대재

    초록

    기원전 2세기 초 準王이 위만에게 쫓기어 ‘韓地’로 망명하여 ‘韓王’이라 칭하였다고 하는‘準王南來說’은 280년대 편찬된 陳壽의 『三國志』에서 처음 보인다. 그런데 그보다 앞선『魏略』(260년대 편찬)과 『潛夫論』(2세기 편찬)에서는 준왕의 망명지역을 막연하게 ‘海中’이라고만 기록하여, ‘韓地’라고 구체적으로 기록한 『삼국지』와 차이가 난다. 준왕남래설에보이는 ‘韓王’, ‘韓地’의 용어는 後漢 이후 알려진 지리 정보에 의해 후대의 진수가 추가로기록해 넣은 것이다. 따라서 기원전 2세기의 준왕이 ‘韓地’에 가 ‘韓王’이 되었다는 것은역사적 서술이 아니며, 이를 포함한 준왕남래설 자체도 후대의 역사가들에 의해 윤색된것임을 시사해준다. 『삼국지』에서 준왕을 箕子의 40여 세 孫으로 기록한 것은 자신들의家系를 기자나 준왕과 연결시키고자 했던 후대의 씨족, 특히 樂浪지역 韓氏나 王氏의계보에 근거한 것으로 사료적 가치가 낮다. 준왕이 기자의 후손이며 기자조선의 마지막 왕이라는 점에서 준왕의 존재는 기자동래설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삼국지』에 이르러준왕의 말로가 기존과 달리 ‘한지’로 바뀐 배경도 기자동래설의 연장을 통해 기자 교화의외연을 확대하고자 한 중화적 인식의 발로와 관련이 있다고 보인다. 준왕남래설은 기원전2세기의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 後漢 桓靈帝 이후 낙랑의 영향력이 쇠퇴하면서 韓에유입한 조선계 유민 집단의 존재로 인해 파생된 부회라고 판단된다. 진수가 『삼국지』편찬 과정에서 『魏略』 외에 군현지역 씨족의 계보나 군현에 출입했던 韓의 상인을 통해수집된 정보를 참고하였을 것인데, 그 가운데 擬制的이나마 자신들의 가계를 준왕과 연결시켰던 조선계 유민 집단의 존재를 인지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과거에 준왕이 韓으로망명했다고 오인하게 된 것이라고 이해된다.

    영어초록

    The theory of King Chun's southward migration to the area of Han(韓) in the early second century B.C. could be seen in Sankouchih(三國志) complied by Chen Shou(陳壽) in the 280'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ly compiled Weilueh(魏略) and Qianfulun(潛夫論), which have ambiguously recorded the destination of King Chun's migrating into an ocean, and the detailed records of Sankouchih. The terms such as 'Han(韓)' in the theory of King Chun's southward migration was added by Chen Shou in accordance with the geographical knowledge after the period of the Later Han. Therefore, that King Chun migrated to 'Han' and then became the king of 'Han' cannot be a historical record, and the theory of King Chun's southward migration, including this term, is embellishment by later historians.
    Since the record of Sankouchih that King Chun was approximately fortieth descendent of Kija was based on pedigrees of later generations, especially Han families' in the Lolang(樂浪), who pretentiously attempted to include Kija or King Chun to their lineage, its historical value is questionable. Yet the existence of King Chun cannot be free from the theory, in regard of that King Chun was a descendent of Kija and the last king of Kija-Chosŏn. Unlike former historical records,Sankouchih's sudden change of King Chun's final destination to 'Han' was to widen Kija's reach of enlightenment in Korea through the extension of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It was, supposedly, related to the consciousness of Sino-centrism.
    Thus, the theory of King Chun's southward migration could be concluded as a farfetched record which originated from the old Chosŏn people in Loland and Daifang (帶方) migration to the Han area after the late second century A.D.. Chen Shou would have referred to the pedigree of the families in the Chinesamiloesnces in Sankouchih. Ihe familocess, it is supposed that Chen Shou misunderstood that King Chun had taken asylum in the Han area because the Chosŏn migrators from Loland and Daifang to Han retroactively regarded their ancestors connected to King Chun and held a pretentious memorial rites for hi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사와 고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