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기 아동 잡지 『주간 소학생』과 박태원 역사소설 「이순신 장군」 (Park Tae-won’s Historical Novel, “Admiral Yi Sun-sin” and Weekly elementary school student, A children’s magazin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1.08
40P 미리보기
해방기 아동 잡지 『주간 소학생』과 박태원 역사소설 「이순신 장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28호 / 233 ~ 272페이지
    · 저자명 : 김명석

    초록

    이 연구는 해방기 아동 잡지 『주간 소학생』수록 박태원 역사소설 「이순신 장군」을 통해 매체의 성격과 역사의식을 분석하고, 이순신의 이미지가 아동 독자들에게 어떻게 기억되는지 고찰하였다. 1946년 2월에 나온 『주간 소학생』 잡지 발간은 일제 식민 정책으로 우리말과 우리글을 모르고 자란 아동들에게 가장 필요한 과업 중 하나였다. 특히 박태원의 「이순신 장군」 연재는 새로운 국민국가를 건설하면서 어린이들이 따라야 할 영웅을 제시했고, 당시 어린이들이 처음 만나는 이순신 이미지가 바로 이 소설을 통해 형성될 수 있었다. 즉 이순신에 대한 개인적, 집단적 기억이 없던 시대, 장차 대한민국의 국민으로 성장할 어린이들이 가진 이순신에 관한 최초의 기억이 오늘날 어떻게 이어질지 작품에서 살필 수 있다.
    본문은 작품 속의 이순신 서사 전략과 이순신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작가 구보는 이순신의 어린 시절과 성장 과정까지 소급하기보다는 임진왜란의 발발부터 서사 구도를 짜면서 아동들에게 역사적 사실을 전달하는데 비중을 두었다. 시대적 과제인 일제 잔재 청산을 위해 어린이들에게 해방된 역사관을 확립시키고, 임진왜란의 원인으로 일본의 야욕과 조선의 분열상을 제시하여 분단과 군정으로 이어진 해방기 정세 속에서 밖으로 외세의 압력을 경계하고, 안으로 좌우간 이념 대립을 극복한 민족적 단결을 추구한 것이 작품의 배경이다. 역사소설로서 아동 잡지다운 상상력보다는 사실성을 추구한 역사의식 표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거북선 외에 이순신이란 인물을 기억하게 만드는 장면이 명량해전 승리와 노량해전에서의 최후이다. 신에게 아직 12척의 전선이 있으니 자신이 죽기 전에는 적이 업신여기지 못하리라는 출사표와 자신의 죽음을 알리지 말라고 명령하는 장군의 유언, 두 장면은 거의 모든 이순신 이야기에 반복적으로 기록되어 ‘영웅의 귀환과 불멸’의 상징으로 기억된다. 또한 명장 이순신의 이면에서 백성들 앞에서 끌려가는 인간 이순신은 하늘의 운명을 따르는 고독한 영웅의 이미지로 자리하고 있다. 한편 이순신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해 등장한 원균은 주인공의 영웅적 이미지와 극명하게 대비된다. 해방기 소학생 독자들은 두 사람을 보며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작품은 자연스럽게 이순신 읽기로부터 이순신 따르기로 유도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nature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media through the analysis of Park Tae-won’s historical novel “Admiral Yi Sun-sin” in the children’s magazine Weekly elementary school student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eekly elementary students was the first children’s weekly magazine to be published after liberation in February 1946. Publishing a children’s magazine was one of the most necessary tasks in the establishment of a new country that was liberated by children who grew up without knowing Korean and Korean language under Japanese colonial policy. Weekly elementary school student presented a hero that children should follow as they built a new national anthem and serialized Park Tae-won’s “Admiral Yi Sun-sin” to become the second Admiral Yi Sun-sin. Through Japanese colonial era, the image of Admiral Yi Sun-sin, who children met for the first time at the time when they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various stories of Yi Sun-sin, could be formed through this work. This work is an important one to look at how Yi Sun-sin is remembered and how the first memory of Yi Sun-sin continues today by children who will grow into the people of the Republic of Korea as liberated children.
    The text focuses on Yi Sun-sin’s image, which is formed by his work along with the historical facts about Yi Sun-sin and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Imjin. Rather than retrospectively going up to Yi Sun-sin’s childhood and growth process, the author is planning an epic composition by showing the development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t the time of creation, Gubo himself seems to have focused on conveying historical facts rather than using his imagination for children. The fact that the main character’s childhood beautification, which can be used easily in children’s books, was restrained seems to be a decision made by his sense of history. As a result, the historical novel focuses on expressing a sense of history that focuses more on realism than on imagination like a children’s magazine. However, Yi Sun-sin’s story itself has interesting elements such as the turtle ship story and the exhilaration of defeating Japanese enemies. In addition to the image of the turtle ship builder or the general who defeated the Japanese by the turtle ship, the scene that shows Yi Sun-sin as a soldier is the final result of the Battle of Myeongnyang and the Battle of Noryang. Since there are still 12 fronts in the Battle of Myeongnyang, the scene that the enemy will not be despised until he dies, and the Admiral’s final scenes, which order him not to announce his death in the Battle of Noryang. Meanwhile, Won Gyun appears to strengthen Yi Sun-sin’s image. There is a recoil figure on the other side of every epic protagonist, which makes the hero’s image shine more. Of course, there are Japanese soldiers on the other side of Yi Sun-sin, but there are reactionaries within the same Joseon naval group, so he is the historical rival Won Kyun. What choices will child readers make when they see them? The work naturally leads from reading Yi Sun-shin to following Yi Sun-s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