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성호학파의 입후설(立後說)과 친족의식 (Agnatic Adoption and Kinship in the late Joseon dynasty - in the case of the Seongho School -)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4.11
40P 미리보기
조선 후기 성호학파의 입후설(立後說)과 친족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65호 / 249 ~ 288페이지
    · 저자명 : 박종천

    초록

    조선 후기 입후설(立後說)의 정립과 종법질서의 확대는 친족의 문화적 정체성 유지와 사회적 위상 확보를 위한 실천적 전략에 따라 정치적 권력, 경제적 기반, 사회문화적 권위의 측면에서 중앙의 유력 경화세족들의 주도적 포용 전략, 지방 명문 재지사족들의 배타적 차별화 전략, 중인 이하 하층민들의 동화적 모방 전략이 병행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조선 후기 근기 남인 성호학파는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기반이 미미한 가운데 사회문화적 권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차원에서 친친의 이념에 따라 친족의 결속을 통해 중앙의 유력 경화세족이나 지방의 명문 재지사족을 따라잡을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하는 한편, 상층 양반과 하층민들의 차별적 경계를 확고하게 분별함으로써 사족의 문화적 정체성을 배타적으로 지키는 양면적 전략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사적 영역에서 친족질서의 혈연적 유대를 최대한 존중한다는 점에서 종법설과 입후설을 전개함으로써 친친(親親)의 측면에서 중앙의 경화세족 혹은 노론 기호학파에 다가가는 한편, 공적 영역인 사회질서에서는 존존(尊尊)의 사회적 위계질서를 합리화하는 변등론(辨等論)의 정당화를 통해 영남 퇴계학파의 문제의식을 계승하여 변용시켰다. 성호학파가 서얼과 하층민에 대한 차별 문제에서도 양면적인 태도를 갖게 된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agnatic adoption and the clan rules established and expand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occurred in accordance with the practical strategies for maintaining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clans and securing their social status. From the perspectives of political power, economic foundation, and sociocultural authority, the tolerance strategy of influential noble families in the capital, the exclusive differentiation strategy of prestigious local clans, and the assimilation strategy of the middle and lower classes appeared at the same time.
    The Seongho School, which represented the Southerners(or 南人) in the late Joseon Dynasty, pursued the solidarity of the relatives based on the ideology of family intimacy to secure their sociocultural authority under weak political power and economic foundation. With this strategy, the school laid the foundation to catch up with the central noble clans as well as the local prestigious clans. Simultaneously, the school drew a clear boundary distinguishing the upper and the lower classes to defend exclusively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noble. The Seongho School deployed the theories on clan rules and agnatic adoption to approach the central noble clans or to the Kiho School of the Old faction (or 老論) in the private sector, while inherited and transformed the critical mind of the Toegye School of the Yeongnam region in the public sector of social order by justifying the classification of social strata which rationalized the social hierarchy of the time. Thus they ha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the case of the illegitimate sons(or 庶孼) of the noble classes and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