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西山 禪詩에 나타난 역설의 패러다임 (Paradox Paradigm in Seosan Zen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2.12
28P 미리보기
西山 禪詩에 나타난 역설의 패러다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65호 / 63 ~ 90페이지
    · 저자명 : 백옥수

    초록

    서산대사(西山大師, 1520∼1604)의 선시(禪詩)는 한국 문학사에서 시공간을 뛰어넘는 선가 특유의 소통방식인 메타언어로서의 생명력을 갖고 있다. 조선조 선시 계보를 언급할 때, 서산의 시는 보우(普愚), 김시습(金時習)과 함께 위치할 정도로 조선조 선시 계보의 시작점이자 중심점에 있다. 서산의 평범한 일상을 소재로 한 선시가 이성적·철학적 지식과 삶을 역설의 패러다임을 통해 깨달음을 제시한다는 점을 주목하면서 서산의 선시가 지니는 어긋남과 어긋냄의 표현방식에 의한 선가만의 독특한 언어 패러다임과 자신의 언어 문자로 주체화하는 활구참구법(活句參究法)의 역설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서산 선시의 문학적 특성은 ‘부정(否定)의 표현’, ‘무(無)의 표현’, ‘시공(時空)의 초월’, ‘공(空)과 불이(不二)’의 패러다임으로 정리할 수 있다. 부정의 표현은 긍정, 또는 부정과 긍정을 함께 내포한 개념화되지 않은 메타언어로서 자성인 본래의 마음을 일깨우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며, 무의 표현은 무가 유무의 대립적 의미가 아니라 진리의 절대성을 담아내고자 하는 시공의 초월성이 잘 나타나 있다. 공과 불이는 현상과 본체의 통합성을 추구하는 근본 원리로서 자연과 진여(眞如), 차별과 평등, 현실과 도의 융합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이처럼 서산 선시의 핵심은 어긋남과 어긋냄의 역설을 통한 소통의 표현이다. 서산의 역설 패러다임은 오히려 모순의 초월과 통합성을 추구하는 선(禪)의 정신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서산 선시가 보여주고 있는 어긋남과 어긋냄에 의한 역설의 패러다임은 반상합도(反常合道)의 원리와 해탈지향의 시 정신으로 그 의미를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Seosan‘s literature is represented by Zen poetry. Some scholars discovered that basic spirit behind Seosan's Zen poetry lies in paradoxical quality of Buddhist revelation, and thus they conducted researches concentrating on the expressive method of his poetry.
    As a result of reviewing Seosan's Zen poems through arranging them under comprehensive principle, I concluded that the major literary characteristics found in Seosan's Zen poems are ‘Expression of negation’, ‘Expression of nil’, ‘Transcendence of time and space’ as well as ‘Emptiness and inseparability.’'Expression of negation' contains affirmation in itself, or involves denial and affirmation simultaneously, and I have come to understand that expression of negation was used from Seosan's intention to indicate innate mind that was not conceptualized.
    As for 'Expression of nil,' the 'nil' represents absoluteness of truth, rather than confrontational meaning between something vs. nothing. 'Transcendence of time and space' is also demonstrated at the 'Expression of nil.''Emptiness and inseparability' is the principle of integrating both phenomenon and substantiality, which is materialized through fusion of the nature and tathata, discrimination and equality, as well as reality and tao.
    As such, the central topic shown at Seosan's Zen poetry is paradox. Paradox in Seosan's poetic world realizes the spirit of Zen that pursues transcendence and integration of contradiction. It is embodiment of enlightened spirit which is cor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The world pursued by Zen is boundary of nirvana. The point that nirvana is accommodated into the literature of Zen sect is an important poetic characteristic of Zen poetry.
    In this context, the paradox of Seosan's Zen poetry can be defined in its meaning as the principle of 'Bansang-Hapdo' and nirvana-oriented poetic spirit.
    However I realized further necessity to conduct in-depth research on aesthetic characteristic which was formed by paradox of words and paradox of sit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