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송 대 신유학의 수양론 형성 과정과 불교의 선 수행 (Forming process of Sung(宋) dynasty a method of Neo-Confucianism And Buddhist Zen meditatio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2.12
36P 미리보기
송 대 신유학의 수양론 형성 과정과 불교의 선 수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12호 / 165 ~ 200페이지
    · 저자명 : 김수청

    초록

    이 글은 중국 송 대 ‘신유학의 수양론 형성 과정’과 그에 미친 ‘불교 선 수행’의 영향에 대해 논구한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유가의 관점에서 불교의 선 수행을 비판하는 논지로 진행되었다. 송 대 신유학의 이론체계는 불교비판 토대 위에서 형성되었다.
    신유학은 선진유가와 한당유학이 갖추지 못했던 새로운 형이상학적 구조와 철학적 개념들이 도입되어 형성된 유학 체계이다. 선진유가는 실천적이고 형이하학적인 면이 강했다. 한당유학은 경학에 치중해 있었다. 이에 반해 송 대 신유학은 치밀한 이론적 구조와 형이상학적 체계를 갖추게 된다.
    신유학의 수양론은 주돈이로부터 출발하였다. 주돈이는 당시 유불도를 융합한 학문적 경향 속에서 『태극도설』을 저술했다. 이러한 『태극도설』을 중심으로 확립된 주돈이의 수양 이론을 ‘주정설’이라고 한다.
    이 글은 첫 째로 주돈이의 『태극도설』을 중심으로 한 주정설과 불교의 선 수행 문제를 다루고 있다. 신유학의 형성과정에서 수양 이론은 주돈이의 주정설을 비판하면서 신유학 특유의 수양론이 전개된다. 주돈이의 주정설에 대한 비판적 논의가 신유학적 수양 이론 형성에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주정설은 선불교(禪佛敎) 일부 종파의 수양법과 주돈이의 무욕에 의한 수양법이 대표적이다.
    두 번째로 장재의 기철학과 불교의 수행 문제를 다루었다. 그다음, 이정의 경사상과 불교의 수행 문제, 그리고 주희의 수양론 형성과 불교의 선 수행 문제를 유가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논술하고 있다. 특히 주희의 수양 이론은 인성과 천리(天理)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서 출발한다. 이 논의 과정에 마음의 미발과 이발의 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게 된다. 유가에서 말하는 마음의 미발과 불교에서 보는 마음의 미발은 어떻게 차이가 있을까.
    ‘미발’과 ‘이발’은 『중용(中庸)』에 나오는 개념이다. 송 대에 유행했던 선종 어록에는 ‘미발(未發)’이나 ‘미생(未生)’을 주요 개념으로 하는 여러 공안(公案)이 있다. 선종에서는 자신의 본래성품으로 향하게 되는 의식을 ‘미발’이라고 보았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신유학은 미발을 내재적 본성으로 보고, 이 본성의 발로를 이발이라고 보았다. 선종에서는 외재적 이발에서 내재적 미발(본래성품)을 인식하고자 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re are two major aims in this study that is, one is forming process of Sung(宋) dynasty a method of Neo-Confucianism. And other is to follow in Buddhist meditation caused by it that is the former.
    Therefore, the study is to criticize on Buddhist meditation through Neo-Confucianism.
    Neo-Confucianism is the system that is formed by introducing new metaphysical and philosophical concepts that had not looked up from the Handang dynasty Confucianism(漢唐儒學), the original Confucian.
    The original Confucian had a strong focus on the practice and hylic features. By comparison, Neo-Confucianism has set the elaborated theoretical structure and the metaphysical systems equipped with.
    In this articles, it is about the forming process of Sung(宋) dynasty a method of Neo-Confucianism and the following effect of Buddhist Zen meditation So, it has compiling on the basis of criticizing Buddhist Zen meditation as the point of Confucianism.
    Neo-Confucianism is the system that is formed by introducing new metaphysical and philosophical concepts that had not looked up from the Handang Confucianism, the original Confucian. The original Confucian had a strong focus on the practice and hylic features. Handang Confucianism has focused on the study of mindfulness. On the other hand, Neo-Confucianism has set the elaborated theoretical structure and the metaphysical systems equipped with.
    A method of Neo-Confucianism has started from Chou Tuni(修養論). He wrote about 『An explanatory diagram of Supreme ultimate(太極圖說)』 in the mood of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tended by learning. It is called emotionalism(主情說) which was made out by Chou Tuni conformed by spreading from 『an explanatory diagram of Supreme ultimate(太極圖說)』.
    At the first session, there are emotionalism centered concept from an explanatory diagram of Supreme ultimate and the matter on Buddhist Zen meditation. The theory of cultivation formed Neo- Confucianism has wildly developed with the racy style by criticizing emotionalism of Chou Tuni. The criticized matter on emotionalism of Chou Tuni was the motivation in forming the a method of Neo-Confucianism directly. Emotionalism is one of the representatives of a method of of some Zen buddism part and freedom from avarice(無慾) of Chou Tuni.
    Secondly, it has dealt about Chang Tsai(張載)'s Chi philosophy, Erh Ch'eng(二程)'s the mindfulness as being the problem of the buddism cultivation and, critically stated the forming of Chu Hsi(朱熹)'s the theory of cultivation and the problem of Buddhist meditation as the view of Confucianism. Especially Chu Hsi's the theory of cultivation started from making the definition clear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nature and The rule of heaven. On this part, it appears about the matter the state of pre-aroused feelings and the state of aroused feelings of mind. How much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te of pre-aroused feelings of the mind of Confucianism and buddism?It is the concept from 『Golden mean(中庸)』 to explain the state of pre-aroused feelings and buddism. The analects of Zen buddism famous in Sung(宋) term had various topic(公案) which deals on the state of pre-aroused feelings being important. In Zen buddism, it is the state of pre-aroused feelings to head for consciousness toward the originally one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