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八公山 禪本寺 三層石塔 硏究 (A study on the three storied stone Pagoda of Sunbonsa-Temple in Mt. Palgongsa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3.04
36P 미리보기
八公山 禪本寺 三層石塔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논총 / 53호 / 45 ~ 80페이지
    · 저자명 : 신용철

    초록

    팔공산 지역에서도 선본사가 위치한 지역은 다른 팔공산 지역보다도 앞선 시기의 불교유적들이 남아 있어 일찍부터 주목받았다. 현재 선본사에는 통일신라시대 삼층석탑을 위시하여 석등 부재 및 불상대좌 등과 관봉에는 소위 갓바위로 불리는 석조여래좌상이 남아 있다.
    이 가운데 선본사 삼층석탑은 탑의 전체적인 형태나 조탑장소에서 일찍부터 주목받았으나 양식고찰이나 이를 토대로 한 정확한 건립시기가 고찰되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선본사 삼층석탑이 건립된 시기와 이 석탑이 팔공산 일대에서 갖는 의의 및 특징을 통하여 그 중요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하여 선본사 삼층석탑이 팔공산 내에서도 가장 이른시기의 석탑임을 밝히고, 어떻게 팔공산 내에서도 선본사에 시기적으로 앞서는 불교유물이 성립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에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팔공산의 불교문화는 경주에서 직접적인 영향하에 성립되었음이 확실해 보인다. 이는 선본사 삼층석탑의 결구방식을 통하여 알 수 있다. 특히 8세기에 이르러 경주지역의 석탑문화가 서서히 지방으로 확산되는데, 동일한 양식의 석탑이 경주 서남쪽으로 청도, 서북쪽으로 팔공산을 거쳐 성주까지 확산되었다. 이는 중앙양식의 직접 파급, 즉 경주 장인에 의한 건립이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같은 석조기술의 전파는 이후 지역의 건탑의지를 자극하여 석조미술 발전에 기여한 바가 크다. 팔공산 지역의 경우 기성동 석탑, 부인사 석탑, 북지장사 석탑을 거쳐 9세기 후반 동화사에서 석탑문화의 정점을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이 같은 선두적 석조기술이 뿌리 내릴 수 있었던 것은 선본사와 관봉에 이르는 경산지역의 지리적 여건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통일기 이후 오악신앙이 확대되면서 중악으로 자리잡은 팔공산 지역은 국가영역의 확대라는 면과 불법홍보라는 면이 맞물려 가속화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테면 선본사 삼층석탑의 조탑장소가 사찰과는 관계없는 산허리에 위치하여 사바세계를 내려다보듯 자리잡은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선본사 삼층석탑의 성립과 경내의 석등부재, 불상대좌 등은 팔공산 내의 석조미술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e area where Sunbonsa-Temple (禪本寺) is located has been highlighted for long its Buddhist relics whose periods are earlier than the others in Mt. Palgongsan (八公山). Curently, Sunbonsa-Temple has a three-storied pagoda and a stone Buddha statue called Gotbawi in Gwanbong.
    The three-storied pagoda among all has grabbed early attention in terms of its overall shape and building site, but it has not been researched yet. Thus, this study identifies its significance from the viewpoints of its building period and its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in the Mt. Palgongsan area. The research reveals that the three-storied pagoda in Sunbonsa-Temple was built in the earliest time and examines its effect on other relic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First, it is obvious that the Buddhist culture in the Mt. Palgongsan area was established under the direct influence from Gyoengju. Particularly, the stone pagoda culture in Gyoengju has spread to local areas around the eighth-century as the pagodas in the same style were built from Chongdo, southwest of Gyoengju through Mt. Palgongsan to Sungju, northwest of Gyoengju.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central style was directly delivered as the craftsmen in Gyoengju built them directly. The spread of stone art stimulated the Mt. Palgongsan area to build stone pagodas such as the stone pagoda in Gisungdong, one in the Buinsa-Temple and one in the Bukjijangsa-Temple and reached the peak in the stone pagoda in Dongwhasa in the late ninth-century.
    Second, it is estimated that the geographical conditions in the Gyeongsan area from Sunbonsa-Temple to Gwanbong account for the settlement of the advanced stone art. In particular, with the spread of the worship of Five Mountains after the Unification, the Mt. Palgongsan area was considered as the central mountain, and it was expeditated by the drives to extend national territories and through illegal promotion. For example, the fact the building site of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in Sunbonsa-Temple is located on the hillside, which is not concerned with the temple and which looks like it watches over the world of the suffering underneath, is not unrelated to the idea of the worship of Five Mountain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building of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in Sunbonsa-Temple is very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stone art in the Mt. Palgongsan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