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산지역 도시전설의 전승양상과 성격 - 부산진구의 노년층 이야기를 중심으로 (The Properties and the Traditional Aspects of the Busan Urban Legends - Focusing on the Tales of the Elderly Population of the Busan Jingu Area)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7.12
27P 미리보기
부산지역 도시전설의 전승양상과 성격 - 부산진구의 노년층 이야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77호 / 49 ~ 75페이지
    · 저자명 : 유경자

    초록

    이 글은 부산지역의 노년층에 전승되고 있는 도시전설을 중심으로 그 전승양상과 성격에 대해 살핀 것이다. 부산지역의 도시전설은 주로 6.25전쟁의 피난처였던 도시의 역사적 배경과, 국가적 차원의 경제개발계획과 맞물린 사회적 배경을 바탕에 깔고 전승되고 있다.
    부산지역의 도시전설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형태는 지킴이 이야기인데, 여기에는 우리나라 전래의 지킴이 신앙이 그대로 계승되고 있다. 이 이야기들은 개발붐으로 인해 부산에 아파트가 건립되고 도로가 확장되는 등 도시 전반적인 변혁의 물결이 밀어닥침으로 인해 전통적 공동체문화가 해체되는 지점에서 생겨나고 있다. 그 대상이 가택(家宅)은 물론 산, 공동묘지, 공동우물, 연못 등 다양한 공간에 걸쳐있어 지킴이 신앙의 팽배함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눈여겨 볼 부분은 용(龍) 신앙의 내재인데, 학교전설에서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그 모습은 불완전하여 비를 내리게 하는 용의 수신적(水神的) 능력이 용이 못된 이무기에게로 전이되고 있어 용 신앙의 파편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부산지역 도시전설의 특징적인 모습은 도시의 역사적 배경과 근대 이후 도시민의 현실적 삶을 기반으로 형성된 이야기들에서 잘 드러난다. 부산지역은 6.25전쟁의 피난처였던 만큼 몰려든 피난민으로 인해 주택의 수요와 공급 간에 큰 차질을 빚게 되었고, 그로 인해 양택(陽宅)이 음택(陰宅)을 침범하는 일까지 발생한다. 이로 인해 공동묘지 위에 세워진 마을을 대상으로 전승되는 이야기들에는 음택 훼손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 그리고 영혼불멸 사상에 기반한 사령(死靈)에 대한 죄책감 등이 응집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도시전설들에는 농경문화의 전통적 사유체계와 가속화되는 산업화 속의 현대적 사유체계가 맞물려 있다. 때문에 전통적 윤리관과 현실 삶의 충돌로 인해 빚어지는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또한 전통적 방식에 의존하여 풀어나가고 있다. 이로 인해 설화세대인 노년층에 전승되고 있는 도시전설은 지구촌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오늘날의 학생들이나 젊은 세대들의 도시괴담과는 대조를 이룬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legends passed down by the elders based on cities of the Busan area and the developing traditons as well as its personality. The urban legends of the Busan area has developed based on the societal context of the time when Busan became a refuge for the Korean war but at the same time an economically developing area in the nation’s grand scheme.
    One of the prominent urban legend of the Busan area is the “Jikimi” which means the guard, keeps tue to our traditional folk belief the “Jikimi.” These stories began to develop around the time when due to a development boom, Busan started to develop their city such as apartment constructions and road developments. In the process the traditional sense of community started to crumble. The subject of the legends include houses, mountains, public graveyards, public wells, pond and other varieties of areas which shows the prevailing nature of the “Jikimi” belief.
    The next prominent part of the legend is the integration of the dragon myths and it is in the school myths that one can find its existence. However the form of the legend is unstable and the dragon‘s nature as the water god who can give rain to the people, has been deformed into a “Imoogi” or a snake that could not turn into a dragon, which shows the fragmented status of the belief.
    The city legends of the Busan area meticulously expres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ity and the real contemporary lives of the people living in the city. Due to the fact that the Busan area was a refuge for the Korean war, there was a great rift between the supply and demand for the residential areas, due to this the Yangtaek(a house - an east asian belief of energy in the soil) had become invaded by the Eumtaek(a grave - another east asian belief concerning energies of the soil. It has a counter active nature with the Yangtaek). Thus the development of towns over the public graveyards, created legends about the tales of the everlasting vengeful spirits which stemmed from their fear and regrets about the desecration of the Eumtaek.
    Such urban legends are the overlapping aspect between the agricultural and the rapid industrial societal beliefs. Therefore the solution to the, clash between the ethical beliefs of the traditional ways and the realities of the contemporary, is also found in the traditional ways. As a result the urban legends passed on from the generation of story tellers, are in sharp contrast to the urban legends of today’s younger gener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