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흉선종에 대한 방사선치료 성적 및 예후인자분석 (Analysis of the Radiation Therapy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of Thymoma)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0.03
8P 미리보기
흉선종에 대한 방사선치료 성적 및 예후인자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종양학회
    · 수록지 정보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28권 / 1호 / 1 ~ 8페이지
    · 저자명 : 이석호, 이규찬, 최진호, 이재익, 심선진, 조은경

    초록

    목 적: 흉선종환자에서 방사선치료 효과를 평가하고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8년 1월까지 본원에서 흉선종으로 진단 받고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21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대상환자의 추적관찰 기간은 3∼89개월(중앙값, 37개월)이었다. 남녀 구성비는 4:3이었고 연령분포는 24∼77세(중앙값, 57세)이었다. Masaoka병기는 II기 10명(47.6%), III기 7명(33.3%), IVa기 4명(19.1%)이었다. 전체 21명 중 15명(완전절제[흉선절제술], 14명; 불완전절제, 1명)에서 수술이 시행되었고, 시험적 개흉술(exploratory thoracotomy), 경부림프절 생검 등을 포함한 조직검사만 시행한 경우는 6명(28.6%)이었다. 병리학적으로 WHO 세포형 A 1명(4.8%), B1-3 10명(47.6%), C 10명(47.6%)이었다. 방사선치료는 3차원입체조형기법으로 시행하였고 총 방사선선량은 52∼70.2 Gy (중앙값, 54 Gy)이었다. 성별, 연령, 종양의 크기, 병리학적 분류, Masaoka 병기, 수술시행 여부, 근무력증 유무 및 방사선량 등에 따른 전체 및 무진행생존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환자에서 3년 생존율은 80.7%이었고 3년 무진행생존율은 78.2%이었다. WHO 세포형 C 10명에서 완전절제를 시행한 4명 중 3명(75%)이 생존하였고, 조직검사만 시행한 6명 중 3명(50%)이 생존하였다. 수술을 시행 받은 15명 중 방사선조사 범위 내에서의 재발은 없었다. 4명(19.1%)에서 원격전이가 확인되었다. 조직검사만 시행 받은 6명의 치료반응은 부분관해 4명(66.6%), 불변 1명(16.7%) 그리고 진행 1명(16.7%)이었다. 치료 후 방사선폐렴이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RTOG) grade 1이 1명(4.8%), grade 2가 2명(9.5%), grade 3과 grade 4가 각각 1명(4.8%) 있었다. 단변량 분석상 생존율에 유의한 예후인자는 연령(60세 이상, 58.3%; 60세 미만, 100%; p=0.0194), 병리학적 분류(WHO 세포형 A-B3, 100%; C, 58.3%; p=0.0194), 수술시행여부(시행, 93.3%; 미시행, 50%; p=0.0096)이었다.
    결 론: 수술 후 보조적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15명 모두 방사선치료 조사야 내 재발이 없었고 WHO 세포형 C에서 방사선치료 전 수술이 시행된 경우 조직검사만 시행된 경우보다 좋은 성적을 보였다. 이에 저자들은 흉선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방사선치료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radiation therapy (RT) and to investigate the prognostic factors for thymoma when treated with RT.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21 patients with thymoma and also received RT from March 2002 to January 2008.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37 months (range, 3 to 89 months). The median patient age was 57 years (range, 24 to 77 years) and the gender ratio of males to females was 4:3. Of the 21 patients, complete resections (trans-sternal thymectomy) and R2 resections were performed in 14 and 1 patient, respectively. A biopsy was performed in 6 patients (28.7%). The WHO cell types in the 21 patients were as follows: 1 patient (4.8%) had type A, 10 patients (47.6%) had type B1-3, and 10 patients (47.6%) had type C. Based on Masaoka staging, 10 patients (47.6%) were stage II, 7 patients (33.3%) were stage III, and 4 patients (19.1%) were stage IVa. Three-dimensional RT was adminstered to the tumor volume (planned target volume), including the anterior mediastinum and the residual disease. The total RT dose ranged from 52.0 to 70.2 Gy (median dose, 54 Gy). Consistent with the WHO criteria, the response rate was only analyzed for the 6 patients who received a biopsy only. The prognostic factors analyzed for an estimate of survival included age, gender, tumor size, tumor pathology, Masaoka stage, the possibility of treatment by performing surgery, the presence of myasthenia gravis, and RT dose.
    Results: The 3-year overall survival rate (OS) and the progression free survival rate (PFS) were 80.7% and 78.2%, respectively. Among the 10 patients with WHO cell type C, 3 of 4 patients (75%) who underwent a complete resection and 3 of 6 patients (50%) who underwent a biopsy survived. Distant metastasis developed in 4 patients (19.1%). The overall response rate in the 6 patients who received biopsy only were as follows: partial remission in 4 patients (66.7%), stable disease in 1 patient (16.6%), and progressive disease in 1 patient (16.6%). Acute RTOG radiation pneumonitis occurred in 1 patient (4.8%), grade 2 occurred in 2 patients (9.5%), grade 3 occurred in 1 patient (4.8%), and grade 4 occurred in 1 patient (4.8%). A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OS were age (≥60, 58.3%; <60, 100%; p=0.0194), pathology (WHO cell type A-B3, 100%; C, 58.3%; p=0.0194) and, whether the patient underwent surgery (yes, 93.3%; no, 50%; p=0.0096).
    Conclusion: For the 15 patients who received surgery, there was no local failure within the radiation field. In patients with WHO cell type C, surgical procedures could have resulted in a more favorable outcome than biopsy alone. We report here our clinical experience in 21 patients with thymoma who were treated by radiation therap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Radiation oncology journal”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