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휴 선수(浮休善修)의 선사상 ― 청허 휴정(淸虛休靜)과의 비교를 통해서 ― (Buhyu Seonsu(浮休善修)’s Zen Thoughts - Comparison with those of Cheongheohyujeong(淸虛休靜))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7.12
30P 미리보기
부휴 선수(浮休善修)의 선사상 ― 청허 휴정(淸虛休靜)과의 비교를 통해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사연구 / 12호 / 159 ~ 188페이지
    · 저자명 : 정영식

    초록

    본 논문에서는 누카리야 가이텐(忽滑谷快天, 1867~1934)이 『朝鮮禪敎史』에서 조선불교를 비판하여 ‘조선의 승려들은 마음이 不滅한다[心常身滅]고생각했다’ ‘조선의 승려들은 禪僧이면서도 서방정토를 희구하는 모순을범하고 있다[禪淨雙修]’의 2가지 문제에 대해서 부휴선수(浮休善修, 1543~ 1615)의 입장을 검토하였다.
    먼저 부휴는 一靈物 등의 표현을 사용하고 있으나 그것이 불멸한다고 주장하지는 않았으므로 심상신멸을 주장한 것은 아니다. 또 조선시대의 다른 승려들과 마찬가지로 부휴는 염불을 통하여 서방정토에 왕생하고자하였다. 따라서 선정쌍수의 문제에 있어서는 누카리야의 지적이 부휴에게도 적용된다고 하겠다.
    부휴사상의 특징은 無事를 추구한 것에 있다. 하지만 부휴가 추구하는무사는 임진왜란이라는 혼란한 시대상황에서 비롯되었거나, 아니면 그의개인적 성향 때문이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부휴가 말하는 무사는 ‘깨달음이 필요하지 않다’고 하는 唐代의 無事禪과는 구별된다. 왜냐하면 부휴는 깨달음을 추구한 간화선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iewed the viewpoints of Buhyu Seonsu (浮休善修, 1543~1615) on the two issues that Joseon’s priests think that their mind is immortal (Simsangsinmyeol 心常身滅) and they are in a conflicting position to be zen monks and at the same time desire the Western paradise. First, Buhyu used expressions like Ilryeongmul(一靈物) but did not argue that it was immortal and therefore did not argue for Simsangsinmyeol. In addition, like other priests in the Joseon era, Buhyu intended to be reincarnated in the Western paradise through Buddhist prayers. Therefore, in the issue of Seonjeongssangsu(禪淨雙修), what was indicated by Nukariya(忽滑谷快天) applies to Buhyu as well. Buhyu’s thoughts are characterized by Musa (無事, living free from worldly cares without anything happening). Nonetheless, Musa pursued by Buhyu is considered to have happened from the chaotic state of the period--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or because of his personal disposition. Thus, Musa noted by Buhyu is differentiated from Musaseon(無事禪) of Tang dynasty thatenlightenment is not needed. The reason is that Buhyu emphasized Ganwhaseon that pursued enlighte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0 오전