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저술에 나타난 『지봉유설(芝峯類說)』의 인용 양상과 특징 (Quot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Jibongyuseol(芝峯類說)」 in the Writing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8.08
33P 미리보기
조선후기 저술에 나타난 『지봉유설(芝峯類說)』의 인용 양상과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59호 / 133 ~ 165페이지
    · 저자명 : 최주희

    초록

    17세기 이래 『지봉유설』은 관찬 연대기사료 뿐 아니라 개인의 문집과 유서류, 사찬 역사서의 편찬에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관찬 연대기류나 사찬 역사서의 경우 역사적 사실 관계를 명확히 고증하려는 목적으로 인용된 데 반해, 개인 문집이나 유서류의 경우,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와 같은 예외적인 사례가 있기는 하지만 단편적인 사실을 채록하여 편의에 맞게 인용한 경우가 많다.
    『지봉유설』을 인용한 저자의 정치적 성향을 살펴보면, 기호남인계 실학자로 알려진 성호 이익, 순암 안정복, 다산 정약용을 비롯해 백호 윤휴에서 대산 이상정에 이르기까지 남인계 인물들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홍만선이나 이긍익, 이유원 등 노・소론계 지식인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 『지봉유설』이 당색을 넘어 조선후기 지식인들 사이에 폭넓게 읽히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유서류는 당대에 축적된 다양한 지식정보를 일관된 분류 체계 하에 편집하고 전거를 제시함으로써 특정 분야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편집해 놓은 저작물이다. 따라서 경학적 사유체계나 경세론을 심도 있게 다루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지봉유설』만으로 이수광의 실학적 학문성향을 특징짓기 어려운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럼에도 임진왜란기 전쟁의 참상을 목도하고 중국사행을 통해 해외 문물을 습득함으로써 이수광은 국내 지식인들이 접하지 못한 방대한 지식정보를 『지봉유설』이라는 유서류에 집적하였다. 이에 『지봉유설』은 후대 지식인들 사이에 권위 있는 참고서로 활용되었으며, 파편화된 지식을 집적, 분류, 재구성하는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조선후기 유서류의 전통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전기를 마련하였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類書) are edited works which contain various edited knowledge information accumulated during that period under a consistent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by proposing reference, it allows for effective learning of information in a specific field. Accordingly, there are limitations in dealing with reasoning based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or theory of governance in depth. This is also why it is difficulty to define in one word, the Shilhak academic tendency of Yi Su-gwang based on 「Jibongyuseol」. Nonetheless, through witnessing the horrors of war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ambassador visit to China, Yi Su-gwang(李睟光) learned foreign culture and civilization, which allowed him to integrate extensive knowledge information which other intellectuals in the country have not been able to learn, into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 called 「Jibongyuseol」. Therefore, 「Jibongyuseol」 has been utilized as authoritative book of reference by intellectuals in his future generations and by proposing methodology to integrate, classify, reconstruct fragmented knowledge, it has provided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establishing a tradition for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