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론(論)’의 중력 ‘설(說)’의 매력-근대 미디어텍스트체제와 국론(國論)- (The power of editorial and the charm of stor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1.08
31P 미리보기
‘론(論)’의 중력 ‘설(說)’의 매력-근대 미디어텍스트체제와 국론(國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반교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반교어문연구 / 58호 / 199 ~ 229페이지
    · 저자명 : 이경돈

    초록

    민의(民意)를 확정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근대에 이르러 이 유령 같은 민의는 계량할 수 있는 단위로 환산되었다. ‘사실화된 민의’, 즉 ‘여론’의 등장이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민의를 대체한 근대의 여론은 항상 민의로부터의 이반을 전제할 수밖에 없는 존재였다.
    타르드와 리프먼, 하버마스로 이어지는 여론론을 일별하면, 여론은 ‘가사실’에 기반한 ‘헌법적 허구’의 ‘텍스트’들이 현상하는 일시적 ‘텍스트 체제’로서 ‘실재적 사실’로 간주할 수 없다. 텍스트의 생성과 매개의 과정은 외부적 힘에 의해 뒤틀림을 전제하는 조건이다. 따라서 근대의 여론은 항상 계몽여론이었고 계속되는 민의와의 어긋남은 여론의 숙명이었다. 게다가 ‘말하는 소수’와 ‘듣는 다수’를 고려하면 뒤틀림의 폭은 더욱 커진다.
    식민지근대에 여론은 통제하는 식민권력, 높은 문맹률, 희소한 텍스트 창출자, 협소한 매체 선택권 등의 조건에 둘러싸여 있었다. 여론이 계몽과 결부되어 조성될 수밖에 없었던 환경인 것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언론은 ‘론(論)’-‘보(報)’-‘설(說)’의 삼각 편제를 갖추었다. ‘보(報)’는 사실의 영역에서, ‘설(說)’은 공감의 영역에서, ‘론(論)’은 동의의 영역에서 사회에 대한 인식과 감정, 그리고 의지를 지면 위에 펼쳤다. 흩어진 사실의 조각들에, 감정의 매혹을 일으켜 공감을 이끌어내고, 정당성의 중력을 부여해 일반의지를 창출한다. 그러므로 논픽션인 ‘보(報)’가 픽션인 여론에 이를 수 있는 것은 ‘설(說)’의 매력과 ‘론(論)’의 중력이 사실의 언어에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론(論)’-‘보(報)’-‘설(說)’의 삼각 편제는 근대 저널리즘의 여론 조성력이 어떻게 창출되는지 보여준다. 그리하여 근대의 여론은 원천적으로 픽션이 되고 식민지근대의 여론은 계몽적 리얼리즘이 되었던 것이다.
    민의를 근거로 출현한 여론은 수행성의 최종심급인 국론을 지향한다. 그러나 국가부재의 국가상태인 식민지조선에서 민의의 반영인 여론은 국론이 될 수 없었다. 식민지에서의 국론은 항상 외부에서 결정된 것이며 이 타자성으로 인해 민의와 국론은 더 선명한 불일치를 드러낸다. 식민지조선에서 여론은 민의를 반영하는 여론이 아닌, 유사민의(類似民意)의 괴물같은 국론만이 시대를 휩쓸었다.

    영어초록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nfirm the will of the people. In modern times, these ghostly will of the people were converted into quantitative units. It means the emergency of public opinion that is believed as true. However, paradoxically, public opinion which replaced the will of the people, has always been a thing that is alienated from the will of the people.
    In a glimpse of the public opinion theory that leads to Tard, Lippman, and Habermas, public opinion cannot be regarded as a "real fact" because it is a temporary "text system" developed by "texts" of "constitutional fiction" based on "false facts." The process of generating and paraphrasing text is a condition that presupposes warping by external forces. Therefore, public opinion has always been enlightened public opinion and the fate of public opinion has continued to be contrary to the will of the people. Furthermore, considering the "speaking minority" and "listening majority", the extent of warping is even greater.
    In modern colonial times, public opinion was surrounded by conditions such as colonial power, high literacy rates, sparse text creators, and narrow media choices. It is an environment in which public opinion was bound to be created in conjunction with enlightenment. In these circumstances, the media has a triangular system of editorial, news, and story. In the realm of facts, empathy, and consent, each system shows the perception, emotion and will of society on the paper. In scattered fragments of facts, it creates an emotional fascination, elicits empathy, and creates a general will by justification. Therefore, the reason why nonfiction "News" can reach public opinion is because of the charm of "story" and the power of "editorial" The triangular composition of "editorial," "news," and "story" shows how modern journalism creates public opinion. Thus, public opinion became essentially fiction and colonial public opinion became enlightening realism.
    Public opinion based on the will of the people is aimed at national opinion, which is the final level of policy enforcement. However, national opinion, a reflection of the people's will in colonial Joseon, which is the absence of nation, could not be a national opinion. The national opinion in the colonies has always been decided by external forces, and this otherness reveals a clearer disagreement between the people's will and national opinion. In colonial Joseon, public opinion was not a reflection of the will of the people, but was only the monstrous national opin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반교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