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선비들의 노후 인생관 (A View of Life in Old Age of Joseon Scholar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4.03
28P 미리보기
조선 선비들의 노후 인생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73호 / 93 ~ 120페이지
    · 저자명 : 김문준, 김광환, 장경희, 송현동

    초록

    조선 유학자들의 생사(生死)와 노년에 대한 인식은 『역경』의 ‘생생(生生)’의 철학에 기반한 ‘원시반종’(原始反終)과 ‘군자유종’(君子有終)이라는 인식에 기반한다. 모든 만물의 변화는 음양(陰陽)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면서 끊임 없이 무한한 순환(循環)과 종시(終始)의 과정을 겪는다. 음양의 순환(循環)과 종시(終始)에 의한 만물 변화는 기의 취산(聚散)으로 이해하는 인식으로 확장한다. 죽음이란 이러한 우주자연의 순리에 부합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서 인생의 죽음을 관조적이고 초탈적으로 수용하고자 한다. ‘군자유종’은 군자가 명에 따라 그 역할을 다하고 죽음에 이르렀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인식에 따라 노년기에는 일을 내려놓고 마무리하는 삶이 지혜롭다. 유가는 죽음이라는 자연적 필연성 문제를 도덕적 필연성 문제로 전환했다. 생사의 명(命)은 인력으로 바꿀 수 없지만, 도덕의 명(命)을 중시하여 죽음을 맞이해서는 도덕 사명을 완수하고자 했다. 이에, 선비들이 바라는 노년기는 산수와 더불어 검소한 생활로 자족하면서 독서와 강학을 하는 것으로, 안신입명하면서 자락(自樂)을 누리는 삶이다. 또한 모든 노인들이 어질게 살면서 장수하는 ‘인수지역’을 꿈꾸었다. 자신은 자신의 생을 글로 정리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노년기의 삶을 지혜롭게 보내고자 했다.

    영어초록

    Joseon Confucian scholars’ perception of “life and death” and old age is based on “a philosophy of life-generation (生生).” It i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If there is a beginning, it always goes back to the end (原始反終)” and “Well dying of Man of Virtue”(君子有終). All changes in everything are made through the interaction of “yin and yang.”(陰陽) and they constantly go through the process of infinite circulation and “the end and beginning(終始).” The change in all things through the circuit, the change of yin and yang, and “the end and beginning” extends from the perception that it is understood as the “gathering and dispensing” of qi (氣). Death is in line with this logic of cosmic nature, and therefore, they attempt to contemplate on the transcendental acceptance of the death of life. “Well dying of Man of Virtue” means that a Man of Virtue has fulfilled his role and reached death. According to this recognition, it is wise to put down and finish work in old age. Confucianism turned the natural inevitability problem of death into a moral inevitability problem. The fate(命) of life and death cannot be changed by human power; however, it was intended to fulfill the moral mission by emphasizing the mission of the fate of morality. Therefore, the life of old age that the scholars want is a life of reading and knowledge while being satisfied with a frugal life in nature, and is a life of enjoying “the pleasures of being with oneself” and a life of relaxed body and the heaven. In addition, they dreamed of “a peaceful world where everyone can live a good life,” where all elderly people live a long life. The scholars wrote about their life in old age, based on which, they tried to spend his their old age wis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